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낙상예방활동 강화
1.1. 사업 배경
환자안전은 의료기관에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 중에서도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환자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할뿐더러 환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입원기간 연장 등의 질병치료과정에 영향을 주어 의료의 질 저하 및 치료의 효율성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2017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낙상발생률은 전체 2.714%, 11A(내과계) 3.139%, 9A(외과계) 2.322%으로 본원에서의 낙상발생 보고율 역치 0.09~1.60%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낙상발생요인으로는 낙상에 대한 인식 부족, 보호자 부재, 야간에 요의로 인한 화장실 이동 시 독립 이동 등이 있다.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는 보호자의 부재에 따른 어려움으로 낙상예방에 더욱 중점을 두고 구체적&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야 한다. 이에 보호자가 상주하지 않는 본 병동에서의 낙상예방을 위한 맞춤교육 및 낙상예방활동 강화로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환자안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1.2. 문제 개요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에서 낙상 예방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보호자의 부재, Nurse call 요청의 부재, 낙상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낙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낙상사고로 인해 환자 입원기간 연장 및 치료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 환자 및 보호자 만족도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호자가 상주하지 않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환자에게 적절한 낙상예방활동 강화로 낙상 빈도를 낮추고, 낙상으로 인한 입원기간 연장과 치료비용 발생을 예방하고 환자 및 의료진의 의료만족도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1.3. 목표 설정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환자의 낙상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목표가 설정되었다""
첫째, 환자의 낙상 발생률을 50%로 낮추는 것이다. 기존 낙상 발생률이 높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여 1.36% 이하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둘째, 낙상 발생 환자의 추가 검사 및 처치, 입원 연장률을 50% 이하로 낮추는 것이다. 낙상으로 인한 추가적인 진료와 입원기간 연장이 발생하므로 이를 절감하고자 하는 목표이다""
셋째, 환자의 낙상에 대한 인식률을 7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다. 기존 환자의 낙상 예방에 대한 인식이 낮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넷째, 간호인력(간호사, 조무사, 이송기사)의 낙상예방에 대한 인식률을 10% 향상시키고자 한다. 간호인력의 낙상예방 인식 제고를 통해 활동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섯째, 간호인력(간호사, 조무사, 이송기사)의 낙상예방교육 수행률을 95% 이상으로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간호인력의 낙상 예방 활동이 체계화될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환자 및 간호인력(간호사, 조무사, 이송기사)의 낙상예방교육 만족도를 3점 이상으로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긍정적 경험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환자 및 간호인력(간호사, 조무사, 이송기사)의 낙상예방활동 만족도를 3점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낙상예방활동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4. 핵심 지표
1.4.1. 문제에 의한 결과 관련 핵심 지표
낙상 발생률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낙상발생건수를 조사기간의 총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의 입원 환자의 일일 재원일수의 합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