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의 본질과 가치
1.1. 간호의 정의
간호의 정의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다양한 간호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어 왔다.
나이팅게일은 간호를 "자연의 치료력이 환자로 더불어 작용할 수 있도록 그를 가장 좋은 상태로 유지시키는 일"이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근대 간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지금도 자주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간호의 정의도 변화할 필요가 있었다. 버지니아 핸더슨은 간호를 "환자가 일상의 행동을 함에 있어서 또 의사가 지시한 치료를 실행하는데 있어서 지식, 의지, 또는 체력의 점에서 그에게 부족됨이 있을 때 그것을 보충해주는 일"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는 환자 중심 간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핸더슨은 간호사의 역할이 환자의 건강, 회복, 편안한 죽음을 위해 필요한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경우 이를 보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간호사가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종합하면, 간호의 정의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해왔으며, 주된 관심대상은 인간이며 통합적인 존재로 인식하고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동의되고 있다. 또한 간호는 대상자의 요구에 맞추어 실천하는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1.2. 간호의 본질
1.2.1. 배려, 연민, 공감
간호의 본질에는 배려, 연민, 공감이 포함된다. 간호사는 대상자에 대한 배려심과 연민을 가지고 공감적인 태도로 간호를 실천해야 한다.
배려는 다른 사람의 처지를 이해하고 그들의 행복을 진심으로 배려하는 마음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요구를 세심하게 파악하고 이해하여 그들의 웰빙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와의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연민은 다른 사람의 고통에 공감하고 이를 함께 겪고자 하는 마음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질병, 고통, 불편감 등에 대해 공감하고 이를 경감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통해 환자가 겪는 고통을 함께 경험하고 이를 감싸안는 태도를 보인다.
공감은 타인의 입장에 서서 그들의 느낌과 생각을 이해하려는 노력이다. 간호사는 환자의 처지와 감정을 이해하려 노력하며, 이를 통해 환자와의 소통을 원활히 하고 보다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공감은 관계 형성의 핵심 요소이며, 환자 중심 간호의 근간이 된다.
이처럼 배려, 연민, 공감은 간호의 본질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태도와 마음가짐을 바탕으로 대상자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노력해야 한다.
1.2.2. 봉사적 기능
간호의 본질 중 하나는 봉사적 기능이다. 간호사는 환자와 그 가족을 돌보며 봉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간호사의 역할이 단순히 질병 치료나 증상 관리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환자와 가족의 전인적인 안녕을 위해 노력하는 것임을 의미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는 환자와의 관계 형성을 통해 환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환자 중심의 간호를 제공한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와 그 가족을 지지하고 옹호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환자가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다.
특히 말기 환자나 임종 환자의 경우, 간호사는 환자와 가족의 정서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세심한 배려와 공감을 바탕으로 봉사한다. 이를 통해 환자와 가족이 평화롭고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나아가 간호사는 지역사회 내에서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을 위한 봉사 활동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는 간호사가 단순히 개인 차원의 돌봄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간호의 봉사적 기능은 단순히 질병 관리에 그치지 않고 환자와 가족,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과 안녕을 증진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이는 간호사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