소개글
"영화주인공 인간행동 이론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행동주의에 따른 윌의 심리적 문제와 치료요인
2.1. 문제점
2.2. 치료요인
3. 인간중심적 접근에 따른 윌의 심리적 문제와 치료과정
3.1. 윌의 심리적 문제와 과거 경험
3.2. 인간중심적 치료와 윌의 변화 과정
3.3. 인간중심적 접근의 효과와 윌의 성장
4. 영화 '마더' 주인공 분석
4.1. 영화 '마더' 줄거리
4.2. 영화 '마더' 주인공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접근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회자되고 인정받는 작품들이 있다. 그중 하나인 영화 <굿 윌 헌팅>에 대하여 주인공 윌의 심리를 중심으로 글을 써보려 한다. <굿 윌 헌팅>의 경우, 개봉한 지 30년 가까이 되었으나 여전히 힐링 영화, 감동적인 영화라고 하면 대중들에게 꾸준히 언급되며 사랑받는 명작이다. 작품이 사랑받는 이유에는 윌 역할을 맡은 앳된 맷 데이먼의 출중한 외모도 한몫하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따로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이들의 공감대를 자극하면서, 대리만족 또한 느낄 수 있어서 아닐까? 물론 누구나 윌처럼 천재적인 두뇌, 한번 보면 기억하는 기억력, 그리고 가정 내 폭력과 관련한 아픔을 갖고 살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련의 사건들과 상황에서 주인공 윌에게서 느껴지는 우리의 인간적인 모습들과 한 번씩 겪어봤을 감정선들이 큰 공감을 일으킨다.
2. 행동주의에 따른 윌의 심리적 문제와 치료요인
2.1. 문제점
윌은 불우한 가정환경에 놓인 청소년들이 보이는 반항적인 모습들을 극대화한다. 그는 상대방에게 공격적인 태도와 자극적인 언행으로 상대를 수치감에 빠트리고 대화를 단절시킨다. 이러한 윌의 행동은 행동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유년 시절 가정 학대를 당하면서 자신을 보호하고자 나타난 경계심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윌은 가정의 폭력적이고 포악한 행태를 보고 자라면서 자연히 그 언행들이 학습되어 모방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윌이 생존을 위해 선택한 방법이었지만, 사회에서 평범하게 살아가는 데에는 큰 문제점이 되었다.
2.2. 치료요인
행동주의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인간의 심리가 윌에게 정신적 문제를 일으킨 것과 동시에 치료 요인이 되었다. 윌은 숀 교수와 소통하며 교수 또한 자신처럼 불우한 가정환경에서 자라났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와 밀접한 관계가 된다. 비단 윌의 심리적 변화와 그에 따른 행동 변화가 숀 교수에 의해서만은 아니다. 짧은 시간 동안 윌의 주변 환경에는 많은 변화가 생겼다. 서로 호감을 느낀 상대가 나타났고, 학습된 본인의 공격적이고 모난 모습으로 결국 그 상대방을 떠나보냈으며, 정서적으로 유대감이 높은 친구의 독려와 숀 교수의 위로, 자신의 천재성을 많은 이들에게 인정받은 상황들이 겹쳤다. 그중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인물이 숀 교수일 것이다. 영화 말미에 윌이 선택한 길은 숀 교수가 그랬던 것처럼 사랑하는 이에게 가는 길이었다. 일련의 사건들과 상황들이 윌의 환경을 바꿨고, 또 다른 자극을 해주었으며 그 안에서 윌은 자신의 본모습을 노출했던 숀 교수에게서 가장 큰 유대감을 느꼈으리라 본다. 그로 인해 윌이 숀의 모습을 모방했다고 볼 수 있다. 숀 교수의 일관된 태도와 언행, 반복적인 만남이 윌에게 가장 큰 학습이 ...
참고 자료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국립특수교육원, 하우, 200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84307&cid=42128&categoryId=42128
Youtube, 2009, 마더
이성준, 2013, 2000년대 한국영화에 나타나는 모성상(母性像) 고찰 ―<마더>와 <피에타>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30호, p.408~414
양사라, 2022, 분석심리학 관점으로 본 아가서 술람미의 개성화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p.23~24
정철호, 2014, 한국사회의 이데올로기 생산 및 전달과정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p.1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