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니카 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작품 분석
1.1.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
1.2. 문학적 특징
1.2.1. 교훈적 요소의 부재
1.2.2. 어둠의 소재 다루기
1.2.3. 어린이의 상상력과 자유 표출
1.3. 대표작 분석
1.3.1.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1.3.2. 『미오, 나의 미오』
1.3.3. 『사자왕 형제의 모험』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작품 분석
1.1. 작가의 삶과 작품세계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은 대표작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미오, 나의 미오』, 『사자왕 형제의 모험』 등 다수의 유명 작품 속에 개성이 강하고 정체성이 뚜렷한 주인공을 창조해낸 스웨덴의 대표 아동문학작가이다. 그녀는 평생을 아이들을 위한 책만을 창작해냈는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그녀가 가진 작품세계관이다. 그녀는 동화를 어린이 독자들이 재미와 감동을 느끼기를 바랐고, 직접적인 설교 없이도 아이들이 스스로 자신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즉 오락성을 우선시하였던 것이다.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은 1907년 11월 14일 스웨덴의 작은 산골 마을 뷔머비에서 농부의 네 아이들 중 둘째 딸로 태어났다. 그녀의 어린 시절은 활발하고 장난 끼 넘치는 삐삐와 유사한 모습이었으며, 자연환경 속에서 다양한 경험을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그녀의 경험은 후에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을 탄생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생각보다 굴곡이 심한 삶을 살아왔다. 어렸을 때부터 고된 노동에 시달려야 했고, 열여덟 살에 처음 얻은 직장에서 미혼모가 되어 마을에서 쫓겨나는 등 온갖 수난과 굴욕을 겪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그녀는 자신의 아들 라르스와 함께 살기 위해 여러 일들에 뛰어들었으며, 생활의 안정을 위해 사랑하지도 않는 남자와 결혼하여 딸 카린도 낳았다. 그녀는 2차 세계대전도 겪었고, 알코올 중독으로 남편 스투레와 아들 라르스를 모두 잃었다. 이처럼 그녀의 파란만장했던 삶이 그녀의 작품 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1.2. 문학적 특징
1.2.1. 교훈적 요소의 부재
AL은 어린이들의 참된 성숙이 스스로의 노력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녀의 작품들에서는 교훈적 요소를 노출시키지 않는다. 즉, 그녀의 작품들은 어린이들에게 직접적인 훈계나 설교를 하지 않고도 스스로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한다. 그녀는 보통의 아동문학이 어린이들을 교육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지는 것에 반대하며, 그보다는 어린이 독자들이 재미와 감동을 느끼며 읽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했다. 이를 통해 AL은 아동문학에 동심의 세계를 되찾아 주었고, 기존의 도덕적 틀에서 벗어나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상상력을 펼칠 수 있는 여지를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1.2.2. 어둠의 소재 다루기
AL은 단순히 '동화적인' 이야...
참고 자료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햇살과 나무꾼 옮김, ‘내 이름은 삐삐롱스타킹’, 시공주니어, 2012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햇살과 나무꾼 옮김, ‘꼬마 백만 장자 삐삐’, 시공주니어, 2011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햇살과 나무꾼 옮김, ‘삐삐는 어른이 되기 싫어’,시공주니어, 2010
김상열,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연구,"EU연구", 제 16호 pp.3~20
김서정, “작가파일 :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pp.130~131
김상열,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2005.
마레 고트샬크, 『영원한 삐삐 롱스타킹,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여유당출판사, 2012.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 시공주니어, 2000.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미오, 나의 미오』, 우리교육, 2002.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브리트 마리는 마음을 놓는다』, 보물창고, 1997.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사자왕 형제의 모험』, 창비,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