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건축 상세표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최초 생성일 2024.10.09
9,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건축 상세표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BIM의 LOD(Level of Development)에 대하여
1.1. 용어의 정의
1.1.1. BIM의 정의
1.1.2. LOD의 정의
1.2. LOD의 역사
1.3. BIM에서 LOD의 역할
1.4. LOD의 단계별 구분
1.4.1. LOD100
1.4.2. LOD200
1.4.3. LOD300
1.4.4. LOD350
1.4.5. LOD400
1.4.6. LOD500
1.5. BIM 특강 레포트
1.5.1. BIM 개요
1.5.2. 설계 프로세스
1.5.3. BIM 적용사례
1.5.4. BIM 설계 결론
1.6. 지역주의 건축의 특성
1.6.1. 페터 춤토르 공간의 고찰
1.6.2. 지역주의에 관한 연구
1.6.3. 사례분석
1.6.4.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BIM의 LOD(Level of Development)에 대하여
1.1. 용어의 정의
1.1.1. BIM의 정의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을 "건축, 토목, 플랜트를 포함한 건설 전 분야에서 시설물 객체의 물리적 혹은 기능적 특성에 의하여 시설물 수명주기 동안 의사결정을 하는데 신뢰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는 디지털 모델과 그의 작성을 위한 업무절차를 포함하여 지칭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1.1.2. LOD의 정의

LOD는 BIM 프로세스의 진행에 따른 작성되는 모델링 객체의 상세화되는 정보 모델링 수준을 의미한다. 즉, BIM 내에서 객체의 단계별로 모델링 상세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설계의 단계별(기획설계, 기본설계, 중간설계, 실시설계 등)로 보여줘야 하는 상세 수준 또는 각 설계 단계별로 물량 산출(적산)에 필요한 문서의 디테일의 수준을 의미한다. 현재는 LEVEL OF DETAIL의 의미보다는 LEVEL OF DEVELOPMENT의 의미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1.2. LOD의 역사

LOD의 역사는 2004년 미국의 Vico Software가 공사비 산출 관련 업무를 진행하면서 모델링의 구체적인 디테일을 어느 정도까지 할 것인가를 정하기 애매했었다는 데에서 시작되었다" 그 해결 방안으로 Vico Software는 자동 모델 기반 비용에 사용하기 위한 모델 요소의 신뢰성과 적합성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모델링의 단계별 수준의 초기 개념을 개발하였다. 이를 "Level of Detail"이라고 명명하고 WEBCOR 건설사와 함께 구체적으로 발전시켰다"

2008년경 미국건축가협회(AIA)는 Vico Software의 LOD 개념이 BIM과 같은 맥락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Vico Software의 LOD(LEVEL OF DETIAL)를 LOD(LEVEL OF DEVELOPMENT)로 이름을 바꾸고 AIA의 BIM기준으로 채택하여 표준화하였다" AIA는 기존 Vico Software의 DETAIL의 의미를 포함하여 설계 단계별로 나타내는 디테일을 포함하는 단계별 DEVELOPMENT라는 확장된 의미를 부여하였다"


1.3. BIM에서 LOD의 역할

BIM에서 LOD의 역할은 첫째, 모델링 객체의 디테일한 표현 수준과 설계 단계별 문서의 상세 수준을 보여주는 기준이 된다"이다.

둘째, 계약의 첨부자료와 BIM 실행 계획의 보충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정보를 관리하거나 기술하는 공통 표준으로 적용할 수 있다"이다.

셋째, LOD 수준은 설계 단계와 연계되어 LOD100, LOD200, LOD300, LOD350, LOD400, LOD500의 6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모델링 객체의 디테일과 활용 용도가 구분된다"이다.

넷째, BIM에서 객체가 어느 정도 수준으로 모델링되어야 하는지 기준을 제공한다"이다.

다섯째, 계약과 BIM 수행 계획 수립 시 활용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이다.

결과적으로 LOD는 BIM 모델링에 있어 객체의 디테일한 사양과 문서의 상세한 표현을 나타내는 기준이 되며, 설계 단계와 연계되어 모델의 정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단위이자 발주처의 요구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표준으로 활용된다"이다.


1.4. LOD의 단계별 구분
1.4.1. LOD100

LOD100은 건축물의 개략적인 매스와 크기, 위치 등을 표현하는 수준이다. 개념설계(SD_SCHEMATIC DESIGN) 또는 기획설계 단계에 해당하며, 기하학적인 형태가 아닌 단순한 매스로 표현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대지에 얹혀지는 건축물의 전체적인 규모와 조닝, 체적 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LOD100 단계의 모델링은 개략적인 면적, 높이, 볼륨, 위치 및 방향 등을 표현하며,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기간 및 단계화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개략적인 공사비 예측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적, 콘도미니엄 유닛, 병원 침실 등의 면적을 통해 대략적인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다."


