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교정용 기구
1.1. 와이어 구부리기용 기구
1.1.1. 영 플라이어
영 플라이어(Young`s pliers)는 상악 교정장치의 클래스프(clasp) 순측선 및 설측호선장치의 주선 등 비교적 굵은 와이어와 설측호선장치의 보조탄선 등 가느다란 와이어를 구부리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 플라이어의 선단은 한쪽이 3단계의 원추형이고 다른 한쪽은 각추형으로 와이어를 잡기 쉽게 고랑이 패여 있다. 이와 같이 영 플라이어는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를 구부리는데 적합한 기구이며, 상악 및 하악의 교정장치 제작과 조절에 널리 사용된다.
1.1.2. 트위드 루프 밴딩 플라이어
트위드 루프 밴딩 플라이어는 에지와이즈(edgewise) 장치에서 사용하는 각형 와이어(rectangular wire)의 루프를 구부리기 위한 겸자이다. 선단의 한쪽은 3단계의 원통형이며, 다른 선단은 원통형의 선단을 받아들이기 위해 오목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를 통해 각선 와이어로 만든 루프의 구부리기가 용이하다. 주로 에지와이즈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선 와이어의 루프를 형성하거나 조정하는 데 활용된다.
1.1.3. 트위드 아치 밴딩 플라이어
트위드 아치 밴딩 플라이어는 고정식 장치에 사용되는 각형 와이어(rectangular wire)를 치열궁의 형태에 맞게 굴곡(옵셋, 토크)을 주거나 조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 플라이어는 선단 양쪽 모두 두께 약 2mm의 판상을 하고 있어 직선 와이어를 치열궁의 형태에 맞도록 굴곡시킬 수 있다. 고정식 교정장치에 사용되는 각선 와이어를 치아의 배열 상태에 따라 적절한 곡면을 부여하거나 필요한 토크를 부여하기 위해 트위드 아치 밴딩 플라이어를 사용한다.
1.1.4. 버드 빅 플라이어
버드 빅 플라이어는 와이어를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부리기 위한 교정용 기구이다. 그 선단은 한 쪽이 원추형이고 다른 한 쪽은 각추형으로 되어 있어 와이어를 잡기 쉽게 고안되었다. 따라서 비교적 굵은 와이어의 구부림에 적합한 플라이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고정식 교정장치에 사용하는 각형 와이어(rectangular wire)를 치열궁의 형태에 맞게 굴곡(offset)시키거나 조작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버드 빅 플라이어는 와이어의 모양을 원형이나 각형으로 바꾸는 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여 교정치료에서 필수적인 기구라고 할 수 있다.
1.1.5. 라이트 와이어 플라이어
라이트 와이어 플라이어[Light wire pliers(Jarabak pliers)]는 버드 빅 플라이어와 유사한 모양을 하고 있지만, 선단이 약간 더 길고 가는 와이어를 구부리는 데 적합한 기구이다. 선단에는 와이어를 잡기 쉽게 고랑이 패여 있는 경우도 있다. 버드 빅 플라이어보다 더 가는 원형 와이어를 구부리기 위해 사용된다. 교정치료에 사용되는 와이어는 용도에 따라 크기나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와이어를 굴곡하는 데 적합한 다양한 플라이어가 필요하며, 라이트 와이어 플라이어는 그중 하나이다.
1.1.6. 쓰리 조 플라이어
쓰리 조 플라이어는 주로 클래스프(clasp)의 제작 및 조절을 위해 사용된다. 이 기구의 선단은 한 쪽이 둘로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