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한글맞춤법

  • 1
  • 2
  • 3
  • 4
  • 5
  • 6
  • 7
>
최초 생성일 2024.10.08
7,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한글맞춤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 고대 국어와 향찰
1.2. 중세 국어와 이두, 구결
1.3. 근대 국어와 훈민정음

2. 한글 맞춤법의 원리
2.1. 표준어 규정과 소리와 어법의 관계
2.2. 표기 방식의 두 원리

3. 두음 법칙 활용
3.1. 유음 'ㄹ' 두음 법칙
3.2. 모음 'ㅣ' 계열 두음 법칙
3.3. 자음군 해소

4. 사이 시옷 쓰임
4.1. 사이 시옷의 기능과 규정
4.2. 사이 시옷과 단어 경계 표시

5. 외래어 표기법의 원리와 활용
5.1. 외래어 표기법의 원칙
5.2. 외래어 표기법의 실제 적용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국어 표기법의 변천
1.1. 고대 국어와 향찰

고대 국어의 문자 체계는 향찰이었다. 향찰은 한자의 음과 뜻을 빌어 우리말을 표기하는 방식으로,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부분은 한자의 뜻을, 문법적인 요소는 한자의 음을 빌려 표기하게 된다. 즉, 향찰은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한국어를 표기하는 차자표기법 중의 하나이다. 향찰은 개념을 나타내는 부분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서 표기하고, 조사나 어미와 같이 문법관계를 나타내는 부분과 단어의 어말음의 부분은 한자의 뜻을 버리고 표음문자로 이용하여 표기하였다. 이는 이두나 구결의 표기구조와 유사하다. 향찰은 완전한 한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였고 가자의 부분인 토가 조사나 어미를 거의 완벽하게 표기하고 있다. 또한 고유명사가 아니라도 "丘物叱丘物叱"과 같이 '가자+가자'의 연결구조를 사용한 예도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향찰은 한자에 의존하면서도 한국어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차자표기 체계라고 할 수 있다.


1.2. 중세 국어와 이두, 구결

중세 국어는 고대 국어 시기에서 근대 국어 시기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한자어의 대폭적인 유입과 더불어 고유어의 변화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특히 음운면에서는 된소리와 성조가 나타났고, 문법에서는 높임법 등이 발달하였다"" 표기에 있어서는 이어적기와 끊어적기가 혼용되었다""

이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차자표기법의 하나이다"" 이두문은 한문의 문법과 국어의 문법이 혼합된 문체로서, 때로는 한문문법이 강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국어문법이 강하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이두문이 기원적으로 문서체에서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구결은 한문을 읽을 때 한문의 단어 또는 구절 사이에 들어가는 우리말이다"" 구결은 대부분 조사이거나 '하다', '이다'의 활용형이며, 한문에 구결을 다는 일을 '구결을 달다', '토를 달다', '현토하다', '현결하다'라고 한다""


1.3. 근대 국어와 훈민정음

근대 국어의 흐름은 성조의 소실로 방점이 나타나지 않고, 모음 조화가 심하게 파괴되며, 끊어적기가 확대되고 거듭적기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7종성법이 적용되는 등 큰 변화가 있었다"이다.

근대에는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계의 정세에 따라서 국어의 양식도 크게 변화했다. 성조가 사라져 방점이 표시되지 않았고, 모음 조화가 크게 파괴되었다. 끊어적기가 확대되었고 거듭적기도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7종성법이 적용되었다. 이처럼 근대 국어 시기에는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이다.


2. 한글 맞춤법의 원리
2.1. 표준어 규정과 소리와 어법의 관계

표준어 규정과 소리와 어법의 관계는 한글 맞춤법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인 원리이다"" 한글 맞춤법은 단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두 가지 원리가 조화롭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나는 대로 적는다"" 예를 들어 '[가]'는 '가'로, '[나]'는 '나'로 적는다"" 또한 '[꼬치]', '[꼰만]', '[꼬또]'로 소리나는 단어는 '꽃이/꼬치', '꽃만/꼿만/꼰만', '꽃도/??또/꼬또' 등으로 소리대로 적을 수 있다""

그러나 둘째, 소리대로만 적을 경우 단어의 의미 구분이 모호해질 수 있다"" '화'를 의미하는 단어가 '꽃/꼿/꼰/??'으로 여러 형태가 되면 언어 생활이 혼란스러워질...


참고 자료

홍예슬's blog, [웹사이트]. (2014년 9월 15일). http://blog.daum.net/0422hys/17.
주하은's blog, [웹사이트]. (2015년 9월 20일). http://blog.daum.net/goodday0410/23.
한글,한국어♥맞춤법 소녀, [웹사이트]. (2014년 5월 19일).
https://twitter.com/hangeul_doumi/status/468272214706368513?lang=el.
공익법인 우리글진흥원, [웹사이트]. (2017년 11월 23일). http://goodwriter.or.kr/bbs/board.php?bo_table=s0301&wr_id=3415&sst=wr_good&sod=desc&sop=and&page=6
진광탕's blog, [웹사이트]. (2009년 4월 15일).
http://blog.daum.net/mook-hah/11773536
최호철(2012). 「북한 조선말규범집의 2010년 개정과 그 의미」, 『어문논집』 제65권, 민족어문학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직속 국어사정위원회(1966). 『조선말규범집』, 사회과학원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직속 국어사정위원회(1988). 『조선말규범집』, 사회과학원출판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직속 국어사정위원회(2010). 『조선말규범집』, 사회과학원출판사.
이희승, 안병희, 한재영(2018), 『보정 한글 맞춤법 강의』, (학)신구학원신구문화사.
외래어 표기법 예시문. 문화부 외래어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사이시옷. 두음법칙. 한글 맞춤법,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표준어 규정과 한글 맞춤법 제정. 한글이 걸어온 길, 국가기록원 ‘
한글 맞춤법. 학생백과
한글 맞춤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