1.4.2. LOD200

LOD200은 기본설계(DESIGN DEVELOPMENT) 혹은 중간설계 단계의 BIM 모델을 의미한다."LOD200에서는 기하학적인 구조와 크기, 그리고 구체적인 면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LOD200 모델은 인허가에 준하는 도서 작성이 가능하며, 심의용 도서와 법규 검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LOD200 모델로 모델링 형상의 간섭 체크가 가능하다."따라서 LOD200은 기본설계나 중간설계 단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설계 의사결정과 검토, 심의, 법규 확인 등에 활용될 수 있다.


1.4.3. LOD300

LOD300은 실시설계(CONSTRUCTION DESIGN) 단계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일반 설계사무소에서 작성하는 실시설계에 준하는 도서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적산이 가능한 수량(물량산출 가능), 면적, 각종 계산서(구조, 기계, 전기, 조경, 토목 등), 정확한 크기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찰, 계약, 공사 등에 필요한 도서를 작성할 수 있으며, 공종간 협업 및 간섭체크가 가능한 수준이다.

구체적으로 LOD300 단계에서는 모든 구조 부재의 규격, 모든 건축 부재의 규격, 마감은 직접 모델링 또는 속성으...


참고 자료

BIM 모델을 위한 LOD(level of Detail)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 배경진, 전한종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1 10권 5호
BIM 모델 구축을 위한 세밀도(LOD)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 배경진 / 한양대학교 / 2011
모델링 정보수준(LOD)에 따른 친환경 BIM가이드라인 개발연구 / 배지혜 / 한양대학교 / 2015
설계 프로세스를 반영한 BIM 작성 기준(LOD)에 대한 연구 / 조현정, 김연수, 마영균 / 한국BIM학회 3권 1호 / 2013
친환경 BIM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LOD(Level of Development) 기준설정 / 배지혜, 신성우, 이병호 / 디자인융복합학회 13권 4호 / 2014
BIM 모델 표현 수준(LOD) 분석을 통한 내역체계 개선방안 연구 / 최현준, 윤석헌 / 한국건설관리학회 VOL20. 6권 / 2019
LOD SPEC 2019 / https://bimforum.agc.org/lod/
건축분야 BIM 적용가이드 / 국토해양부 / 2010
http://bsiblog.co.kr/archives/2208
https://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A%B3%B5%EA%B3%B5%EB%B0%9C%EC%A3%BC%EC%82%AC%EC%97%85%EC%97%90%EB%8C%80%ED%95%9C%EA%B1%B4%EC%B6%95%EC%82%AC%EC%9D%98%EC%97%85%EB%AC%B4%EB%B2%94%EC%9C%84%EC%99%80%EB%8C%80%EA%B0%80%EA%B8%B0%EC%A4%80 (국토교통부, 공공 발주 사업에 대한 건축사의 업무 범위와 대가 기준 제6조 (설계업무)
http://kiramonthly.com/bim-begin-with-the-end-in-mind/
http://www.yooshin.co.kr/upload/13-01-%EC%8A%A4%EB%A7%88%ED%8A%B8%EA%B1%B4%EC%84%A4BIM%ED%8C%80-180~193-re.pdf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KQ3Hp8fN1jwJ:krimfi.re.kr/bbs/download.php%3Fbo_table%3Din_machine_equipment%26wr_id%3D83%26no%3D0%26page%3D2+&cd=3&hl=ko&ct=clnk&gl=kr
http://www.ddp.or.kr/page/102/detail?menuId=3 (DDP)
장용순. (2010).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 01. 서울:미메시스.
케네스 프램튼. (2017). 현대건축: 비판적 역사. 서울:마티.
페터 춤토르. (2014). 건축을 생각하다. 서울:나무생각.
페터 춤토르. (2015). 분위기. 서울:나무생각.
강혁. (1999). 지역주의 건축의 두 얼굴: 그 가능성과 한계. 경성대학교 논문집20호 2권.
김자영. (2012). 피터 줌터 건축에 나타난 구축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통권 95호.
박지호. (2003). 건축의 ‘대지의 구축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휘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이경선. (2005). 건축가 안도 타다오의 지역주의적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통권 49호.
이명재. (2009). 페터 줌터 건축에서 나타난 건축의 존재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 연합논문집 통권 38호.
임영환. (2013). 지역주의 건축의 현대적 해석과 지속가능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291호.
송석현. (2011). 현대건축의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지역주의적 다양성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7n.12
박성준. (2016). 글렌 머컷의 친환경 건축에 나타난 현대 지역주의 건축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통권 31호
유방현. (1998). 현대건축의 비판적 지역주의 경향에 관한 연구.
이승환. (2000). 비판적 지역주의 건축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 v.29n.1
김수형. (2018). 지역주의 관점으로 분석한 페터 춤토르의 건축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논문집 통권 제62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