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가족 간호과정
1.1. 대상가족 사정
1.1.1. 가족구조 및 가족발달단계
대상가족의 가족구조는 확대가족 형태이다. 대상가족은 부모(남편, 부인), 자녀(아들, 딸), 시어머니 등 총 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상가족의 구성원은 남편(58세), 부인(56세), 아들(32세), 딸(29세), 시어머니(82세)이다.
가족발달단계에 있어서 대상가족은 중년기에 해당한다. 중년기 가족발달 과업은 노인세대와의 관계 유지, 텅 빈 보금자리에 적응하기, 조부모의 생활에 적응하기, 은퇴에 적응하기, 쇠퇴하는 신체적·정신적 기능에 대처하기 등이다. 따라서 대상가족은 시어머니의 치매 돌봄, 자녀들의 독립, 부모의 은퇴 등 중년기 가족발달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다.
1.1.2. 가족 체계 및 상호작용
가족 체계 및 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족은 하나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인이나 하나의 하위체계에 일어나는 변화는 전체 가족 체계에 영향을 미친다. 이 대상가족은 핵가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족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고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의존성이 두드러진다.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남편이 권위적이며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편이어서 서로 의견을 교환하고 공동으로 해결하는 방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시어머니의 돌봄과 가사일을 대부분 도맡아 하고 있어, 어머니의 역할이 과중한 편이다. 자녀들은 가족 내 일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편이었다.
그러나 가족 구성원 간의 대화와 소통은 비교적 활발한 편이며, 어려운 상황이 생겨도 함께 해결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인다. 가족 간의 유대감은 높은 편이며, 가족 행사나 여행을 함께하며 가족 간의 결속을 다지려 노력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종합적으로 이 가족은 전통적인 가부장제적 가족 구조를 보이며, 어머니의 역할이 과중한 편이지만 전반적인 가족 체계와 상호작용은 양호한 편이라고 볼 수 있다.
1.1.3. 가족 건강력 및 위험요인
가족 구성원 모두의 건강력과 위험요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버지(김OO, 58세)는 오래 전 건강검진에서 당뇨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식습관이나 생활면에 있어서 전혀 경각심을 느끼지 않고 관리를 하지 않는 상태이다. 또한, 최근 건강검진에서는 고혈압 진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으로 판단되는 흡연량과 음주량을 전혀 줄이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잦은 회식 자리와 동창들 간의 술자리를 가짐으로써 1주일에 3번에서 4번 가량 술과 담배를 찾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아버지는 건강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건강관리도 소홀한 편이다.
어머니(이OO, 56세)는 최근 건강검진에서 고혈압 진단을 받아 건강관리에 대해 신경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