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근대사 속 인물 중 한 명을 선택해 그 인물의 업적을 살펴보고, 장점과 단점 등 그에 대한 일반적 평가와 해석을 정리한 다음, 자신의 관점에서 새로운 해석과 재평가를 시도하여 기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흥선대원군의 업적
2.1. 적폐청산
2.1.1. 삼정의 문란 개혁
2.1.2. 세도정치 개혁
2.1.3. 비변사와 사원 혁파
2.2. 경복궁 중건
2.3. 쇄국정책
3. 흥선대원군의 장단점
3.1. 장점
3.2. 단점
4. 흥선대원군에 대한 일반적 평가와 해석
4.1. 경복궁 중건의 오판
4.2. 통상 거부
4.3. 명성황후와의 갈등
5. 새로운 해석과 재평가
5.1. 문호개방에 대한 평가
5.2. 경복궁 중건에 대한 평가
5.3. 세도정치의 종결에 대한 평가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인물 중 하나인 흥선대원군(李鴻禧, 1820년~1898년)은 조선 후기의 정치적 혼란과 외세의 침략 속에서 국가의 독립과 안정을 위해 다양한 개혁을 시도한 인물이다. 흥선대원군은 1863년부터 1873년까지 조선의 섭정으로 재임하면서, 쇄국 정책을 강화하고 내정을 정비하여 조선의 자주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병인양요(1866년)와 강화도 조약(1876년) 등 외세의 침략에 직면한 상황에서 강력한 대응을 통해 조선의 주권을 수호하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업적은 조선의 근대화와 개혁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근대 한국의 정치적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2. 흥선대원군의 업적
2.1. 적폐청산
2.1.1. 삼정의 문란 개혁
흥선대원군은 섭정으로 재임하면서 조선 후기 악화되었던 삼정(군역, 전세, 환곡)의 문란을 개혁하고자 노력하였다. 당시 조선 사회에서는 삼정의 문란으로 인해 농민들의 삶이 피폐해지고 농민봉기가 일어나는 등 심각한 사회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흥선대원군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전세, 군역, 환곡에 대한 개혁 정책을 실시하였다. 먼저 전세 개혁을 통해 토지 조사를 새로 실시하고 공평한 세금 부과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부자들에게 유리하게 운영되었던 전세 제도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또한 군역 제도에 있어서도 양반과 서민을 구분하지 않고 공평하게 군역을 지도록 하는 '호포제'를 시행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군역 의무를 회피해왔던 양반들에게도 책임을 지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곡 제도 개혁을 통해 중간 관리들의 부패를 막고자 하였다. 기존의 환곡 제도 하에서는 관리들이 편법을 동원해 이익을 착취하는 일이 많았는데, 흥선대원군은 '사창제'를 도입하여 마을 단위로 곡식 창고를 운영하게 함으로써 이러한 폐단을 근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삼정 개혁을 통해 흥선대원군은 기존 체제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양반들의 반발을 샀으며, 결과적으로 완전한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정 개혁은 흥선대원군이 당시 시급한 사회 문제에 직면하여 개혁을 단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2.1.2. 세도정치 개혁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를 개혁하여 조선의 정치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꾸고자 했다. 그는 처음 조정에 나온 날 "나는 천리를 끌어들여 지척으로 삼고자 하며, 태산을 깎아 평지로 만들고자 하며, 남대문을 높여 삼층으로 만들고자 하오."라고 말했는데, 이는 세도 가문이 배척해온 왕실을 적극적으로 기용하고 정조 이후 정치권에서 소외되어온 남인을 중용하겠다는 뜻이었다. 또한 세도 권력을 낮추어 정치적 청산을 실시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었다.
구체적으로 흥선대원군은 비변사를 의정부에 통합시켜 세도정치의 핵심 권력기관을 개혁했다. 또한 서원을 단 47개만 남기고 모두 철폐했는데, 이는 세도정치의 정치적 기반이 되어왔던 서원을 해체하는 조치였다. 조선의 기득권 세력인 전국 유생들은 서원 철폐에 강력하게 반대했지만, 흥선대원군의 강력한 의지로 인해 이들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밖에도 흥선대원군은 권력의 중심에서 멀리 떨어져 있던 평안도 지방의 인재와 무신을 국가 요직에 등용하여 탕평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이를 통해 그는 기존의 세도가문들이 독점하고 있던 권력을 균형 있게 재편하고자 했다.
이처럼 흥선대원군은 세도정치의 핵심 기관과 기반을 근본적으로 해체함으로써 조선 후기 정치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구했다. 이는 당시 조선 사회의 정치적 혼란을 타개하고 국가 체제를 안정화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고 볼 수 있다.
2.1.3. 비변사와 사원 혁파
대원군은 세도정치의 핵심 권력인 비변사를 개혁했다. 그는 비변사를 의정부에 통합시켰고, 세도정치의 정치적 기반이 되었던 서원을 단 47개만 남기고 모두 없애버렸다. 조선의 기득권 세력인 전국 유생들은 서원 철폐에 강력하게 반대했지만, 대원군의 강력한 의지로 인하여 그들의 소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비변사는 임진왜란 이후 군무를 관장하는 합의체로 확대되면서 점차 세력이 강해졌다. 이후 세도정치가 폐해를 드러내자, 대원군은 비변사를 폐지하고 의정부 중심의 정치 체제를 복원하고자 했다. 이는 세도정치의 근간을 흔드는 조치였다. 대원군은 비변사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고 의정부 권한을 강화하여, 정치적 실권을 가진 기구로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서원 또한 대원군의 주요 개혁 대상이었다. 서원은 조선 후기 양반 사대부들의 학문과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이었지만, 점차 정치적 기반으로 변질되어 세도정치의 온상이 되었다. 대원군은 전국 서원 중 47개만 남기고 모두 철폐하였다. 이는 세도정치의 근간을 흔드는 과감한 조치였다.
서원 철폐에 반대하는 전국 유생들의 상소가 끊이지 않았지만, 대원군은 이를 무시하고 강력하게 정책을 추진했다. 이는 기득권 세력인 양반 사대부들에게 큰 타격이었으며, 당시 조선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대원군의 이러한 단호한 행보는 세도정...
참고 자료
권승준(2018)『흥선대원군과 전봉준의 정치적 관계와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 서술 개선 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지식백과『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
나무위키『 흥선대원군』
권승준(2018)『흥선대원군과 전봉준의 정치적 관계와 한국사 교과서의 동학농민운동 서술 개선 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지식백과『 흥선대원군의 개혁 정치 』
나무위키『 흥선대원군』
나무위키『 한국근현대사』
대원군의 개혁정치와 쇄국정책,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31_0070_0010_0010
김태웅, 김대호, 한국 근대사를 꿰뚫는 질문 29, 아르테,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