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호흡곤란(Dyspnea)
1.1. 정의
호흡곤란(Dyspnea)은 "힘을 쓰지 않으면 숨쉬기가 어렵거나 숨 쉬는데 고통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비정상적으로 불쾌한 호흡운동을 느끼는 것으로, 일반 인구의 약 9-13%가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70세 이상 환자에서는 37%까지 그 증상을 호소한다. 호흡곤란은 응급실에 방문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1.2. 병태생리
흉막액은 정상적으로 흉막강에 소량 존재하는데, 이는 벽측흉막에 분포되어 있는 모세혈관으로부터 장액이 계속 스며 나와 폐쪽 흉막의 모세혈관이나 림프관으로 재흡수되기 때문이다.""
대순환의 일부인 벽측흉막 모세혈관 압력은 25mmHg이고 소순환의 일부인 폐쪽흉막 모세혈관 압력은 100mmHg이므로, 이 압력차로 인해 벽측흉막으로부터 폐쪽흉막으로 체액이 흐른다.""
흉막액의 분비와 재흡수는 교질 삼투압, 모세혈관의 투과성, 림프관, 배액 경로의 개방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 중 어느 하나에 문제가 생기면 흉막에 삼출액이 고이게 된다.""
누출성 흉막 삼출(transudative pleural effusion)은 정수압 증가(울혈성 심장기능상실)나 저알부민혈증(만성 간질환, 만성 콩팥질환)으로 교질 삼투압이 저하되어 발생한다.""
삼출성 흉막 삼출(exudative pleural effusion)은 염증반응으로 모세혈관 투과성이 증가되어 발생하며, 폐의 악성 종양, 폐감염, 폐색전증 등에서 2차적으로 나타난다.""
1.3. 원인
호흡곤란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세혈관 압력이 증가할 때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울혈성 심부전증, 간경변, 신증후군 등의 질환에서 전신적인 요인으로 인해 모세혈관 압력이 증가하면 이차적으로 흉막에 삼출액이 고이게 되어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둘째, 모세혈관의 교질 삼투압이 감소할 때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만성 간질환이나 만성 콩팥질환에서 저알부민혈증으로 교질 삼투압이 저하되면 흉막 삼출액이 생겨 호흡곤란이 유발된다""
셋째, 흉막과 흉막강에 염증이 있을 때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폐렴, 결핵, 악성 종양 등의 질환에서 흉막의 국소적인 요인으로 인해 삼출성 흉막 삼출이 생겨 호흡곤란이 나타난다""
넷째, 림프계의 기능 손상이 있을 때 호흡곤란이 발생한다"" 림프관 폐색으로 인해 발생한 흉막 삼출이 호흡곤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흡곤란의 주요 원인은 모세혈관 압력 증가, 모세혈관 교질 삼투압 감소, 흉막 염증, 림프계 기능 손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1.4. 진행단계
호흡곤란은 크게 4단계의 진행 과정을 거친다고 알려져 있다.
첫 번째 단계는 급성기로, 손상에 대한 숙주의 방어 작용으로 인해 일어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폐포 및 간질의 삼출성 부종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단계는 잠복기이다. 이 시기에는 임상 증상은 호전되는 듯이 보이고 심폐 기능도 비교적 안정되어 있으나, 약간의 과호흡을 보일 수 있으며 폐음은 정상이지만 때로는 방사선 소견상 망상 폐침윤을 보이기도 한다.
세 번째 단계는 급성 호흡부전기이다. 이 시기에는 약 4-24시간 후에 갑자기 호흡부전이 발생하며, 청색증, 호흡곤란, 빈호흡이 나타나고 청진상 흡기성 나음이 들리며 방사선 소견상 양측으로 폐침윤이 보인다.
마지막 네 번째 단계는 중증 생리적 부전 상태이다. 이 단계에서는 폐실질에 섬유성 변화가 생기며, 신부전, 심혈관계 이상, 간기능 이상, 중추신경계 이상,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장애 등이 초래되어 다기관 기능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1.5. 일반적 증상/징후
호흡곤란의 일반적 증상/징후는 다음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