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989년 해외여행 전면 자유화, 1992년 농촌 총각 장가보내기 등의 영향으로 국내에 해외 이주민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과거에는 '결혼이주민'은 농촌 총각, 개발도상국, 불법체류자, 까만 얼굴 등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였다. 하지만 세계화로 인하여 현재 다문화가족은 이러한 이미지와 상반된 경우도 많다. 이주민 유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10년간 비교하였을 때 우리나라에 체류 중인 외국인이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국내 이주민 집단에는 이주노동자 및 국제결혼으로 인한 여성 이민자가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본 레포트에서는 결혼 이주 여성 관련된 TV 프로그램을 요약하고, 문화 다양성의 차별적 배제 모델, 동화주의 모델, 다문화주의 모델에 기반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2. 본론
2.1. 사회복지와 문화다양성
2.1.1. 결혼이주여성 관련 TV 프로그램 내용 요약
'다큐에세이 그사람'에서는 캄보디아인 결혼이주여성인 이차희씨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차희씨는 캄보디아에서 건너와 경상북도 문경 가은읍 전곡3리에서 결혼생활을 하며 남편, 시아버지, 시할머니와 함께 거주 중이다. 한국 생활이 낯설었지만 한국 음식을 요리하고, 남편의 농사일을 도우며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이차희씨가 한국에 왔을 때는 모든 것이 생소하고 낯설었지만, 시할머니가 5년 정도 음식을 가르쳐주셨다고 한다. 가족들은 이차희씨가 다른 가족 구성원과도 어울릴 수 있도록 캄보디아 음식인 '반쎄오'를 친척들에게 나누어주었다. 이차희씨는 처음에 한국어 사용이 서투르었지만 현재는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가능하다. 하지만 아이들의 공부 지도에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어 다문화센터의 선생님의 도움을 받고 있다. 이차희씨의 두 아이들은 언어발달이 정상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
2.1.2. 차별적 배제 모델, 동화주의 모델, 다문화주의 모델 설명 및 적용
차별적 배제 모델, 동화주의 모델, 다문화주의 모델 설명 및 적용은 다음과 같다.
차별적 배제 모델은 사회의 요구와 이익에 따라 소수 집단을 차별적으로 수용하거나 거부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소수 집단의 문화적 특성을 수용하거나 존중하기보다는 외부인으로 보고 배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소수 집단의 다양성을 포용하지 않으며, 생활 양식, 언어, 종교 등의 고유문화를 유지하지 못하게 한다. 소수 집단을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억압하고 배제하여 권리를 제한한다. 과거 유럽 국가들에서 이민자들이 주류 집단으로부터 철저히 배제당한 사례가 이에 해당한다.
동화주의 모델은 소수 집단이 자신들의 문화, 언어, 정교, 사회적 특성 등을 주류 집단과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이다. 소수 집단의 문화가 주류 문화와 새로운 문화로 통합되는 "용광로 이론"을 따른다. 이 모델에 따르면 이민자가 이민사회의 다수집단 문화에 흡수되어 적응하게 된다. 프랑스, 영국 등이 이에 해당한다. 우리나라의 다문화 사회 통합프로그램 또한 동화주의 모델의 성격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다문화주의 모델은 소수 집단의 문화를 지켜갈 수 있도록 인정하는 포용적인 특성을 보인다. "샐러드볼 이론"에 따라 새로운 소수 집단의 문화가 유입되었을 때 기존 주류 문화와 통합되지 않고 두 문화가 함께 유지된다. 소수 문화와 주류 문화 간 우열이 없이 동등하게 어울리게 된다. 문화 다원주의와 다문화주의로 나뉘며, 소수 집단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사회 전체의 소통과 교류로 두 집단 간 대등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한다. 호주, 미국, 스웨덴, 캐나다 등이 다문화주의 모델에 해당한다.
2.1.3. 자신의 견해 서술
앞서 문화다양성에 관련된 3가지 모델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근 사회의 흐름을 살펴보면 어떤 한가지의 모델을 추구하기보다는 3가지 모델을 적적하게 병용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우리나라 또한 현재 동화주의 모델의 양상을 많이 보이고 있긴하나 글로벌 사회에 따른 다문화 가족의 증가에 소수 집단의 문화를 좀 더 이해하고 존중하는 다문화주의 모델을 병용하는 추세이다.
각 나라의 고유한 문화, 역사, 정치, 경제 등의 특성에 따라서 이민자 소수 집단을 위한 복지, 사회통합 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결혼이민자의 경우 한국에 장기적으로 체류하게 된다. 이들에게 이민자 통합교육을 통하여 이민자들에게 일방적으로 동화를 요구하고 있다. 한국어, 역사, 문화 및 규칙, 생활양식을 습득하게 하여 한국인처럼 살기를 강요한다. 앞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