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상호 비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맹자의 성선설
2.1. 인의설
2.2. 성선설
2.3. 왕도정치
3. 순자의 성악설
3.1. 성악설
3.2. 예(禮)의 중시
3.3. 성(性)과 위(僞): 성품과 인위
4. 성선설과 성악설의 비교
4.1. 상호보완적 입장
4.2. 이론적 차이
5. 인성론에 대한 견해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류의 진화와 역사의 흐름은 경쟁과 전쟁 그리고 분쟁으로 이루어졌다 하여도 큰 이상이 없다." 이는 전 세계적인 흐름이었으며, 아시아 중국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념의 싸움과 달리 영토 위주로 일어난 중세의 전쟁은 일상이었다. 덕분에 백성들은 살아남지 못했고, 핍박과 착취를 받으며 지내야만 했다. 공자는 인을 주장하며,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정치를 역설했다. 당연히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정명의 정치를 주장했다. 많은 사람들이 내면의 규범을 잃었고, 공자는 올바른 행위 규범을 확립했다. 그에 따라 보편적인 도덕•윤리적인 행위가 세워졌다. 맹자는 이것을 확충하고 그의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근거를 보다 논리적으로 확충했다. 그리고 그 당위성을 높이며 실천성을 높이기 위해 오행이라는 실천행위도 제시했다. 순자는 그런 맹자를 12인 중 가장 적나라하게 비판하였다. 그러나 맹자가 순자의 이론을 잘못 판단하고 있다는 해석도 있다. 어쨌든 맹자와 순자는 공자의 유교 사상을 이어 받았으며, 윤리도덕에 관해서는 자신들이 정통을 계승하였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둘의 인간 이해 차이는 크다. 맹자는 기본적으로 사람이 선하다 보지만, 순자는 기본적으로 악하다 생각한다. 이 악함도 개인의 욕망을 누르지 못하고, 이것이 사회적인 일로 번져 나간다 보았다. 어쨌든 맹자와 순자는 이러한 전쟁의 시기에 공자의 의지를 이어받으며 백성들을 구원하고자 하는 이론을 세우고자 하였다. 그러니 이 두 명의 학자가 주장한 심성론은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더욱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2. 맹자의 성선설
2.1. 인의설
공자의 인(仁)을 이어 받아, 이를 의(義)를 포함한 인의(仁義)를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인의를 배경으로 한 왕도정치(王道政治)를 강조했다. 인(仁)뿐만이 아니라, 인의예지의 실마리, 근거를 주장했다. 앞서 말한 인(仁)은 측은지심(惻隱之心)으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애처로이 보는 마음이다. 의(義)는 수오지심(羞惡之心) 의롭지 못한 것을 부끄러이 여기는 마음이다. 예(禮)는 사양지심(辭讓之心)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이다. 지(智)는 시비지심(是非之心) 옳고 그름을 판단할 줄 아는 마음이다. 인간이라면 응당 이 마음을 가지게 될 것이고, 이는 하늘(天)의 뜻인 사단의 근거였다. 그리고 사람이라면 당연히 인의를 추구하려는 마음을 가진다. 맹자는 이런 근거를 통해 사단을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2. 성선설
성선설(性善說)은 맹자가 주장한 심성론의 하나로, 사람의 성품이 본래 선하다는 의미이다. 맹자는 공자의 철학을 이어받아 이를 발전시켰는데, 사람의 성품이 선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맹자는 사람의 마음에 측은지심(惻隱之心...
참고 자료
맹자언어, 공공인문학포럼, 스타북스, 2018.
맹자의 철학사상, 맹자철학, 탁양현, e퍼플, 2018.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에 대한 현대적 조명, 김기현, 2001
유가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 이철승, 2004
철학부: 순자의 맹자에 대한 비판은 정당한가?, 유희성, 2010
맹자와 순자의 인간이해, 그 윤리적 변별성, 김상래, 2013
순자의 맹자비판, 그 윤리적 의의, 김상래, 2015
순자철학에서 심과 성 및 예의의 관계, 김정희, 2015
김교빈·이현구, 『동양철학에세이』, (파주: 동녘, 2013)
이현복 외, 『인간본성에 관한 철학 이야기』, (서울: 아카넷, 2007)
로저 트리그, 『인간 본성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 (서울: 자작나무, 2000)
[네이버 지식백과]영국의 경험론(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2008. 7. 15., 강성률, 반석)
[네이버 지식백과]순자[荀子] - 성왕이 다스리는 나라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2006. 5. 22., 장현근, 김승일, 권중달, 김한규, 손예철, 윤찬원, 이근우, 이인호, 조병한, 이승환, 김호동, 심경호, 김석근, 황희경, 김원중)
[네이버 지식백과]인간의 본성은 선(善)한가, 악(惡)한가(2천 년을 이어져온 논쟁, 2006. 8. 21., 고전연구회)
수업 교재
네이버 지식사전
기타 블로그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