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영의사결정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선형계획법과 정수계획법
2.1. 선형계획법의 기하학적 방법과 대수적 방법
2.2. 정수계획법의 개념
3. 혼합 정수계획법
3.1. 혼합 정수계획법의 개념
3.2. 혼합 정수계획법의 해법
4. 분단탐색법 알고리즘
4.1. 분단탐색법 알고리즘의 개념
4.2. 분단탐색법 알고리즘의 절차
5. 분단탐색법 알고리즘의 타당성 검토
5.1. 분단탐색법의 장점과 단점
5.2. 다른 기법과의 비교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여러 문제 해결과정에서, 다양한 방법들 중 가장 적절한 것을 찾아내는 것을 최적화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이론들을 최적화이론이라고 부를 수 있다." 최적화이론은 현실 세계의 다양한 의사결정문제를 수학적으로 모형화하고, 이를 최적화하는 방법론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선형계획법, 정수계획법, 혼합 정수계획법 등 다양한 최적화 기법이 경영의사결정론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분단탐색법 알고리즘이 주목받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혼합 정수계획법의 해법으로 사용되는 분단탐색법 알고리즘의 개념과 절차를 설명하고, 이 알고리즘의 타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2. 선형계획법과 정수계획법
2.1. 선형계획법의 기하학적 방법과 대수적 방법
선형계획법의 기하학적 방법은 목적함수와 제약조건을 좌표평면에 그려 시각적으로 최적해를 찾는 방법이다. 좌표평면 상에 목적함수의 등고선과 제약조건의 영역을 표시하고, 이들의 교차점에서 최적해를 구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변수가 2개 이하인 경우에 주로 사용되며, 변수가 많아질수록 기하학적 접근이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선형계획법의 대수적 방법은 선형계획 문제를 선형연립방정식으로 표현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해를 구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단체법(Simplex Method)이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변수의 개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며, 체계적인 계산 과정을 거쳐 최적해를 도출한다. 단체법은 선형계획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강력한 도구로 평가받는다.
이처럼 선형계획법에는 기하학적 방법과 대수적 방법이 있는데, 각각의 특성에 따라 적용 가능한 문제의 유형과 해결 방식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2.2. 정수계획법의 개념
선형계획법의 특별한 경우라고 할 수 있는 정수계획법(IP; Integer Programming)은 모든 변수가 정수의 해를 요구하는 최적화 문제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선형계획법과 달리 정수계획법은 변수들이 정수의 값만을 가져야 한다는 제약조건이 추가되어, 실수값이 허용되는 일반 선형계획법에 비해 더 엄격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정수계획법은 일반 선형계획법에 비해 해를 구하기가 훨씬 어려운 편이지만, 현실 세계의 많은 의사결정 문제들은 정수 제약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수계획법의 중요성이 크...
참고 자료
Nemhauser, G. L. & Wolsey, L. A. (1988). Integer and combinational optimization. Whiley. ISBN 978-0-471-82819-8.
Little, J. C., Murty, K. G., Sweeney, D. W. & Karel, C. (1963). An algorithm for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Operations Research. 11 (6): 972-989.
Nowozin, S. & Lampert, C. H. (2011). Structured leargning and prediction in computer vision. Foundations and Trends in Computer Graphics and Vision. 6 (3-4): 185-365. CiteSeerX
Wolsey, L. A. (1998). Integer programming. Wiley. ISBN 978-0-471-28366-9.
김세헌(2005).경영학과개론.서울:영지문화사.5판
김세헌(2013).현대경영과학.서울:무역경영사.7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