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작품 분석
1.1. 김소진의 작품
김소진의 작품은 1970년대 청계천 세운 상가를 배경으로 한 소설로, 우리나라가 빠르게 근대화되어감에 따라 개인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방법과 수단을 가리지 않는 당시 사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작가 김소진은 가난하지만 순진한 소년 수남이를 통해 이러한 현실을 비판하고자 하였다. 작품을 읽으면서 20살이 된 지금, 작품에 담긴 생각과 작가가 나타내고자 한 의도를 알 수 있었다. 자본주의와 물질적 이익만을 추구하는 현시대 사회의 부도덕성을 비판하고 도덕성과 양심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의미있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1.2. 최승호의 시 '발효'
최승호의 발효는 암울한 시대를 지나며 더럽혀진 자신의 내면에 대한 반성을 담은 시이다. 이 시의 화자는 '나는 충분히 썩으면서 살아왔다'라고 하여 자신의 부정적인 지난 삶을 고백하고 있다. 또한 바로 아래 구절인 '묵은 관료들이 숙변을 내게 들이부었다'를 보면 화자 자신의 부패함은 외부적인 원인도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마지막 구절에 나오는 '발효하는 숨결'은 화자가 궁극적으로 소망하는 것을 모두 수렴하여 표현한 것으로 화자는 자신의 썩고 부패한 지난 삶(저수지)이 생명력 넘치는 삶(저수지)으로 변화했으면 하는 소망을 여러 동적 이미지들을 통해 드러내고 있다.
1.3. 송찬호의 시
송찬호의 시 '고래'는 동화적인 분위기가 나타나며 고래라는 상징적인 소재를 이용해 시를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여기에 나오는 '고래'는 현대인이 잊고 사는 이상에 대한 순수한 꿈을 의미하며 '고래 방송국', '망원경 코끝'은 이상적인 공감을 의미한다"". 또한 '작은 화분하나', '5마력의 동력', '유리창을 갈아 끼우는 일'은 꿈을 향한 노력을 의미한다"". 이 시는 고래라는 상징적 시어를 통해 각박한 현실 사회 속에서 순수한 꿈을 잃어 버린채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자신의 삶을 돌아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 같다"". 또한 우리의 순수한 꿈을 바닷속의 고래라는 생명체를 이용해 표현함으로써 독특하고 아름다운 분위기를 형성한 것 같다"".
1.4. 성석제의 소설
성석제의 소설은 1990년대 부채로 얼룩진 농촌사회의 현실과 이로 인해 사람들의 인심이 각박해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 소설의 주인공 황만근은 순박하고 어쩌면 모자란다고 할 수 있는 인물이며, 마을 사람들은 그를 무시하고 자기들이 하기 싫거나 힘든 일을 모두 그에게 시킴으로써 전개가 진행된다. 황만근이 온갖 궂은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 사람들은 고마움을 느끼지 않으며 당연시한다. 더구나 황만근이 그들이 시킨 일을 하다 사라졌을 때에도 아무도 그를 찾으러 가지 않는다. 이를 통해 성석제 작가는 농촌 사회의 이기적이고 무감각한 태도를 비판하고자 하였다. 또한 너무 착하기만 한 황만근이 답답하기도 하지만, 그러한 그의 모습을 통해 작가는 농촌의 현실을 풍자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5. 문태준의 시
문태준의 시는 개조개라는 구체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가난으로 인한 삶의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시에서 문태준 시인은 후각적 심상과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가난의 냄새가 벌벌벌벌 풍기는'이라고 표현함으로써 가난임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가족들이 배고픔에 우는 상황을 '집이 울 때'라고 의인법을 사용하여 제시함으로써 가난으로 인한 슬픔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더불어 '부르튼 맨발'이라는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가난으로 인한 삶의 고단한 흔적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문태준 시인은 개조개를 관찰한 것을 표현하여 가난으로 인한 삶의 고통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1.6. 조인호의 시 '도너츠의 하루'
'도너츠의 하루'는 조인호의 시로, 부정적인 사회의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을 표현한 작품이다. 시에서는 도너츠라는 상징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화자의 삶과 사회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시의 흐름에 따라 도너츠에서 시작하여 단춧구멍, 훌라후프, 올가미, 변기 구멍, 바퀴 등으로 점차 변주되어 가는 모습은 인상 깊다. 이처럼 구멍이라는 공통된 이미지를 통해 화자의 삶을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부정적인 현실이 화자의 일상이 되어버린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마지막 구절인 "오늘은 이상도 하지, 바로 시원하게 구멍 난 도너츠의 하루이기 때문이다"에서 알 수 있듯이, 화자는 부정적인 현실이 이상할 정도로 당연해졌음을 토로한다. 이를 통해 화자는 평생 자신이 살아왔던 하루, 즉 일생을 표현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도너츠의 하루'는 사회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면서도, 그러한 현실에 순응할 수밖에 없는 개인의 삶의 모습을 담아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7. 프리츠 오르트만의 소설
프리츠 오르트만의 소설은 주인공의 꿈이었던 곰스크로 가기 위해 기차에 탐으로써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은 것이다. 줄거리를 다 알고 난 후 주인공의 아내가 이해되지 않았다.
남편의 꿈인 곰스크로 가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적극적으로 남편을 말려야 되는데 그러지 않았으며, 남편이 자기 생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야기하려는 노력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저 마지막에 말도 안 되는 고집을 부림으로써 자신의 남편의 꿈을 짓밟아 버렸으며, 진작 그와 이야기를 했다면 비싼 기차표도 사지 않아도 됐을 텐데 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