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1.1. 문헌고찰
1.1.1. 정의
심부전이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충만 기능(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펌프 기능(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군을 말한다."
1.1.2. 원인 및 병태생리
정상적인 심장은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반응하는데, 이 반응에는 전부하, 후부하, 심근수축력, 심박동수 등의 요인이 관여한다.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요인에는 전부하와 후부하의 증가, 심근수축력 감소, 심부전을 유발하는 질환이나 상태 등이 있다.
전부하의 증가는 심실수축 직전의 심실근육섬유의 길이가 증가하여 심실압력이나 심실혈류량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한다. 과도한 전부하는 심근섬유의 탄력성 감소를 초래하여 수축력이 감소한다. 전부하를 증가시키는 요인에는 과혈량, 판막역류, 선천성심장기형 등이 있다.
후부하의 증가는 말초혈관저항이 높거나 고혈압이 있을 때 심실에서 혈액을 밀어내는 데 더 큰 힘이 요구됨으로써 발생한다. 장기간 고혈압이 있으면 후부하가 증가되어 심실은 결국 수축에 필요한 힘을 생성해내지 못하게 된다.
심근 수축력의 감소는 심장질환이 있거나 심장 외부에서 심장에 압박을 가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심근경색증, 심근염, 심근병증 등의 질환이 있으면 심근섬유의 수축기능이 약화되어 심실을 완전히 비우지 못하므로 박동량이 감소한다.
1.1.3. 증상
심부전의 가장 흔하고 중요한 증상은 숨이 차는 것(호흡곤란)이다. 계단을 오르기만 해도 과도하게 숨이 차고 이것이 지속된다면 한번쯤 심부전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호흡곤란은 주로 심장에 혈액이 정체(울혈)되면서 심실의 충만 압력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심장으로 들어오는 폐 혈관에 혈액이 정체되어 생기고 이로 인해 기침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에서 혈액을 제대로 짜내지 못하므로 피로감과 운동 능력 저하가 나타나게 된다. 좌심부전의 경우 피로, 허약감, 차가운 사지, 밤에 악화되는 잦은 마름기침, 호흡곤란, 기좌호흡, 야간성 발작성 호흡곤란, 과다호흡, 폐 악설음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우심부전의 경우 주간 핍뇨, 신부전, 경정맥 확장, 정맥압 증가, 간 비대, 식욕부진, 오심, 의존성 부종, 복수, 손과 손가락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1.1.4. 진단
심부전은 임상적 증상이 대부분 정맥계 울혈로 인한 것이므로 울혈성 심부전이라고도 하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갖고 있는 심혈관계 질환은 무엇이며, 심부전 상태로 진전된 악화요인 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진단 방법으로는 신체검진, 특징적 징후, 흉부 X-선 소견, 중심정맥압, 폐모세관압 상승, 맥박이상, 동맥혈 검사, 간기능 검사, 심전도, 심초음파 등이 있다.
신체검진에서는 약한 심음과 분마성 리듬, 폐 기저부에서 수포음을 청취할 수 있으며 때로는 호기성 천명음이 수반되기도 한다. 특징적 징후로는 심인성 부종, 수흉, 복수, 간 비대, 황달, 악액질 상태 등을 볼 수 있다.
흉부 X-선 소견에서는 원인에 따라 심실과 심방, 폐정맥이 현저히 확대되고, 폐의 혈관음영의 증가로 폐의 음영이 뿌옇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중심정맥압은 정상은 5~10cmH2O이나 심부전에서는 15~30H2O까지 상승하며, 폐모세관압도 정상범위는 7~15mmHg이나 폐울혈이 심할 때에는 20mmHg 이상 상승한다.
맥박이상, 순환시간 지연, 경정맥울혈, 심박출량 감소, 신장기능 저하로 인한 소변량 감소, 단백뇨, BUN 증가 등의 소견을 보이며, 동맥혈 검사에서는 폐혈관 울혈로 인한 저산소혈증을 관찰할 수 있다. 간기능 검사에서는 간 울혈로 인한 변화를 볼 수 있고, 심전도에서는 심실비대와 긴장을 발견할 수 있다. 심초음파에서는 심실비대, 방의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