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정신질환자 사회적 편견과 권리 회복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정신질환의 이해
2.1. 정신질환의 정의
2.2. 정신질환의 유형
3.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편견
3.1. 정신질환에 대한 부정적 인식
3.2. 편견의 원인
3.3. 편견의 부정적 영향
4. 정신질환 편견 해소를 위한 방안
4.1. 교육과 인식 개선
4.2. 정신건강 서비스 접근성 향상
4.3. 정신질환자의 권리 보호
4.4. 사회적 지지 체계 구축
5. 정신질환 보도 가이드라인
6. 결론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세계적으로 1950년 항정신 약물의 개발로 정신질환자의 심한 증상은 대부분 조절되어 탈원화(deinstitutionalization)가 시작되었고,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정책도 1995년 정신보건법 통과를 계기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입원치료 및 격리/수용을 탈피하고 정신질환의 예방, 치료, 재활 및 사회복귀 중심으로 변화하는 획기적인 전환을 맞이했다. 즉 지역사회정신보건의 확대로 인한 탈시설화가 본격화되면서 지역사회가 감당해야할 정신질환자의 수는 더욱 더 늘어날 전망이고, 현재에도 대부분의 정신질환자들은 지역사회내에서 생활을 하고 있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정신질환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회에 복귀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사회에 복귀함에 있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자들은 정신 질환을 드문 병으로 생각을 하여 숨기려 하고 대인관계를 제한하려고 한다. 이는 역사적으로 정신질환자를 위험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두려워하였으며, 오늘날에도 이러한 부정적 인식과 태도가 사회 전반에 남아 있어, 그들 스스로가 낙인을 느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정신질환자들이 권리를 되찾고 당당한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이 있을지 논해 보겠다.
2. 정신질환의 이해
2.1. 정신질환의 정의
정신질환은 정신적, 정서적, 행동적 장애로 인해 일상 생활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의미한다. 정신의학 및 이상심리학에서는 정신질환을 미국정신의학회가 발간한 DSM-5(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을 기준으로 진단한다. DSM-5는 정신질환을 20개의 주요한 범주로 나누고 약 300여개 이상의 정신질환을 다루고 있다. 정신질환의 원인은 생물학적 요인, 심리 사회적 요인, 환경적 스트레스 등 다양하며, 같은 환경에서 같은 압박을 받는다고 해도 정신질환의 발병 유무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약물 치료뿐만 아니라 행동치료, 인지치료 등 사회적 기능을 강화하는 치료를 병행하여야 한다."
2.2. 정신질환의 유형
정신질환의 유형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다. 정신질환의 유형은 크게 정신증, 신경증, 성격장애, 물질 관련 장애, 발달 장애, 신체증상 장애 등으로 구분된다.
먼저, 정신증(Psychosis)은 대표적인 정신병적 장애로, 조현병, 양극성 장애, 우울증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정신증은 현실 검증력의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보이며,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와 행동 등의 특징이 있다. 일반적으로 정신증은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여 현실과 괴리된 인지 및 지각을 보인다.
다음으로, 신경증(Neurosis)은 현실 파악 능력은 유지되나 불안, 공포, 우울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장애이다. 대표적인 신경증 장애에는 불안장애, 공황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강박장애, 우울장애 등이 포함된다. 신경증은 일상생활에 장애를 초래할 수 있으나 정신증과 달리 현실 검증력이 비교적 잘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성격장애는 비교적 오래된 부적응적 행동 양식으로 인한 대인관계와 사회생활의 어려움을 보이는 장애이다. 이에는 경계성 성격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히스트리오닉 성격장애 등이 속한다. 성격장애는 개인의 행동, 사고, 감정 등 다양한 영역에서 병리적 특징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그 밖에도 물질 관련 장애, 발달 장애, 신체증상 장애 등 다양한 정신질환의 유형이 있다. 물질 관련 장애는 약물이나 알코올 등 물질 사용과 관련된 장애를, 발달 장애는 아동기부터 나타나는 지적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참고 자료
국가인권위원회, 2009, 정신장애인 인권개선을 위한 각국의 사례연구와 선진모델 구축.
남형주, 2002,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에 관한 비교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재훈, 2011, “정신장애 원인에 대한 이해가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서미경․김정남․이민규, 2010, 정신장애의 원인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와 친숙함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오정화. 장애인복지론. 경기도: 양서원, 2022.
분당 서현역 칼부림범, 배달업 종사 22세男…"60대 여성 위독". 윤정민, 최모란, 손성배. 중앙일보. 2023/10/17.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2338
경찰청. 정보공개, 공공데이터, 경찰청범죄통계. 경찰청 범죄통계. https://www.police.go.kr/user/bbs/BD_selectBbsList.do?q_bbsCode=1115&estnColumn2=%EB%85%84%EB%8F%84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문난영, 김석선, 길민지. (2018) 보건사회 연구. 38(3), 페이지: 161~187
정신장애 유형에 따른 편견과 차별. 김재훈, 서미경.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7(4), 페이지: 35~64.
현대 이상심리학. 권석만. 학지사. (2016)
범죄와 정신질환의 관계, 사회적 편견은 어느 정도인가?. 최기홍. (2017). 헬스커뮤니케이 션 연구. 16(2), 페이지: 19~28.
정신 건강 인식개선을 위한 정신질환 보도 가이드라인 1.1(개정판). (2024).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https://blutouch.net/plus/reference/etc/7925
정신질환 보도 가이드라인 현황과 방향성. 이해우. (2022). 언론중재 2022년 가을호.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 경험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호규현, 정휘관, 전예솔, 송민해, SHIMAMORISAYUKI. (2021).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9(4), 79~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