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싱가포르 다문화 정책에 관하여

미리보기 파일은 샘플 파일 입니다.

상세정보

소개글

"싱가포르 다문화 정책에 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싱가포르의 다문화 정책
2.1. CMIO 모델의 형성과 배경
2.1.1. 다종족 정책의 포용
2.1.2. CMIO모델 기반의 다문화 정책
2.2. 세계화 시대의 싱가포르
2.2.1. 싱가포르의 인구 구조 변화
2.2.2. CMIO모델의 한계

3. 변화에 대응하는 싱가포르 정책 방향
3.1. 외국인노동자 인구유입정책
3.2. 사회통합정책과 유인책
3.3. 다문화 다민족정책의 보완

4. 한국과 외국의 다문화 정책 비교
4.1. 한국의 다문화 정책
4.2. 캐나다의 다문화 정책
4.3. 호주의 다문화 정책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싱가포르는 작은 섬에 불과한 도시국가이지만 중국계, 말레이계, 인도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종족, 다문화 사회이다. 이러한 종족구성요소는 싱가포르가 말레이연방으로부터 탈퇴한 주요한 이유가 되었다. 즉 말레이 연방정부가 표방한 말레이계 우선 정책은 중국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싱가포르로서는 받아들일 수 없었고, 사회적 부를 많이 차지하고 있었던 중국계에 대한 말레이계의 반감은 말레이연방 속의 싱가포르에게는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종족적 환경이 1965년 독립을 가져왔고, 이후부터 다종족, 다문화가 싱가포르의 핵심적인 특성이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장애물이 되었다. 싱가포르는 각 종족의 이질적 성격은 덜 강조하는 반면에 싱가포르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종족인 중국계를 포함해 말레이계, 인도계(Chinese, Malay, Indian)을 집단화 하고 그 외의 다른 종족 집단(Others)을 단순화하여 4가지 분류 체계로 한 다종족 체제 'CMIO 모델'을 기반으로 다문화 정책을 성공적으로 펼쳐왔다. 이러한 제도적 배경으로 인해 싱가포르에서는 다양한 문화 간 융합이 발생할 수 있었다.


2. 싱가포르의 다문화 정책
2.1. CMIO 모델의 형성과 배경
2.1.1. 다종족 정책의 포용

1965년 8월 말레이 연방으로부터 독립하게 되었을 때 싱가포르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지리적 이점과 인구 외에는 아무런 자원이 없는 상황에서 경제적 발전을 이룩해야 한다는 것과 다종족 사회를 구성해왔던 이들을 하나의 공동체 아래 통합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공산주의로 인해 격화되던 내부 정치적 혼란을 정리해야 한다는 것 등이었다. 독립한 직후인 1966년 인구통계를 보면, 전체 193만 명 가운데, 중국계 147만(76%), 말레이계 28만(14%), 인도계 14만(7%) 명이었다. 본국인 중국과 인도, 말레이시아에 각자의 민족주의에 기반 한 국민국가가 성립되고 있었고, 주변 동남아시아 국가들 역시 배타적 경계 설정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공동체를 설립하면서,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들 역시 더 이상 '이주민'이 아닌 '거주민'으로서 통합의 논리를 마련해야만 했다. 이러한 싱가포르의 노력을 잘 보여주는 것이 바로 싱가포르 2대 총리(Prime Minister)인 고촉통(Goh Chok Tong)의 연설이다. 그는 국가로서의 싱가포르를 건설하기 위해 각 종족 집단들이 해야 할 역할을 강조하면서 몇 가지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1) 종족간 구별 완화(Lowering the Racial Divide) (2) 다른 종족간의 연계 강화(Strengthening Ties between Different Races) (3) 의무교육(Compulsory Education) 강화 등이다. 싱가포르는 '싱가포르 특유의 특징'을 더욱 발전시키길 바라면서, 고촉통이 제시한 'Our Shared Values'를 토대로 'Singaporean'의 공통된 정체성을 확립해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모든 종족을 포괄하는 정체성이 있었다기보다는 각자의 정체성을 개별적으로 유지하고 있던 싱가포르가 21세기 현재, 더이상 샐러드 볼(salad bowl)과 같은 사회가 아니라 각 종족이 고유한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서로 존중하도록 장려하는 사회가 되었다. 종족과 종교를 초월한 국민국가적 민족주의의 형성 즉, 'Singaporean'이 탄생하였다.


