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제품이나 서비스 기획 데이터시각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광고 기업의 생산관리
1.1. 제일기획의 주요 서비스
1.2. 제일기획이 활용하는 생산관리 방식
1.3. 제일기획이 추구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에 인공지능이 미치는 영향
1.4. 제일기획의 생산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전략
2.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
2.1. 신제품의 의의와 개발과정
2.1.1. 신제품의 의의
2.1.2. 개발과정
2.2. 기존 제품의 새로운 용도 개발 및 더 나은 마케팅 전략
2.3. 시장에서의 성공 방안
3. 멀티탭형 전력 미터기 프로젝트
3.1. 프로젝트 소개
3.1.1. 프로젝트 이름
3.1.2. 프로젝트 개요
3.2. 수행 방법
3.2.1. 기존 상용 제품과의 차이점
3.2.2. 프로젝트를 통한 서비스 범위
3.2.3. 수행(기대)효과
3.3. 향후 추진 계획
3.3.1. 기술에 대한 타당성 검증
3.3.2. 시장조사
3.4. 프로젝트 진행 결과
3.4.1. 기술 타당성 검증을 위한 인터뷰
3.4.2. 시장 조사
3.5. 최종 성과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광고 기업의 생산관리
1.1. 제일기획의 주요 서비스
제일기획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광고대행사로서 삼성그룹 계열의 기업이다. 제일기획은 텔레비전이나 신문, 라디오, 잡지 등 전통적인 매체에 더해서 컨설팅 업무나 스포츠 마케팅, 이벤트, 홍보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제일기획은 우리나라 최초로 지난 1991년 칸 국제광고제에서 은사자상을 수상하였으며, 세계에서 손꼽히는 광고제와 우리나라 광고대상에서도 수상 실적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다.
1.2. 제일기획이 활용하는 생산관리 방식
제일기획이 활용하는 생산관리 방식이다. 제일기획은 설립 당시부터 삼성그룹의 광고를 생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광고대행이 주요 사업이지만 제일기획에서 생산하는 광고 콘텐츠가 상당히 우수하기 때문에 삼성 계열사들은 물론 다른 기업들과 정부기관, 공기업들의 수주 역시 많은 편이다.
제일기획은 해외 시장도 적극적으로 공략하기 위해서 해외 시장에도 진출해있다. 미국과 홍콩, 중국, 브라질, 러시아, 영국, 인도, 멕시코, 프랑스, 태국, 독일, 아랍에미리트, 싱가포르,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스페인, 캐나다, 오스트리아, 이탈리아, 폴란드, 네덜란드, 터키,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세계 각지에 현지 사무소를 설치하고 해외 기업들의 광고를 수행하거나, 해외 시장에 진출한 우리나라 기업들의 광고를 집행하기도 한다. 현지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현지에 있는 광고 기획사들을 인수하는 경우도 이다.
제일기획은 소비자와 최접점에서 광고를 집행하여 소비자들의 지각 속에 특정한 기업에서 생산하는 브랜드나 혹은 그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보다 호의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제조사들과는 다른 생산관리 방식을 운영하고 있다. 제일기획 내에는 아트디렉터나 카피라이터, AE 등 다양한 직군이 있다. 이들 직군은 광고기획자들이다. 이들에게 새롭게 광고 콘텐츠를 만들고 싶어하는 광고주들이 업무를 의뢰하게 된다. 일부 기업들의 경우 광고 의뢰 공고를 내면 제일기획과 같은 기업들이 수주를 따내기 위해서 직접 입찰에 참여하기도 한다. 수주가 되면 제일기획 내의 광고기획자들이 광고주와 회사를 대표하여 광고 제작에서부터 브랜드 경험, 미디어 분야 등 광고 집행에 필요한 다양한 인력들과 함께 협력하여 해당 광고 캠페인의 계획을 입안하고 총괄하게 된다.
광고기획자들은 광고를 통해서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현재 상황을 잘 분석할 수 있어야 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광고를 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광고 분야는 다른 산업 분야에 비해서 더욱 더 빠르게 변화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의 실마리를 잘 파악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1.3. 제일기획이 추구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에 인공지능이 미치는 영향
제일기획이 추구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에 인공지능이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제일기획은 소비자와 최접점에서 광고를 집행하여 소비자들의 지각 속에 특정한 기업에서 생산하는 브랜드나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호의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현재 시장의 트렌드가 어떠한지, 경쟁사들의 전략은 무엇인지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철저하게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제일기획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이러한 데이터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분석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난 2020년 중국의 소셜 빅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기업인 컬러데이터를 인수한 것이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기업은 중국 내 5,000개 이상의 소셜미디어와 전자상거래, 뉴스 플랫폼들의 게시글과 댓글을 수집하여 지역과 성별, 연령대별로 버즈를 분석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제일기획은 이 기업을 인수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자연어 분석과 실시간 시각화, 리포트 생성 기능 등을 추가하여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인사이트를 추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제일기획이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는 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소비 시장에서 2030세대의 비중이 커지고 있어 소셜마케팅의 중요성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마케팅 분석 역량을 크게 높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광고주를 확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인공지능은 제일기획이 추구하는 생산관리 시스템에서 방대한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소비자의 니즈와 시장의 변화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4. 제일기획의 생산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전략
제일기획의 생산관리를 더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전략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를 활용하는 것이다"" 비즈니스 인텔리전스는 시시각각으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하여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기회를 포착할 수 있게 해준다"" 기업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이를 제대로 분석할 능력이 없다면 데이터를 활용하지 못하는 것과 다름없다"" 또한 광고 시장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므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데이터 분석 역량과 디지털 역량을 갖추면 시장의 변화를 선도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 효율화와 수익성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2. 신제품 개발과 마케팅 전략
2.1. 신제품의 의의와 개발과정
2.1.1. 신제품의...
...
참고 자료
제일기획, 디지털기획 M&A로 미래 성장동력 확보, 파이낸셜뉴스, 2020.06.02.
제일기획, 중국 빅데이터 분석기업 인수, 이재은, 조선비즈, 2020.06.02.
있는 집은 디지털도 잘하네!, 한애라, 중앙일보, 2021.08.24.
제일기획의 디지털 진격...광고 스타트업 속속 인수, 박한신, 한국경제, 2021.09.02
김미현, 박철주 외 2명. (2023). 마케팅원론. 형설출판사.
김종식 외(2016), 「창의공학설계」, 북스힐.
박현수 외(2021), 「P2P 거래를 위한 가정용 IoT 스마트 계측기에 관한 연구」,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837-838.
기민도, 「전기요금 ‘월 4500원’ 오른다…오일쇼크 이후 최대 인상」, 한겨레, 2022.12.30. (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73791.html)
김부미, 「이번에 못 올리면 더 힘들어진다... 2분기 전기료 인상 여부 관심 ↑」, 전기신문, 2023.03.17.
(www.ele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17014)
문다영, 「이번주 전기요금 인상 유력‥한 달에 2~3천원 오를 듯」, MBC뉴스, 2022.05.09.
(imnews.imbc.com/replay/2023/nwdesk/article/6482019_36199.html)
서충식, 「“전기도둑 막아라”⋯카공족에 속 터지는 카페 점주, MS투데이」, 2023.03.29. (www.m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866)
차대운 외, 「전기요금 kWh당 8원·가스요금 MJ당 1.04원 인상…내일부터 적용」, 연합뉴스, 2023.05.15. (www.yna.co.kr/view/AKR20230515033200003)
허환주, 「전기·가스 31.7% 올랐다…IMF 이후 24년만 최고 상승률」, 프레시안, 2023.02.05.
(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020510141086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