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프랑크푸르트 학파 플랫폼 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대중문화의 이해
2.1. 대중문화의 개념과 특징
2.2.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
2.3. 대중문화의 사회적 영향
3. 문화소비자와 구매의사결정
3.1. 문화소비자의 유형
3.2. 문화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
4. 적극적 문화소비자
4.1. 가장 적극적인 문화소비층
4.2. 능동적인 한류 세대
4.3. 한국 상품 구입의 적극적 시장
5. 대중문화 상품의 생산 전략
5.1. 반복되는 공식
5.2. 불확실성 감소를 위한 전략
5.3. 끊임없는 신상품 개발
5.4. 온라인 플랫폼 활용
5.5. 국경 없는 미디어 콘텐츠 교류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이번 글에서는 프랑크푸르트학파란 무엇이고, 프랑크푸르트학파가 현대 미디어 산업을 본다면 어떠한 비판을 펼칠 수 있는지 생각해본다. 그를 알기 위해선 먼저,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기원이 어디서부터 시작되었는지를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프랑크푸르트학파는 1923년 막스 호트하이머가 독일에 설립한 사회과학연구소에서 함께 활동을 하던 학자들을 지칭한다. 이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구성원으로는 아도르노, 호크하이머,마르쿠제, 프롬, 벤야민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히틀러의 사상인 전체주의와 이탈리아 무솔리니의 파시즘등에 대해 회의론을 펼치게 되었다. 또한, 자본주의가 낳은 인간의 소외, 사물화 등에서도 계속된 비판을 하는등의 사상을 가지고 활동하였다. 이정도의 배경지식과 함께 본론에서 더 다양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사상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2. 대중문화의 이해
2.1. 대중문화의 개념과 특징
대중문화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대중문화는 대중이 다양한 문화를 소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문화는 기존의 생활문화와 여가문화를 대체하며, 획일성과 수동성, 다양성과 창조성, 지리적 확산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또한 가족이나 국가가 담당했던 교육 기능을 대체하는 역할을 한다.
대중문화는 기존의 저급문화와 고급문화의 경계를 흐리며, 문화 민주주의 발전을 이끌었다. 하지만 동시에 문화의 고유성을 파괴하는 대량문화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 프랑크푸르트학파는 대중문화가 규격화되고 조작된 문화상품을 생산하며, 창조적 문화와 개성 발달을 억압한다고 주장했다.
대중문화는 개별적으로 향유되며, 삶의 파편화를 가속화하고 개인주의를 강화한다. 또한 대중들이 대중문화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타와의 관계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능동적 주체로 형성되기도 한다.
대중문화는 고급문화와 저급문화의 구분을 허물고 문화적 평등과 민주주의를 확산하는 순기능이 있지만, 동시에 획일성으로 인한 개인의 독창성 및 문화적 다양성 약화, 선정성과 쾌락성의 확산, 정치적 무관심과 비판의식 약화 등의 역기능도 가지고 있다.""
2.2.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
대중문화의 이데올로기는 문화 고유성을 파괴하는 대량문화라는 측면에서 비판받고 있다"" 프랑크푸르트학파는 문화산업론을 주장하며, 문화산업이 규격화되고 조작된 문화 상품을 생산하여 창조적인 문화와 개성 발달을 억압한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노동자가 문화산업을 통해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노동 계급의 비판적 의식이 마비된다고 보았다"".
그러나 대중문화는 기존의 저급문화와 고급문화의 경계를 허물며 문화 민주주의 발전을 이끌기도 하였다. 대중들이 스타와의 관계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자신들을 적극적 주체로 형성하는 모습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즉, 대중문화는 일면 문화 고유성을 파괴하는 부정적 이데올로기로 작용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문화적 민주주의와 다양성을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3. 대중문화의 사회적 영향
대중문화의 사회적 영향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대중문화는 개별적으로 향유되면서 삶의 파편화를 가속화하고 개인주의를 강화하며 개인을 사회로부터 소외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대중들이 대중문화에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대중들이 스타와의 관계에서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능동적인 주체로 형성되기도 한다.
대중문화의 순기능으로는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를 허물어 문화적 평등과 민주주의를 확산하며, 대중들이 문화를 소비하고 향유할 기회...
참고 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ED%94%84%EB%9E%91%ED%81%AC%ED%91%B8%EB%A5%B4%ED%8A%B8_%ED%95%99%ED%8C%8C - 프랑크푸르트학파
https://www.hankyung.com/thepen/lifeist/article/202201185995Q - 디지털미디어플랫폼 시장성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22697 -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미학
김창남,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18.
「랩(음악)」, 나무위키, (2020.06.17.), https://namu.wiki/w/%EB%9E%A9(%EC%9D%8C%EC%95%85).
「문신」, 나무위키, (2020.06.20.), https://namu.wiki/w/%EB%AC%B8%EC%8B%A0.
미스제이, 「한국어가 아니야! 알고보면 일본식 외래어」, (2020.06.17.), https://blog.naver.com/japansisa/221470304667.
박재범, 『개고기의 식용 합법화 찬반론과 위생문제 연구』,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2004.
박진규, 「집단지성이 투자심사한다…크라우드펀딩」, 《Platum》, (2016.05.11.), https://platum.kr/archives/59450.
「반인간주의」, 우리말샘, (2020.06.19.), https://open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focus_name=query&query=%EB%B0%98%EC%9D%B8%EA%B0%84%EC%A3%BC%EC%9D%98.
「세계화」, 표준국어대사전, (2020.06.19.),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pageSize=10&searchKeyword=%EC%84%B8%EA%B3%84%ED%99%94.
「오타쿠」, 두산동아, (2020.06.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4900&cid=40942&categoryId=31614.
「우민화」, 표준국어대사전, (2020.16.19.),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집단지성」, 두산백과, (2020.06.1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85766&cid=40942&categoryId=31606.
「창조적이며 자족적인 신세대 문화」, [네이버 지식백과], (2020.06.20.),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95130&cid=42013&categoryId=42013.
「크라우드 펀딩」, 두산백과, (2020.06.16.),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847158&cid=40942&categoryId=31819.
「3S정책」, 나무위키, (2020.06.19.), https://namu.wiki/w/3S%EC%A0%95%EC%B1%85.
「3S정책」, 나무위키, (2020.06.19.), https://namu.wiki/w/3S%EC%A0%95%EC%B1%85.
문화마케팅 전략론, 청람, 윤홍근, 2013
소비자행동론, 경문사, 임종원, 2004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 김창남, 2003
<신문과 방송> 단순 수용자에서 적극적 소비자ㆍ전달자로, 남상현, 2016년 10월호(통권 55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