2.1.2. CMIO모델 기반의 다문화 정책

CMIO모델 기반의 다문화 정책은 싱가포르의 주요 4 종족 간의 차이와 균형을 강조하는 반면, 종족 내 이질성을 최대한 배제하여 한층 단순화된 '4가지 다종족 체제'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싱가포르의 다문화 정책은 언어, 종교, 문화, 정치, 사회 복지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다양한 하위정책으로 구체화된다.

첫 번째, 교육적 차원으로 국민통합을 위해서 1996년부터 2중언어(bilingualism)교육을 초중등학교에서 필수로 하였다. 실질적으로 영어를 필수공통어로 하고 각 종족별 고유 언어를 이수하도록 하였다. 2중언어교육정책은 세 가지 면에서 국민통합에 기여하였다. (1) 같은 종족과 언어때문에 형성된 일체성을 파괴하여 종족간의 장벽을 깨고, (2) 같은 종족간에 공통 언어를 통하여 공유하던 이해와 의사전달 수단인 언어를 파괴하여 집단간 경계를 허물며, (3) 종전에 영어를 할 줄 아는 사람들만 누리던 좋은 취업 기회와 대우를 받던 불평등한 장벽을 없애는 데 목적이 있었다.

두 번째, 정치적 차원에는 대표적으로 집단대표선거구제도가 있다. 1988년 도입된 '집단대표선거구'(Group Representation Constituencies, GRCs)는 의회의 구성이 언제나 확실하게 다종족적인 것이 되도록 하는 조치였다. 이 제도 하에, 이른바 '팀 국회의원'(Team MPs) 즉, 한 팀 세 명의 의원들 중 적어도 한명은 말레이계 또는 여타의 소수 종족으로 구성되는 팀이 각 GRC를 위해 일하도록 공동으로 선출되었다.

세 번째, 문화 ? 종교적 차원으로 싱가포르의 주요 종족 집단들은 정부의 공식적인 지원 하에 자신의 '문화적' 활동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확립해 간다. 예를 들어 힌두교(인도계)와 이슬람(말레이계) 축제, 그리고 중국계의 문화 ? 종교적 행사들을 위해 매년 공식적으로 공휴일이 정해진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차원으로서 싱가포르는 인종쿼터정책을 통해 정부 아파트(HDB)가 각 국민들에게 보급을 시작할 때 각 종족 별로 적절한 비율로 같이 살게 하면서 각 종족들이 이웃으로 같이 놀며, 학교를 같이 다니게 되었고 어릴 때부터 같이 지내 온 그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상호 존중과 상호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현재 싱가포르를 지탱하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종합적으로 싱가포르의 CMIO모델 기반 다문화정책은 각 종족 집단의 특성을 인정하고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며, 다양성을 인정하는 동시에 이를 통합하여 하나의 '싱가포르인'이라는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2.2. 세계화 시대의 싱가포르
2.2.1. 싱가포르의 인구 구조 변화

싱가포르의 인구 구조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65년 독립한 이후 당시 리콴유 총리는 천연자원이 부족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무역 및 금융 중심지를 만들기 위해 싱가포르의 유일한 인적자원인 국민을 개발하는 것에 집중하였...


