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과정
1.1. 간호 진단 1: 생물학적 요인(장운동 저하)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1.1.1. 간호 사정
대상자의 간호 사정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는 수술 후 장운동 저하로 인한 영양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입원 당시 대상자의 몸무게는 63.1kg이었으며, 수술 후 점차 감소하여 11월 24일 58.83kg까지 저하되었다. 11월 20일부터 11월 24일까지 금식 상태였으며, 11월 25일부터 전유동식(미음)을 섭취하기 시작하였다. 수분 섭취량이 적고 소화기능이 저하되어 영양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사료된다. 혈액검사 결과 11월 22일 알부민 3.5g/dL, 총단백 6.5g/dL로 정상범위였으나, 11월 25일 알부민 4.3g/dL로 향상되었다. 이는 전유동식 섭취 이후 영양상태가 일부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대상자는 "방귀가 안나와서 (배가) 불편하고 땡겨."라고 호소하였고, "배가 불편해서 먹기 힘들어."라고 호소하였다. 이를 통해 장운동 저하로 인한 복부 불편감과 식욕부진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수술부위의 통증을 호소하여 전반적인 영양상태 악화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간호 사정 결과를 종합해볼 때, 대상자는 장운동 저하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1.2. 간호 목표
대상자의 입원 시 몸무게가 63.1kg이었으므로, 퇴원 시까지 체중이 60kg 이상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첫 번째 간호 목표이다. 이는 대상자의 영양 상태가 개선되어 적절한 칼로리와 단백질 섭취를 통해 체중을 회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자가 통증으로 인해 식사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통증완화요법을 적용 후 식사 전후 통증이 2점 이하로 감소하여 편안하게 식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두 번째 목표이다. 이는 통증이 식욕을 저하시키는 요인이므로 통증 관리를 통해 원활한 식이 섭취가 가능해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대상자가 수술 후 식이에 대한 교육을 받고 2일 이내 권장식이에 대해 교육받은 내용을 모두 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세 번째 목표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자신의 식이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적절한 섭취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1.3. 간호 중재 계획
식사 양상, I/O 체크를 통해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대상자의 식사 섭취량과 섭취 양상을 관찰하고 기록함으로써 영양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2. 정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한다. 정기적인 체중 측정을 통해 영양 상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3. 식이 섭취 후 복부 불편감이 있는지 사정한다. 식이 섭취 후 대상자의 복부 증상을 사정하여 위장관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할 수 있다""
4. 통증을 사정하고 통증이 심할 시 알리도록 한다. 통증을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할 경우 이를 신속히 확인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5. lab상 영양지표를 관찰한다. 혈액검사 결과를 통해 영양 상태를 객관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1. 영양사와 상의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식이를 제공한다. 대상자의 특성과 선호도를 고려한 식이를 영양사와 상의하여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영양 섭취를 도모할 수 있다""
2. 병동을 걸으며 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병동 내 보행 운동을 통해 장운동을 촉진하고 구토, 변비 등의 위장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3. 통증이 있을 시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1.1.4. 이론적 근거
영양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의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상태의 사정은 간호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영양상태를 사정함으로써 대상자에게 적합한 식단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체검진, 체중의 증가와 감소는 영양상태의 지표가 될 수 있다. 또한 영양지표인 혈액검사 결과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체중 변화와 혈액검사 결과를 통해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둘째, 장운동이 돌아온 지 얼마 되지 않은 경우 음식 섭취 시 소화불량 및 복부통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장운동 저하로 인한 영양흡수 저하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장운동 회복 정도에 따라 대상자의 식이를 점진적으로 조절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식욕증진을 방해하는 증상, 특히 통증을 제거함으로써 대상자가 식사시간에 몰입할 수 있게 된다. 통증은 식욕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통증 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영양지표인 알부민과 총단백질 수치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영양 섭취 상태와 간호중재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영양불균형 진단과 관련된 이론적 근거는 대상자의 신체검진 및 혈액검사, 장운동 회복 정도, 통증관리, 그리고 영양지표 변화 관찰 등이다. 이를 통해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1.1.5. 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의 퇴원 당일 몸무게는 60.2kg로 측정되었다. 이는 입원 시 몸무게인 60kg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수술 직후 식이와 회복기 식이에 대한 교육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