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와영양 고문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비효과적 기도청결로 인한 분비물 증가
1.1. 인두 후 농양
1.1.1. 인두의 구조와 기능
1.1.2. 인두 후 농양의 병태생리
1.1.3. 인두 후 농양의 진단
1.1.4. 인두 후 농양의 치료 및 간호중재
1.2.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식욕부진
1.2.1. 영양상태 사정
1.2.2. 적절한 수유 방법
1.2.3. 발달지지 간호
1.3. 복합적 요인으로 인한 무기력
1.3.1. 무기력의 정의 및 특성
1.3.2. 복잡한 치료요법과 관련된 무기력
1.3.3. 무기력 극복을 위한 간호중재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비효과적 기도청결로 인한 분비물 증가
1.1. 인두 후 농양
1.1.1. 인두의 구조와 기능
인두는 위에서부터 비인두, 구인두, 후두인두로 구분할 수 있다. 비인두는 인두의 위쪽 1/3에 해당하는 부위로 뇌의 기저부부터 입천장까지 이어진 부분이다. 구인두는 인두의 가운데 부위로 구강 뒤에 위치하며 연구개, 구개편도, 구개수, 설편도, 혀뿌리 등이 포함된다. 후두인두는 인두의 가장 아랫부분으로 아래는 식도와 연결되고 앞쪽에는 후두가 위치한다.
인두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첫째, 음식물의 통로로 작용하여 삼킴 기능과 관련된 여러 근육과 신경이 발달되어 있다. 음식물 섭취 시 후두덮개가 덮여 음식물이 후두로 넘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둘째, 공기의 통로로 기능하는데 비인두는 코와 연결되어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가 된다. 셋째, 중이압의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인두의 양 측면에 이관의 입구부가 위치하며 이는 중이압 조절에 관여한다. 넷째, 면역 기능을 한다. 인두에는 여러 편도조직이 분포하여 면역기능을 수행한다. 다섯째, 발성에 도움을 준다. 인두는 공명과 조음 기능에 중요하게 관여한다.""
1.1.2. 인두 후 농양의 병태생리
인두 후 농양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인두 후 농양은 인두 후부 점막층의 바로 아래 부위와 경부 척추의 전방 부위 사이에 있는 조직에 화농성 감염으로 생긴 농양이다. 이는 주로 A군 β 용혈성 연쇄상구균이나 황색 포도상구균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세균 감염으로 인해 인두 후부 조직에 농양이 형성되면 그 부위가 붓고 염증이 생기면서 목의 통증과 삼킴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농양이 점점 커지면 목 주변 부종과 함께 목소리가 변하고 호흡곤란이 동반될 수 있다. 또한 농양이 상방으로 퍼져나가면 중안면부 및 시신경 압박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하방 전파 시에는 대동맥 압박, 종격동 농양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중증 경우 농양이 후두 기도 부분으로 뻗어나가 기도를 좁히거나 막을 수 있어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도 있다. 감염이 혈류로 퍼지게 되면 패혈증과 같은 전신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기에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1.3. 인두 후 농양의 진단
인두 후 농양의 진단은 병력·증상 징후·진찰소견 등을 종합하여 이 병이 의심되면 목 안 X선 사진, 목 안 CT 스캔 검사, 목 안 초음파 검사, 목 안 MRI 검사 등으로 진단할 수 있다"".
전등 불빛으로 인두강 속을 비치고 육안으로 들여다보면 목 안의 인두 후부가 붓고 목 안 기도 부분이 좁아진 것을 볼 수 있다. 목 안의...
참고 자료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Detail.do?bodyId=48 서울아산병원 인체정보
https://en.wikipedia.org/wiki/Retropharyngeal_abscess
https://www.msdmanuals.com/ko-kr/%ED%99%88/%EC%9D%B4%EB%B9%84%EC%9D%B8%ED%9B%84%EA%B3%BC-%EC%9E%A5%EC%95%A0/%EA%B5%AC%EA%B0%95-%EB%B0%8F-%EC%9D%B8%ED%9B%84-%EC%9E%A5%EC%95%A0/%EC%9D%B8%ED%9B%84%EB%86%8D%EC%96%91#v26358205_ko
https://www.healthline.com/health/retropharyngeal-abscess#outlook
고문사, 비판적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외 공저(2019)
드럭인포 (https://www.druginfo.co.kr/)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검사정보(http://amc.seoul.kr/asan/depts/amccp/K/content.do?menuId=516)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OO교병원 EMR 기록지
OO병원 약 정보
OO병원 검사정보
현문사, 근거기반실무중심의 아동간호학 하권, 박호란 외 공저(2020)
현문사, 기본간호학Ⅰ, Ⅱ, 양선희 외 공저(2020)
KIMS 의약정보센터 (www.kim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