참고 자료

김두섭,김명수(1997)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본 대중화경제권;싱가포르 화교의 중화의식과 민족정체성.중소연구
김성건,(2011)“도시국가 싱가포르의 사회인구 정책과 그 시사점,” 『전략지역 심층연구 논문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김성건, 『싱가포르의 사회와 문화』 (문경출판사, 1997).
김성건. (1996). 싱가폴의 인종과 민족문제, 「지역연구」,(1995). 싱가폴의 종교와 문화, 「지역연구」
김종호, “이주민의 싱가포르 대 거주민의 싱가포르”, Asian Regional Review DiverseAsia Vol.3
김주아. (2019). 싱가포르 화인의 다문화 수용성 조사 -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 사례연구 -. 중국인문과학,
김주아(2018) ( Kim Ju-a ). "화교·화인 디아스포라와 신이민." 中國硏究 74.
김한종. (2018). 정체성을 기르는 싱가포르 역사교육의 시민교육 성격. 역사교육논집, 67(0)
박기범(Park, Kee Burm) (2009)."싱가포르의 다문화교육." 글로벌교육연구, (2009)
사카이 스미오(坂井澄雄).(2011) "싱가포르의 외국인 전문인력 이민제도의 개요와 실태." 국제노동브리프 9
송경숙. (2005). 싱가포르의 언어 정책 및 영어 특징, 「사회언어학」,
싱가포르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 기획특집-아시아지역 국가의 외국인노동자 정책 3, 한국노동연구원
유인선,(1993) “싱가포르 150년사(1819-1969),” 『아세아 연구』, 제36권 제2호,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이주노동자와 싱가포르의 경제, Masood Ahmed,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전문가 오피니언, KIEP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전경일, 싱가포르의 외국인 체류 제도와 외국인의 법적 지위 - 영주권자의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주성돈. (2016). 싱가포르 외국인 노동자 정책의 변화와 관련 제도에 관한 연구 . 한국이민정책학회보,
주효진. (2010). 아시아 국가들의 다문화정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만, 싱가포르, 일본, 홍콩의 사례로부터
최무현(Moo-Hyun Choi).(2009). 싱가폴의 다문화 정책의 형성과정과 평가. 지역발전연구,
장미혜 외. (2008). 싱가포르의 다문화정책, 「다문화역량증진을 위한 정책・ 사회적 실천현황과 발전방향」,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추병완. (2012). 싱가포르의 국가 정체성 교육 기제에 관한 연구. 도덕윤리과교육연구, (
추병완. 싱가포르의 사회통합교육 - 도덕과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09, Vol. 12, No. 3,
최현실. (2009). 다문화가정 증가에 따른 한국 사회통합 정책 연구. 한국민족문화, (35),
홍득표. (1997). 세계화를 위한 싱가폴의 교육정책. 국제정치논총,
홍영균. (2021). 아시아 국가의 다문화정책 사례 고찰. 다문화아동청소년연구,

임시연, 2016, 싱가포르 외국인 고급인력의 코스모폴리탄 정체성과 시민권 연구
주성돈, 2016, 싱가포르 외국인 노동자 정책의 변화와 관련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이민정책학회보, 1:1, 89-115
오정은, 2021,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하는 싱가포르 이민정책 연구. 민족연구, 78, 95-114.
고용노동부, 2022, 2020∼2030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박용주, 한국 인구 올해 첫 감소… 인구절벽 시계 8년 빨라진다, 연합뉴스, 2021.12.09
손해용, 출산율 세계 ‘꼴찌’ 싱가포르의 이민정책, 중앙일보, 2018.12.28
김재우, 한국인 떠난 자리, 외국인 노동자만 남았다, 중부일보, 2021.08.02
Hong Renting, & Kalavathy d/o Jayaram, Population Trends 2021 (2021), Department of Statistics Singapore
R. HIrschmann, Old-age dependency ratio Singapore, Statista
United Nations, World Popul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n.org/wpp/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인구정책 어제와 오늘, 검색일:2022.06.15
https://theme.archives.go.kr/next/populationPolicy/policy2000.do
“싱가포르” 위키백과, 검색일: 2022.06.15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