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의료 기관 내 감염 예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감염관리 규정
1.1. 기본 원칙
1.2. 표준예방지침
2. 감염관리 간호사 및 감염관리실 현황 및 역할
2.1. 감염관리 간호사의 정의
2.2. 감염관리 간호사의 역할
2.3. 감염관리 간호사의 현황
2.4. 감염관리실 역할
2.5. 감염관리실 현황
3. 전국의료관련 감염 감시 체계
4. 다재내성균과 감염관리
4.1. 다제내성균의 감염경로
4.2. 다제내성균 예방 및 관리
4.3.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5. 의료기관에서의 결핵 감염관리
5.1. 전염성 결핵환자 조기 발견
5.2. 전염성 결핵환자의 격리
5.3. 외래진료실에서의 결핵관리
5.4. 의료기관 종사자들에 대한 결핵 감염관리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감염관리 규정
1.1. 기본 원칙
감염의 예방과 관리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의료기관에 적합한 감염관리 조직과 체계를 갖추고, 감염관리 책임자는 감염전파의 위험을 파악하고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한다. 감염관리 조직과 구성은 병원의 규모와 진료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감염관리에 대한 운영원칙은 다르지 않다. 의료기관의 장은 감염관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전반적인 책임을 진다. 의료기관의 모든 직원은 환자와 직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감염관리 프로그램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의료기관은 감염관리 전문가를 확보하고 필요한 행정적 지원을 한다. 감염관리 프로그램 및 감염관리규정과 지침은 환자안전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의료기관은 감염관리를 위한 적합한 시설과 환경(예: 손 위생을 위한 시설, 환자 침상 간 적합한 거리 확보, 병상 규모에 따른 격리시설 확보 등)을 갖춘다.
1.2. 표준예방지침
표준예방지침은 모든 환자와 의료진의 접촉 시 적용되는 기본적인 예방 수칙이다. 감염예방을 위한 표준예방지침에는 손 위생, 개인보호구 착용, 호흡기 위생과 기침 예절, 안전한 주사 실무, 의료기구 관리, 환경관리 등이 포함된다.
손 위생은 감염 전파를 예방하는 가장 중요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의료인의 손 위생 수행률이 평균 40%를 넘지 않아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손 위생이 필요한 경우는 환자와의 접촉 전후, 체액 노출 후, 청결한 처치 전 등이며 외관상 보이는 오염이 있거나 아포를 생성하는 균에 의한 오염이 있을 때는 비누와 물로 손 위생을 해야 한다. 또한 피부 손상을 줄이기 위해 손 위생 후 로션을 사용할 수 있다.
개인보호구 착용은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과의 접촉이 예상되는 경우에 착용한다. 가운, 장갑, 마스크, 고글 등의 보호구를 상황에 맞게 착용하고 벗을 때 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장갑을 착용했다고 해서 손 위생의 필요성이 줄어들지 않으며, 한 환자를 보는 동안에도 오염된 부위와 깨끗한 부위를 접촉할 때마다 장갑을 교환해야 한다.
호흡기 위생과 기침 예절은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지침으로,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가림막을 사용하고 손으로 가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마스크 착용이 필요한 경우 올바른 방법으로 착용해야 한다.
이 외에도 안전한 주사 실무, 의료기구 관리, 환경관리 등 다양한 표준예방지침이 마련되어 있어 의료기관에서 철저히 준수되어야 한다."
2. 감염관리 간호사 및 감염관리실 현황 및 역할
2.1. 감염관리 간호사의 정의
감염관리 간호사는 환자가 입원하고 있는 기간 동안 감염위험을 감소시켜 의료관련감염을 예방하는 감염관리 활동을 하여 환자 안전 및 최상의 의료의 질을 추구하는 자이다." 감염관리 간호사는 다른 영역의 간호사들과 달리 직접적으로 환자를 간호하지 않고 감염관리라는 고유한 업무를 수행한다. 현재 한국에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증하는 전문간호사 자격을 가진 자로서 해당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자율적으로 의료기관 및 지역사회 내에서 대상자(개인, 가족, 지역사회)에게 상급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제공하는 자를 전문간호사라고 칭한다. 전문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하지 않았지만 실무현장에서 높은 실무능력과 지식을 갖춘 해당분야 전문간호사들이 활동하는 경우도 존재하여 법적인 정의와 역할만으로 묶기에는 제한적이다."
2.2. 감염관리 간호사의 역할
감염관리 간호사의 역할은 의료관련감염 발생에 대한 감시, 손위생 증진 활동, 감염 관리 정책 및 지침 개발, 의료진 및 병원직원 대상 감염 대처방법 교육, 감염관리 실행 여부 확인 및 평가, 직원의 감염예방과 관리업무 수행, 감염성 질환 환자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다"". 감염관리 간호사는 병원 내 감염 전파를 예방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감염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의료관련감염의 발생과 위험요인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조사하여 예방함으로써 환자, 보호자, 직원들을 감염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감염관리 간호사는 병원 내 감염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감염관리위원회를 운영하며, 의료관련감염 감시 지표를 관리하고 유행 발생 시 역학조사를 실시하는 등 감염관리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처럼 감...
참고 자료
다제내성녹농균감염증 알아보기, 부산광역시 감염병관리지원단, 2018년 11월 30일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침”, 질병관리본부, 2012년 10월
의료관련감염병 VRSA/CRE 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2018년
“격리의 종류와 방법(공기 주의, 비말 주의, 접촉 주의, 표준 주의)”, 널스매니저, 2016년 3월 23일 9:00 수정, 2020년 1월 29일 오후 11시57분 접속, https://m.blog.naver.com/
“내과적 무균술 & 외과적 무균술”, 인플러스 간호학원, 2018년 4월 19일 10:54 수정, 2020년 1월 30일 오후 6시8분 접속, https://m.blog.naver.com/
구글 이미지 “감염회로” 검색, 2020년 1월 30일 오후 6시14분 접속
"팔꿈치 재채기가 예절? 대체 근거 뭔가" 우한폐렴 팩트체크, 중앙일보, 2020년 1월 28일 14:09 수정, 2020년 1월 30일 오후 6시 27분 접속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질병관리본부, 대한의료관련감염관리학회, 2017년 5월
기초간호학회, 대한미생물학회, 간호미생물학, 현문사, 2018년, 359-364
의료관련감염 예방관리 종합대책-보건복지부
2019년 전문간호사 현황(한국간호교육평가원, 2019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Annual Report)
질병관리본부, (2017)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3주기 급성기병원 인증기준 8.3 감염예방.관리 교육
의료법 제47조 시행 [2020.6.5] (법률 제17069호. 2020.3.4. 일부개정) 및 동법 시행규칙
제43조, 제44조, 제45조, 제46조 [시행 2020.4.24]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2017) 대한감염학회
서울특별시 동부병원 부서별 현황 진료부 감염관리팀
병원감염예방관리지침-보건복지부
네이버 한국직업사전 감염관리전문간호사
매거진 한경 ‘코로나 19로 뜬 직업, 감염관리간호사…’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진료안내 진료지원부서 감염관리실
전국의료관련 감시 체계(KON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