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재난의심리사회적간호

  • 1
  • 2
  • 3
  • 4
  • 5
  • 6
  • 7
>

상세정보

소개글

"재난의심리사회적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역관련 건강요구 및 건강문제 분포
1.1.1. 자연재난
1.1.2. 사회재난
1.2. 특정 건강요구 혹은 건강문제 선정

2. 본론
2.1. 건강요구 및 건강문제와 관련된 보건(의료)현황
2.1.1. 재난심리지원 법적 근거
2.1.2. 우리나라 재난심리지원 체계
2.1.3. 재난심리회복지원 활동가 인력
2.2. 건강요구 및 건강문제에 따른 지역사회에서 관리 현황
2.2.1. 재난피해자 심리회복지원 서비스 제공
2.2.2. 국가트라우마센터
2.2.3. 소외계층 대상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 지원
2.2.4. 개인적 의견

3. 결론
3.1. 재난심리전문가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역관련 건강요구 및 건강문제 분포
1.1.1. 자연재난

자연재난은 태풍 · 홍수 · 호우(豪雨) · 강풍 · 풍랑 · 해일 · 조수(潮水) · 대설 · 가뭄 · 지진(지진해일) · 황사 등과 같은 자연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난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아시아 대륙과 태평양이 만나는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여름에는 집중호우나 태풍, 겨울에는 폭설 등의 자연 재난을 되풀이하여 겪어오고 있다. 최근 10년간('08-'17) 우리나라의 연평균 자연재난 인명피해는 15명, 재산피해는 3,486억 원(2017년도 환산 가격기준)에 달하고 있다. 특히 2018년에는 3월 대설, 8월 집중호우, 10월 태풍 콩레이로 인해 53명의 사망자와 1,413억 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는 등 전국 곳곳에 크고 작은 자연재해가 총 27회 있었다. 이처럼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규모와 심각성은 지속적으로 가중되고 있는 추세이다.


1.1.2. 사회재난

사회재난이란 화재·붕괴·폭발·교통사고·화생방사고·환경오염사고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대처가 필요한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 등과 에너지·통신·교통·금융·의료·수도 등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감염병 또는 가축전염병의 확산 등으로 인한 피해로 자연재해가 아닌 것을 말한다.

최근의 사회재난 발생내역을 살펴보면 대형화재의 건수가 14건수로 가장 많았으며, 인명피해 역시 70명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2014년의 세월호 사고는 인명피해가 304명에 달하는 충격적인 재난이었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는 홍수, 지진, 쓰나미와 같은 자연 재난에서부터 테러, 선박사고, 화재 등의 인위적인 재난에 이르기까지 재난이 빈번히 발생하며 피해양상이 복잡해지고 피해규모 또한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지구의 환경 변화로 인해 2018년은 폭염으로 인한 48명의 인명피해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이렇듯 재난으로 인한 피해의 규모나 심각성은 가중되고 있다.


1.2. 특정 건강요구 혹은 건강문제 선정

재난으로 인한 건강문제 중에서도 특히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은 정신적인 문제이다. 생존자와 유가족들은 여러 가지 심리적·행동적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예민함, 불안·초조, 분노, 무력감, 우울감과 같은 심리적 반응에서부터 소화불량, 두통, 면역계 질환과 같은 신체증상,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 등의 인지증상까지 충격으로 인한 반응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또한 이것이 장기화되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이어질 수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재난피해자가 재난을 경험한 이후 재난 이전과 비교하여 불안과 우울 수준은 증가한 반면 재난 이후 삶에 대한 만족감은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피해자들은 재난이 자신의 심리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


참고 자료

국립재난안전 연구원(2016).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요인 조사·분석 및 재난구호 기술개발』
이다영, 나준호, 심민영. (2015) 『재난 유형에 따른 심리적 반응과 신체적 외상:인적재난을 중심으로』,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54(3), p. 261-268
행정안전부, “최근 5년간 사회재난 발생현황”, 사회재난대응정책과 / 김동식, 2018.12.12.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5&nttId=67661
최남희, 변주훈, 한동일, 임숙빈 (2007), 『자연재난 집중호우 피해자의 심리적 충격과 우울』.정신간호학회지. 16(2). p. 139-149
조명선 (2019). 재난 피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제3차 재난 피해자 패널 자료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0(2). p. 217-225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사업부, http://www.ncmh.go.kr/kor/board/snmhHtmlView.jsp?no=2263&menu_cd=K_11_03_00_00_00
국민재난안전포털, 심리회복지원소개,http://www.safekorea.go.kr/idsiSFK/neo/sfk/cs/pcm/spo/MsfrtnTrlSportRetrieve.html?menuSeq=556
정부24, 소외계층 대상 문화예술 치유 프로그램 지원,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137100000032
정부24, 재난피해자 심리회복지원 서비스 제공,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PTR000051664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