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심리학실험연구에서 동물을 사용하는 것을 찬성하는가 아니면 반대하는가, 윤리적 측면과 연결지어 입장을 주장해보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동물실험에 대한 이해
1.1. 동물실험의 개념
1.2. 동물실험의 연구현황
1.3. 동물실험의 기본원칙
1.4. 동물실험의 한계
2. 동물권에 대한 철학적 이해
2.1. 동물에 대한 도덕적 고려
2.2. 인간중심주의 입장
2.3. 싱어의 동물 해방 운동
2.4. 레건의 동물권리론과 폴 테일러의 생명 중심주의
3. 동물권에 대한 윤리적 검토
3.1. 동물의 도덕적 지위
3.2. 동물의 법적 지위
3.3. 동물권의 윤리적 쟁점
4. 윤리학과 동물이해
4.1. 동서양 윤리학의 동물 이해
4.2. 동물에 대한 현대의 윤리적 논의들
5. 동물실험의 생명윤리
5.1. 생명윤리의 개념
5.2. 동물실험과 생명윤리
6. 시사점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동물실험에 대한 이해
1.1. 동물실험의 개념
동물실험이란 교육, 연구 및 생물학적 체제의 생산 등 과학적인 목적을 위해 동물을 사용하여 인체를 대신하게 하여 생명현상을 연구 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동물실험에는 가축이나 야생동물을 포함하여 원생동물부터 포유동물까지 다양한 종의 동물들이 사용될 정도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동물실험은 기원전 5세기 그리스의 의사가 살아 있는 동물의 시신경을 자르면 시력이 상실된다는 사실을 보여주며 시작되었으며, 이후 히포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등을 거쳐 19세기 이후 생리학 등의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활용되었다. 동물과 인간의 생리적 유사성으로 인해 동물실험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는 현재의 기술로는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1.2. 동물실험의 연구현황
동물실험의 연구현황은 다음과 같다.
과학 연구에서 동물을 사용한 실험이 연구된 것은 동물 실험으로 많은 의학연구가 성과를 내며 발전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외과적 수술, 홍역 치료, 인슐린과 같은 당뇨병 치료제, 간염 치료제, 백신 치료제, 암의 방사선 치료 등과 같은 치료적 방법이 발전이 성공에 이르기까지 실험실에서 실험을 당하고 죽어간 동물들의 희생이 있었다. 그러나 동물 실험이 인간의 건강 상태 개선을 위해 꼭 필요하다는 믿음과 달리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온 사례도 많았다. 대표적으로 전 세계에 1만여 명의 기형아 출산을 하게 만든 1954년 독일 제약사에서 개발한 약물인 탈리도마이드 약물 부작용 사례가 있었다. 이 약물은 동물 실험에서 아무 문제가 없었지만, 인간에게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동물실험에 연구에 사용되는 척추동물로는 마우스와 랫드가 전체의 78%를 차지하고 있으며 조류, 어류, 기니피그, 토끼 순이었다. 동물실험에 사용되어지는 동물의 수는 2012년 이후로 국내 실험동물은 연간 약 800만 마리로 보이며 실제 사용량은 이보다 4~6배가 많은 수치로 예상된다. 특히 동물 실험의 연구 분포로는 신약개발 및 관련 분야에 가장 많은 동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백신 생산회사 등에서 사용되는 동물의 수가 그 중 약 300만 마리로 추정되고 있다.
동물 실험의 확장과 발전에 따라 동물의 권리 및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세계적으로 국제 환경단체 등에서 동물 실험 반대 운동이 확산되고 국제적 동물 실험의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유럽 연합에서는 동물실험을 실시한 화장품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으며 이를 본받아 국내에서도 실험동물의 윤리적 신뢰도 확보를 위한 기준이 있는 운영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1.3. 동물실험의 기본원칙
동물실험의 기본원칙은 3R 원칙(Replacement, Reduction, Refinement)이다. 이 원칙은 동물실험을 보다 윤리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 지침이다.
첫 번째 원칙인 대체(Replacement)는 동물을 사용하지 않고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세포 배양이나 컴퓨터 모델링 등의 방법을 통해 동물 대신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대체 방법은 동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지 않기 때문에 윤리적인 측면에서 중요하다.
두 번째 원칙은 감소(Reduction)이다. 감소는 실험에 사용되는 동물의 수를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실험 설계를 신중하게 계획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동물만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데이터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불필요한 반복 실험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감소 노력을 통해 동물 희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 번째 원칙은 개선(Refinement)이다. 개선은 동물에게 가해지는 고통을 최소화하고 실험 절차를 개선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동물의 복지를 고려하여 실험을 설계하고 수행해야 한다. 예를 들어, 실험 과정에서 동물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고통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마취와 진통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동물의 생활 환경을 개선하고, 실험 후 동물의 사후 관리도 철저히 해야 한다. 이러한 개선 노력을 통해 동물의 복지를 증진할 수 있다.
3R 원칙은 동물실험을 수행하는 모든 연구자들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기본 지침이다. 이는 동물실험의 윤리적 수행을 보장하고, 동물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1.4. 동물실험의 한계
동물실험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장기적으로 볼 때 동물실험이 긍정적인 성과와 분명한 연관이 있음을 증명될 수 있다면 도덕적으로 허용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과학 연구의 목표와 목적을 위해 다른 생명체나 동물에게 고통을 가하거나 생명을 빼앗는 것이 윤리적으로 옳은 것인지가 문제된다. 동물실험은 될 수 있는 한 피해야 하며 사치성 상품을 위한 실험동물의 숫자를 최소화해야 한다.
동물실험에 대한 긍정적인 근거는 인간의 건강과 생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것이지만, 상당한 수의 동물 실험이 부당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면도 간...
참고 자료
동물의 실험 및 과학적 이용에 관한 윤리적 검토, 박소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5
동물실험에 대한 기독교윤리학적 반성, 이정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5
실천적 동물윤리에 근거한 중학교 도덕 교과의 동물윤리교육 개선방안 연구, 송하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동물권에 대한 윤리 교육적 고찰 : 동물권 보호의 실질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황연경, 동국대학교, 2013
해부 실험을 이용한 생명윤리 교육 수업지도안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김희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중·고등학생들의 해부실험에 대한 인식과 실태 조사 : 서울특별시,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대상, 우미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동물의 권리와 복지, 건국대학교 출판부, 김진석, 2005
피터 싱어 동물해방론의 도덕교육적 의미, 김대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