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화산중"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제주 거문오름
2.1. 거문오름의 소개
2.2. 거문오름 선정 이유
2.3. 거문오름의 자연지리자원
3. 제주 거문오름과 관광
3.1. 제주 대중관광의 특성
3.2. 제주 거문오름의 자연지리관광
3.3. 제주 대중관광과 거문오름 자연지리관광 비교
4. 거문오름 자연지리자원의 관광적 가치
4.1. 거문오름과 지역 완충지역 보전, 개발계획
4.2. 거문오름 관광적 가치 보전에 대한 제언
5. 결 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 론
한국지리여행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재나 강의에서 소개하고 있는 풍화 또는 화산 지리여행지 중 방문한 경험이 있거나 향후 꼭 방문하고 싶은 곳을 한군데 선택하여 자연지리여행적 관점에서 소개해 보는 것은 자연자원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자연지리자원은 매우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지만 인간과 자연의 조화, 균형, 상호의존 관계가 현재는 매우 중요하게 되고 있다. 특히 자연자원의 적극적 개발보다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여 자연자원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얼마나 대단한 일인가는 느끼게 한다. 자연지리자원의 보전이 곧 지역주민의 편익이 될 수 있는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면서 동시에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리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면서, 환경의 문화적, 자연적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자연지역으로 떠나는 의미 있는 자연지리여행으로 보고 있다. 이를 종합해 보며 자연지리여행은 대상지의 자연환경·문화자원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하고 전문적인 교육과 해설을 통해 자연과 융합을 경험하며 관광지의 자연환경 및 지역 문화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여행이 되기를 희망한다.
2. 제주 거문오름
2.1. 거문오름의 소개
제주 거문오름은 화구 중심으로부터 유출된 용암류의 침식계곡은 제주도에서 최대 규모로서 전방으로 유선형의 골짜기를 이루며 약 4km 정도 연속되어 나타난다. 오름 동남쪽의 목장지에는 화구없는 화산체인 용암암설류의 원추형 언덕들이 집중 분포하고 있다. 구좌읍 송당리에 있는 거미오름을 일명 동검은 오름이라고 하는데, 이는 이오름(서검은오름)과 구별하기 위한 호칭이라고 한다. 지역주민들 사이에는 분화구의 별칭으로 거물창(거멀창)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숲으로 덮여 검게 보인다 하여 검은오름이라 부르고 있으나, 학자들의 어원적 해석으로는 `검은`은 神이란 뜻의 고조선시대의 ` 감,검`에 뿌리를 두는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즉 `검은오름`은 `신령스런 산`이라는 뜻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해송, 삼나무, 측백나무가 조림되어 있고,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복합형 화산체(산정부에는 커다란 화구가 깊게 패어 있고, 그 안에 자그만 봉우리가 솟아올라 있으면서 북동쪽으로 크게 터진 말굽형 화구 등으로 이루어진다)이다. 이처럼 제주거문오름은 화산 지리여행지로 가장 특화된 곳이라고 볼 수 있다.
2.2. 거문오름 선정 이유
제주 거문오름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화산 지리여행지로서 관광적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를 형성한 모체로 알려져 있고, 분화...
참고 자료
http://wnhcenter.jeju.go.kr/index.php/contents/black/black(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
전주형, 생태관광지의 방문동기와 관광자 만족에 관한 연구, 청운대학교 정보산업대학교, 2013
장민숙 외, 울릉도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Vol.1.No.22012.8. pp55~70, 대구경북연구원, 2012
고순국, 세계자연유산- 제주도의 숨겨진 흑진주, PRISM 하고싶은 이야기
고선영, 평화산업과 제주의 미래: 세계평화의 섬을 통한 제주경제 살리기 5장,
조중현 외, 생태관광의 새로운 해석과 비전,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ume 28, Number 1, pp. 131-144, 2014
오대현 저·표선면 향토지 아랑 송고. 2010.
제주도문화유산(제주도편). 2010. 참고
조천읍지. 2013. 발췌
김성일, 박석희 『지속가능한 관광 : 보전과 개발의 조화』 일신사, 2001
최영국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편집부 『취미와 예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2
Shaw, Allan M. Williams 『관광지리학』 이영희, 김양자 옮김, 한울아카데미, 2008
Wearing 『생태관광』 이후석 역, 백산출판사, 200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23254&cid=3435&categoryId=3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