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체육시설의 이해*4"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사후시설 활용
2.1. 여수 엑스포
2.2. 사라 고사 엑스포(2008)
2.3. 벤쿠버 올림픽(2010)
2.4. 부산시 스포원 파크
2.5. 메가 스포츠 이벤트 사후 공공 체육시설 운영효율성 방안
3. 생활체육 정책
3.1. 대한민국의 생활체육 정책
3.2. 영국의 생활체육 정책
3.3. 대한민국 생활체육 정책의 나아갈 방향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재 대한민국 국민들은 소득수준 및 여가시간의 증대에 따른 삶의 질 향상과 대비되게, 4차 산업혁명의 자동화 시대를 거쳐오면서 생활과 업무 환경이 보다 편리하게 변화해 감에 따라, 신체활동의 부족, 스트레스 증가 및 불규칙 식습관에 따른 체력의 저하와 성인병의 증가 등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엘리트 전문 체육인 육성의 기조를 넘어선 모든 국민이 자발적으로 본인의 체력과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행하는 일상적 체육활동으로써 생활체육을 국민체육진흥법을 통하여 기틀을 마련하고, 적극적 생활체육 정책을 추진해 오고 있다. 하지만, 2023 국민생활체육조사에 따르면, 생활체육의 참여율(주 1회, 1회 운동시 30분이상 기준)은 전국 평균 62.4%로 2019년 대비 4.2%로 하향된 수치이며, 10대(47.9%)와 20대(57.6%)는 평균에 못 미치는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저출산 및 고령화의 시대에 젊은 세대의 저조한 생활체육활동은 결과적으로 건강한 대한민국의 근간이 흔들리는 상황이라 생각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한 명확한 국가적 생활체육 장려 정책이 필요로 된다고 봄이다.
2. 메가 스포츠 이벤트와 사후시설 활용
2.1. 여수 엑스포
여수 엑스포는 메가 이벤트가 도시에 주는 유산의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여수 엑스포의 사후 활용 계획은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 마련으로서 엑스포를 계기로 구축된 SOC와 핵심 자원을 이용한 지역발전을 위함이다. 개발 방향은 구체화 및 향후 도입시설과 기능의 기준이 되는 계획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 대상지 현황은 박람회 직접 시설의 사후 활용으로서 엑스포타운은 민간 분양하고, 전시시설은 사후 활용대상지로 선정하며, 전시지원시설은 사후 활용대상지로 한다. 기본방향으로는 남해안의 해양관광 핵심 가정으로서 육성이며 해양관광 리조트를 조성하고, 민간주도형 개발 및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며, 그리고 엑스포 핵심 콘텐츠를 활용한 유산의 계승과 발전이다. 단지 배치로서 3개 구역으로 구분하며 휴양시설과 상업시설 등을 유치하여 해양관광 리조트로 개발할 것이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리조트 구역과 복합콘텐츠 구역, 해양레저구역으로도 개발할 것이다. 활용의 주체인 민간의 주도적 참여와 개발이 필요하며, 부자시설매각은 한국관과 엑스포 홀을 제외한 시설 민간에 매각하며 존치시설의 경우에는 매각 시까지 민간에게 위탁관리한다. 민간 참여 지원으로서 투자유치를 위한 해양 특구를 지정하고 법인세, 취득세, 재산세 등의 세제를 지원한다. 각종 부담금을 감면하고 상환기간 연장 등의 매각조건을 완화한다. 관리주체설립의 내용으로는 비영리 재단으로 설립하여 엑스포기념사업과 민간투자유치를 하며 부지,시설관리하며 여스프로젝트를 관리 지원하며 기념사업을 한다.운영비는 부지임대료,서술물 운영수익,광고 박람회등으로 한다.정부지원정책으로 국무총리산하 정부지원회와 실무위원회에서 향후 발생되는 매각시 문제점해결을 위한 지원방안을 하고 박람회정신의 계승을 위하여 기념관을 조성하고 해양환경문제에 대처 능력의향상을 위한 여수프로젝트사업을 추진한다.
2.2. 사라 고사 엑스포(2008)
사라고사 엑스포의 사후 활용 사항을 살펴보면, 여수 엑스포의 사후 활용계획안과 사후 활용전략이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스페인 및 아라곤 관은 행정 빌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엑스포 관은 콘퍼런스 센터로 사용되고 있다. 그 밖에도 방문객과 도시민을 위해서 간병시설, 카야킹 시설, 9홀 골프장, 캐널프리팅, 스팸센터, 온천 시설, 사우나, 수영장, 식물원 등을 개발하여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시설들을 뒷받침하기 위해 엑스포를 계기로 도시관광청을 재정비하고 새로운 관광 전략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다.
여수 엑스포에서의 사후활용안과의 다른 점으로는 엑스포로 사용된 장소에 상업시설을 포함한 오피스파크를 개발하여 분양한 것이다. 이러한 사무실 공간은 엑스포 개최 이전에 약 50퍼센트가 분양되었고 엑스포 이후에는 전량이 판매되었...
참고 자료
전윤애(YunAeJeon), 이근모(KeunMoLee),and 이남미(NameMiLee). "메가스포츠이벤트 사후 공공체육시설 운영효율화 방안: 스포원파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49.1 (2010): 57-71.
박진경(JinKyungPark), 박명숙(MyungSookPark),and 태혜신(HyaeShinTae). "2018 평창동계올림픽의 올림픽레거시와 경기장 시설 사후활용방안." 한국체육학회지 53.1 (2014): 357-372.
메가이벤트 사후 활용방안.한국관광공사.최환석.캐나다 구엘프대학교.
김애란. "메가이벤트의 개최효과가 개최지역과 주변지역에 미친 관광영향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대전
손선미. "메가 이벤트의 개념에 따른 연구동향 분석 : KCI 관광학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벤트 컨벤션 연구 14.4 (2018): 123-140.
문화체육관광부 (2022) 「체육백서」, 체육정책과, pp. 1-728
https://www.mcst.go.kr/kor/s_policy/dept/deptView.jsp?pSeq=1827&pDataCD=0417000000&pType=07
이진갑, 권구명, 안찬우 (2020) 「경상북도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2020. 11, 제18권, 제4호, pp. 141~155
https://ks-sp.or.kr/board/journal/article/76327
대한민국 정부관계부처합동 (2023) 「온 국민의 스포츠, 건강하고 행복한 대한민국」, 제1차 스포츠진흥기본계획,
https://www.opm.go.kr/flexer/view.do?ftype=hwp&attachNo=140193
정현우 (2023) 「스포츠가 곧 일상, 영국의 생활체육」, 서울스포츠 웹진 칼럼
https://news.seoulsports.or.kr/web/pds/pdsView.do?pdsid=1364&scattit=&catid=14&pageno=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