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체르노빌"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원자력 에너지
1.1. 원자력에너지의 역사
1.2. 원자력 에너지의 사용
1.3. 원자력 발전의 장점
1.4. 원자력 발전의 단점
2. 체르노빌 원전 사고
2.1. 체르노빌 원전 폭발 사고
2.2. 사고 원인
2.3. 사고 경과
2.4. 사고로 인한 피해
3. 유사 원전 사고 사례
3.1.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3.2. 미국 스리마일 섬 원전 사고
4.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 대한 고찰
4.1. 사고 이후 체르노빌 원전 운영
4.2. 체르노빌 관광과 현재 상황
5. 원전 사고에 대한 평가 및 대책
5.1. 공학기술적 측면
5.2. 경영적 측면
5.3. 윤리적 및 정치적 측면
5.4. 해결책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원자력 에너지
1.1. 원자력에너지의 역사
원자력에너지의 역사는 방사선의 발견에서 시작되었고, 핵물리학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 1896년 프랑스의 과학자 베크렐은 사진을 현상하던 중 우연히 우라늄 광석으로부터 X선과 같이 투과력이 강한 방사선이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9세기에 들어와서 물질의 구조에 대한 과학적인 지식이 축적되고, 아인슈타인의 '질량 에너지 등가 원리(E=mc2)'라는 유명한 등식이 등장하였다.
1913년 보어는 원자는 그 중심에 양의 전기를 갖는 작은 핵이 있다고 생각하는 "러더퍼드의 유핵원자이론"과 M.Planck의 양자론을 결부시켰다. 이 결과를 러더퍼드-보어의 원자모형이라고 하였다. 1932년 채드윅은 원자들의 원자량이 단순하게 수소원자의 원자량에 원자번호를 곱한 값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양성자와 질량은 같지만 전하를 띠지 않은 중성자가 있어야만 한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핵 물리학이 시작되었다.
1938년 독일의 과학자인 오토 한과 슈트라스만은 중성자로 우라늄 표적을 충돌시킴으로써 가벼운 원소들이 생성되고 이 과정에서 막대한 양의 에너지가 방출됨을 주목한다. 이러한 중성자 충돌 실험을 반복한 결과 1942년 처음으로 원자핵 분열 연쇄 반응이 엔리코 페르미에 의해 실현되었다.
1.2. 원자력 에너지의 사용
원자력 에너지의 사용은 1945년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군사적 무기로 첫 사용되면서 시작되었다. 그 후 8년 후인 1953년 12월 8일, 유엔 총회 연설에서 미국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선언하고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창설을 제창하면서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이 시작되었다. 이후 1956년 영국에서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가 가동되었다.
원자력 발전은 초기 건설비용은 높지만, 연료비가 월등히 싸기 때문에 발전소의 긴 수명기간을 통해 발전비용이 가장 적게 든다. 또한 연료로 사용되는 우라늄 1g은 석유 9드럼, 석탄 3톤과 맞먹는 에너지 효율을 가지고 있고, CO2 배출량도 화석 연료에 비해 현저히 적게 배출된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 개발 및 국내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원전사고의 경우 그 피해가 크기 때문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더라도 사고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크다. 또한 초기 건설비용, 방사능 폐기물 처리, 수명 다한 원전 철거 비용, 주변 생태계 영향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원전사고의 경우 재앙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사고 또는 테러 발생 시 그 피해가 매우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우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원전에 대한 강력한 반대 의견을 보이고 있다.
1.3. 원자력 발전의 장점
원자력 발전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자력 발전방식은 다른 발전방식에 비해 초기 건설비용이 높은 편이나, 연료비가 월등히 싸기 때문에 발전소의 긴 수명기간을 통해 볼 때 발전비용이 가장 적게 든다. 연료로 사용되는 우라늄 1g은 석유 9드럼, 석탄 3톤과 맞먹는 에너지 효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CO2 배출량도 화석 연료에 비해 현저히 적게 배출되어 환경 친화적이다.
둘째, 원자력 발전소를 이용하게 되면 우리나라의 원자력 기술 개발 및 국내 산업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원자력 산업은 의학, 농업, 자연과학, 방사능 공학 등 첨단 산업의 선두가 되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을 육성하며 다른 과학기술의 발전을 야기하고 있다.
셋째, 원자력 발전은 청정에너지이다.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현저히 낮아 지구 온난화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연료인 우라늄은 전 세계에 고루 분포되어있어 자원 무기화될 가능성이 낮고, 수송과 비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1.4. 원자력 발전의 단점
원자력 발전의 단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전사고의 경우 그 피해가 크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인다 하더라도 사고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큰 편이다. 원전사고의 경우 재앙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사고 또는 테러 발생 시 그 피해가 매우 치명적이다. 체르노빌 원전 폭발사고와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로 발전소 주변 30km 이내 지역이 거주 불능 지역이 되었고, 약 13만 5천명의 주민이 강제 이주되었으며, 약 29명이 사망하고 43만명이 암, 기형아 출산 등 각종 후유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역시 큰 피해가 발생했다. 이처럼 원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는 막대하기 때문에 사회적 불안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초기 건설비용이 높고 운전 중 배출되는 방사능 폐기물의 처리, 수명이 다한 원전에 대한 철거 비용 등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원전의 자본 비용이 타 발전원에 비해 매우 높은 편이며, 운전 중 발생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와 사용 후 원전의 해체 및 제염 비용 등도 천문학적인 수준이다. 이러한 비용들이 경제성 있는 원전 운영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셋째, 원전 운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이 주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원전에서...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인 지식백과, 위키백과, 두산백과
KBS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WHO. Report of the UN Chernobyl Forum Expert group “Health” (EGH): Health Effects of the Chernobyl Accident and Special Health Care Programmes.2005.
Gomez Segovia I, Gallowitsch HJ, Kresnik E, Kumnig G, Igerc I, Matschnig S, Stronegger WJ, Lind P. Thyroid. 2004; 14: 277-286.
Tronko ND, Bogdanova TI, Epstein OV, Oleynyk VA, Komissarenko IV, Rybakov SI, et al. Int J Rad Med. 2002; 4: 222-232. 외
위키백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Johan Renck, “체르노빌 episode 5 (Vichnaya Pamyat)”, 『HBO』“50:10”, 2019
조승연, “조승연의 탐구생활” 『youtube』“6:4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