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사 임신중절 윤리적딜레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주제 선정 이유
2. 인공임신중절
2.1. 정의
2.2. 종류
2.3. 수술적 방법
2.4. 약물을 이용한 방법
2.5. 부작용/후유증
2.6. 관련 법규
3. 현황 및 문제점
3.1. 현황
3.2. 문제점
4. 윤리적 딜레마 사례
5. 윤리적 쟁점
5.1. 임신중절수술 찬성
5.2. 임신중절수술 반대
6. 나의 윤리적 의사결정과 근거
7. 개선사항 제시
7.1. 불법 낙태를 줄이기 위한 대책
7.2. 현행 법규의 개선
7.3. 인공임신중절수술에 대한 관리 체계 마련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주제 선정 이유
'옷걸이를 든 검은 시위' 라는 제목의 기사를 접하면서 작성자는 임신중절에 대해 깊이 있게 생각해보게 되었다. 작성자는 임신중절이 자신과도 관련된 문제라고 느꼈고, 임신중절이 허용되어야 한다는 견해에 동의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행법상 임신중절이 불법이라는 사실에 직면하게 되었다. 따라서 작성자는 임신중절에 대한 윤리적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고, 이 주제에 대해 깊이 있게 공부하고 신중하게 생각해보고자 하는 바람이 생겼다. 이에 '임신중절'을 자신의 윤리적 딜레마 연구 주제로 선정하게 되었다"라고 볼 수 있다.
2. 인공임신중절
2.1. 정의
모자보건법에 따르면 인공임신중절(induced abortion)은 "태아가 모체 밖에서는 생명을 유지할 수 없는 시기에 태아와 그 부속물을 인공적으로 모체 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2.2. 종류
인공임신중절의 종류는 크게 치료적 유산과 선택적 유산으로 나눌 수 있다.
치료적 유산은 의학적, 법의학적 적응증에 의한 인공유산을 의미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모체의 생명이나 건강이 위협받는 경우, 태아의 중증 기형이나 유전 질환 등이 있다. 이러한 경우 모체의 생명과 건강 보호가 더 우선시되어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된다.
선택적 유산은 사회적 적응증 및 여성의 자기 결정에 의한 인공 유산을 의미한다. 주요 사유로는 경제적 곤란, 학업이나 직장에 지장을 초래할 것 같은 경우, 임부의 의지와 달리 임신이 된 경우 등이 있다. 이는 여성의 권리와 선택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허용되고 있다.
이처럼 인공임신중절은 의학적 필요성과 여성의 자기 결정권이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그 허용 여부가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2.3. 수술적 방법
수술적 방법에는 자궁경부 개대 및 소파술, 월경 흡입법, 개복 수술이 있다. 자궁경부 개대 및 소파술은 자궁경부를 확장시켜 자궁 내 태아와 태반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월경 흡입법은 자궁강 내 태아와 태반을 진공흡입기로 제거하는 방법이다. 개복 수술은 복부를 절개하여 자궁을 꺼내고 자궁 내 태아와 태반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수술적 방법은 임신 초기 13주까지 많이 이용되며 이후 시기에는 위험성이 증가한다. 수술적 방법은 약물을 이용한 방법에 비해 시간이 짧고 출혈 및 감염 등의 부작용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으나, 마취와 수술에 따른 위험성도 존재한다.""
2.4. 약물을 이용한 방법
약물을 이용한 방법은 미소프로스톨, 미페프리스톤, 메토트렉세이트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임신중절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수술적 방법에 비해 덜 침습적이고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미소프로스톨은 자궁수축을 유발하여 태아와 태반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미페프리스톤은 임신의 유지에 필수적인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차단하여 임신이 유지되지 않게 만든다. 메토트렉세이트는 태아의 성장을 방해하여 자연유산을 유도한다. 이러한 약물 요법은 임신 초기에 주로 사용되며 임신 9주 이내에 가장 효과적이다.
약물 낙태 방식은 보통 2-3단계로 이루어지며, 첫 단계에서 항프로게스테론제인 미페프리스톤을 투여하고 24-48시간 후 두 번째 단계로 미소프로스톨을 투여한다. 이를 통해 태아와 태반이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약물 낙태는 수술적 방법에 비해 출혈 및 감염 등의 부작용이 적고,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편이다. 또한 입원이 필요 없어 시술 비용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완전한 유산을 위해 2-3회의 약물 투여가 필요하고, 약물 투여 후 부작용 관리가 중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2.5. 부작용/후유증
인공임신중절 수술에 따른 부작용 및 후유증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궁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인공임신중절 시술 도중 자궁이 천공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는 심각한 내출혈과 감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천공의 원인으로는 자궁의 손상, 태아의 부정위, 자궁 기형 등이 있다. 천공의 경우 즉각적인 외과적 처치가 필요하다.
둘째,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자궁근...
참고 자료
정세희·성기윤, ‘[청소년 낙태 리포트] 첫경험 평균나이 13.6세…임신 청소년은 통계조차 안잡혀’, 헤럴드경제, 2019년 4월 9일.
서한기, ‘국내 낙태실태…2017년 5만건 추정, 7년전보다 11만건↓’, 연합뉴스, 2019년 4월 11일.
이성원, ‘[커버스토리] 엄마가 되지 않을 자유’, 서울신문, 2017년 11월 11일.
홍지유, ‘'낙태죄' 사라지는 지구촌···美는 트럼프 이후 '역행', 중앙일보, 2019년 4월 12일.
김철중, ’'낙태' 외국과 비교해보니…‘, 조선일보, 2010년 2월 10일.
온라인 뉴스팀, ’성폭행 피해 여성 강제출산 논란…낙태금지법 비판 여론‘, 스포츠월드, 2014년 8월 19일.
김동빈, ’"성폭행 입증해라" 합법적 수술도 낙인찍는 '낙태죄'‘, 노컷뉴스, 2017년 11월 28일.
공병혜 외 4명, 「제 3판 생명윤리」, 현문사, 1989년, p.66.
김한솔, ’생리 안 해도 창피해서 산부인과 안 가는 요즘 10대 여학생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여성 질환‘, 라이프, 2021년 4월 20일.
이미경, ’후기 낙태 경험한 의사 “끔찍하고 잔인… 정서적으로 힘들어”‘, 기독일보, 2020년 12월 14일.
두산백과, 인공임신중절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인공유산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9.23.금 석간], 보건복지부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No.196 2015.08.26.], 경기연구원
“여성의 건강과 임신‧출산이 함께 지지받는 사회적 여건 조성을 위한 토론회” 2017.01.24. 의료정책연구소
송근화(2015),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정오(2016),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근친강간으로 가진 아기 어떡해야 하는가?” 2011.02.24 코메디닷컴
http://www.kormedi.com/news/excolumn/medilaw/1199375_302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