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자연분만
1.1. 개요
분만 방법의 종류에는 낳는 방법에 따라 아무런 조작 없이 질을 통해서 낳는 질식분만, 자궁을 절개해서 아기를 꺼내는 제왕절개 분만, 질을 통한 분만이지만 난산이 되어 흡입기를 이용하여 낳는 흡입분만 등이 있다. 자연적인 진통이냐에 따라 자연적인 진통으로 분만하는 자연분만과 촉진제를 이용하여 진통을 유도하는 유도분만이 있다. 그밖에도 수중분만, 좌식분만의 일종인 그네분만 등이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분만 방법 중 자연분만은 아무런 인공적인 조작 없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분만으로, 분만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1.2. 임신과 분만의 일반적 과정
1.2.1. 배란, 수정, 착상
여성의 난소 속에는 태어날 때부터 수많은 원시난포를 가지고 있다. 사춘기에 이르면 이 원시난포가 차례차례 발육을 하고 성숙한 난포는 한 달에 한 번씩 난자를 내보내는데, 이것이 배란이다. 배란이 일어나면 난소에서 나온 난자는 난관 끝부분에서 받아들여지고, 난관의 운동에 의해 자궁 쪽으로 보내어진다.
정자가 질 속에 들어가면 정자는 난관 끝부분에 모여 난자와 만나서 수정이 이루어진다. 수정란은 난관을 천천히 내려오며 12-58개의 세포로 분열되어 간다. 이 때 수정란은 상실기라고 하는데,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 도착하면 자궁 내막을 녹여내면서 서서히 파묻히게 되는데 이것을 착상이라고 한다. 착상이 이루어지면 임신이 되는 것이다."
1.2.2. 분만
분만은 태아가 모체 밖으로 태어나는 과정이다. 자궁수축의 작용과 함께 태아의 아두가 골반을 통과하여 태어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정상적인 분만 과정은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첫째, 태아의 선진부가 자궁 개구부를 통과하여 하강하는 제1기 분만이다. 이 단계에서 자궁수축과 태아의 노력으로 태아가 모체 골반을 통과하게 된다. 둘째, 태아가 완전히 모체 밖으로 분만되는 제2기 분만이다. 이 단계에서 태아의 회전과 신전 등의 분만 기전을 통해 태아가 순조롭게 분만된다. 셋째, 태반이 분만되는 제3기 분만이다. 자궁수축으로 태반이 분리되고 배출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정상적인 분만 과정은 자궁수축, 태아 하강, 태아 회전 및 신전 등의 일련의 복잡한 기전으로 이루어진다. 자궁수축은 분만 과정의 핵심이 되며, 규칙적이고 강력한 자궁수축이 있어야만 분만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태아의 골반 통과를 위한 아두의 회전과 신전도 중요한 분만 기전이다. 이러한 분만 과정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진행되지만, 때로는 난산이나 합병증이 발생하여 제왕절개술 등의 의학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
1.3. 자연분만 대상자의 관찰
1.3.1. 개인정보
대상자의 이름은 인○○이며, 연령은 40세, 성별은 여성(F)이다. 결혼상태는 기혼이며, 교육정도는 고졸, 종교는 무교이다. 직업은 주부이고, 경제상태는 중간 정도이다. 입원일은 2014년 7월 OO일이며, 병실은 7병동이다. 진단명은 양쪽 난소낭종과 오른쪽 난관수종, 자궁근종(Both ovary cyst c Rt. hydrosalpinx c myoma uteri)이다.
1.3.2. 임신과 관련된 정보
산모의 임신과 관련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임신 중 산모는 산과력(Pariety)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 산과력이란 임신횟수(gravida)와 분만횟수(para)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산모는 임신 2회, 분만 0회, 조산분만 0회, 유산 1회의 상태였다. 또한 마지막 월경일(Last Menstrual Period, LMP)이 2002년 5월 27일이었고, 이에 따른 예정 분만일(Estimated Date of Confinement, EDC)은 2003년 3월 5일이었다. 임신 기간은 39주였다.
이 임산부는 임신을 원하는 마음이었고, 남편 또한 임신을 강하게 원했다고 한다. 하지만 임신에 대한 두려움도 있었다고 하였다. 특히 양수과다증으로 인해 아기에게 나쁜 영향이 있을까 걱정하고 있었다.
임신 기간 중 경험했던 문제점으로는 빈혈과 양수과다증이 있었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철분제를 복용했다. 산전 관리는 참사랑 산부인과에서 받다가 아주대병원으로 옮겨 정기적인 검진을 받았다고 한다. 임신, 분만과 관련된 지식은 주로 임신 관련 책자를 통해 습득했다고 한다.
출산 준비로 아기방과 기본적인 물품을 마련했다고 한다.
1.3.3. 신체검진
신체검진은 자연분만 대상자의 건강상태 및 증상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대상자의 신체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Ht)는 166cm, 체중(Wt)은 임신 전 60kg, 현재 75kg으로 증가하였다. 전반적인 외모는 이상이 없었다. 눈, 귀, 코, 입 등의 검사에서도 특이사항이 없었다. 호흡기계, 심혈관계, 유방과 유두, 피부, 신경근육계, 비뇨기계 등 전반적인 검진 결과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특히 본 대상자의 유방과 유두 상태는 부드럽고 크기나 색 등에 뚜렷한 이상이 없었다. 피부와 모발 상태도 양호하였으며, 신경근육계와 비뇨기계에서도 이상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처럼 본 대상자의 전반적인 신체검진 결과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며, 임신과 출산을 위한 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3.4. 산과검진
산과검진은 임신부의 상태를 확인하고 태아의 건강 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하는 검진이다. 산과검진에는 자궁저 높이(H.O.F), 선진부(presentation), 태아심음(F.H.R), 자궁경관 기상(cervical effecement), 자궁경관 개대(dilatation), 태아 하강정도(station), 아프가 점수 등이 포함된다.
자궁저 높이(H.O.F)는 자궁저부와 치골사이의 높이를 말하며, 임신 주수에 따라 정상범위가 정해져 있다. 선진부는 태아가 어떤 방향으로 출산하는지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두위 선진부가 가장 많다. 태아심음은 태아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중요한 지표로, 정상심박동수는 분당 120-160회이다. 자궁경관 기상과 개대는 분만 진행 정도를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태아 하강정도는 골반 내 태아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분만 진행에 따라 점점 하강하게 된다. 아프가 점수는 분만 직후 1분과 5분에 측정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