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학교밖 청소년의 사이버 도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터넷 도박 중독
2.1. 성인의 인터넷 도박 중독 원인
2.1.1. 개인적 원인
2.1.2. 사회문화적 원인
2.1.3. 사회 제도적 원인
2.2. 청소년의 인터넷 도박 중독 원인
2.2.1. 스마트폰의 사용 증가
2.2.2. 쉬운 접근성
2.2.3. 개인적 원인
2.3. 인터넷 도박 중독 예방을 위한 대안
2.3.1. 사회적 관심
2.3.2. 안전장치 마련
2.3.3. 교육
3. 인터넷, 스마트폰, 도박과 약물 중독
3.1. 인터넷 중독
3.1.1. 개념 및 특징
3.1.2. 증상 및 예방
3.2. 스마트폰 중독
3.2.1. 개념 및 특징
3.2.2. 증상 및 예방
3.3. 도박과 약물 중독
3.3.1. 개념 및 특징
3.3.2. 증상 및 예방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경제의 발전과 문화의 변화로 인해 성인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에게도 영향을 주고 있는 가운데 외적인 환경인 학교 내에서의 활동과 내적인 부분인 가정 내의 불안한 요소들이 원인이 되고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청소년 문제 중 자살, 가출, 성범죄, 등의 비행에 빠지면서 정상적인 생활을 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OECD 국가 중 자살률이 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가운데 청소년 자살도 가파르게 올라가면서 본론에서는 청소년의 심각한 사회문제를 통해서 현재 생각 되는 주제를 정하고 이유와 학술적인 근거를 통해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2. 인터넷 도박 중독
2.1. 성인의 인터넷 도박 중독 원인
2.1.1. 개인적 원인
개인적 원인인 도박의 동기는 오락 또는 흥미로 인해 도박을 시작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인터넷 도박의 경우 오프라인 도박에 비해서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시작하게 된다. 우리나라는 여가의 수단이 제한적이어서 오락 또는 흥미의 수단, 스트레스 해소 수단 등으로 인터넷 도박을 이용하게 된다. 인터넷 도박은 오프라인 도박과 다르게 금전적인 이익보다는 흥분과 유희를 얻기 위해서 하게 되는 것이 크다. 결국 인터넷 도박자들은 놀이로 생각하여 재미와 긴장감을 위해 도박을 하는 것이다. 인터넷 도박은 도박 중독이 가장 큰 문제가 된다. 인터넷 도박은 도박의 중독과 인터넷 중독이라는 모두가 포함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주목적은 도박이 되고 인터넷은 수단 중의 하나로 선택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인터넷 도박의 원인 이해는 도박의 이유와 도박과 관련되어 심리적인 특성을 알아야 한다. 도박을 통해서 얻으려는 보상은 개인의 특성 및 상황, 도박의 수준에 따라서 다양성을 가진다. 도박에 중독된 도박중독자들의 경우 성공적 결과가 자신들이 노력해서 성공적인 예측을 했기 때문으로 받아들이면서 실패한 결과에 대해 무시하고 설명을 회피하려고 하는 경향을 보인다. 성공 결과는 도박자의 기대와 우연히 일치한 것이지만 도박자들은 자신이 판단하고 계산을 하여 성공했다고 확신하고 기대와 일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면 실수 또는 자기 책임으로 보지 않고 회피하면서 도박패턴과 도박 행동을 계속해서 유지한다.
2.1.2. 사회문화적 원인
사회문화적으로는 도박을 한탕주의, 도박의 허용도, 건전한 여가 문화 부재 등이 인터넷 도박 중독의 원인이 된다"".
사회적 경기침체로 인해서 취업난 등에 의해 복권이나 불법도박으로 한탕을 해보겠다는 한탕주의가 심화하고 양극화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이 높아져 불법 도박을 하는 성인들이 늘어나게 된 것이다"".
또한 경마, 복권처럼 합법적인 도박이 확대되고 우연을 통해서 이윤을 획득하려는 행위를 부추기게 되는 사회 분위기로 인해서 일반인들이 도박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게 되면서 도박을 하기도 한다"".
2.1.3. 사회 제도적 원인
인터넷 도박에 대해서 감시 체제가 비효율성을 가지고 있고 인터넷 도박의 단속과 적발이 어려워 쉽게 도박을 하게 된다. 인터넷 도박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져 사이트 주소 변경 등이 이루어지면 적발이 어렵고 적발이 되더라도 관련 기록이 암호화되어 있으면 증거 확보가 곤란하다. 처벌 후에도 새롭게 사이트를 개설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가 어렵다. 결국 인터넷 도박은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져 인터넷 도박을 적발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사이트 운영자들은 불법 도박 사이트 개설을 통해 고수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사이트 운영을 포기하지 못하고 계...
참고 자료
오윤선, 「청소년 지도방법론」, 양서원, 2018.02.10.
홍영오, 「인터넷 도박의 증가원인과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1.
이태림, 「[월간중앙] 청소년 일상 조여오는 도박 중독」, 월간중앙, 2019.06.23.https://news.joins.com/article/23503926
서민수, 「사이버 도박으로 5천만원을 잃었습니다.」, 브런치, 2019.
https://brunch.co.kr/@minusseo/77
생활지도와 상담, 중앙사이버평생교육원
아동 청소년 인터넷 중독 대응정책 현황과 개선과제, 2020. 11. 국회입법조사처, 최진응
청소년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 예방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아시아교육연구, 2017. 김동일, 금창민, 박알뜨리, 이승호,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실태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김춘미
4대 중독 원인 및 중독 예방정책, 보건복지포럼, 2013. 6. 가톨릭대학교 이해국
청소년 인터넷 중독의 이해와 상담 박승민, 조영미 외 1명 저 | 학지사 | 2011
오영진 외, 청소년기 내면화 문제 행동의 발달궤적 양상과 유형화 예측 변인, 대한가정학회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