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역사회 특성
1.1. 지정학적 특성
성남시는 1960년대 말 서울시에서 팽창되는 인구와 공장을 분산시키고 무허가 건물 철거민을 이주시킬 목적으로 조성된 대규모 이주 단지이다. 따라서 성남시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정책적으로 개발된 "인공도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성남시의 지형은 분지 등에 형성된 자연 발생적인 타 도시들에 비해 지면의 굴곡과 비탈이 심한 특징을 보인다. 실제로 성남시는 동부와 서부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앙부의 탄천 주변은 평야지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성남시는 도심과 자연이 함께 공존하는 도시라고 할 수 있다.
1.2. 자연환경 특성
성남시의 자연환경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남시는 한반도의 기본 골격이 되는 백두대간 중 철령에서 뻗어 나와 강화도에 이르며 서남쪽으로 길게 뻗은 광주산맥, 그중에서도 다시 남북으로 뻗어 나와 있는 두 지맥이 동쪽 자락에서는 청량산, 검단산, 매지봉, 불곡산으로, 맞은편 서쪽 자락에서는 대모산, 인릉산, 청계산, 국사봉으로 이어지는 형세 안에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성남시는 인공적으로 건설된 도시이기 때문에 분지 등에 형성된 자연 발생적인 다른 도시들에 비해 그 지면의 굴곡과 비탈이 심한 것이 특징이다.
성남시의 동편과 서편은 산록지대이며, 중앙부의 탄천주변은 평야지대이다. 따라서 시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남-북측이 낮고 평평한 지역이다. 반면 동부·서부는 주변에 비해 고도가 높은 산지로, 동부 지역은 백운산-바라산 능선과 인릉산, 청계산 능선 등 산지가 위치하며 서부지역은 청량산과 검단산을 잇는 400m 이상의 고지로 이루어져 있다.
성남시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탄천은 용인시 기흥구 구성동 물푸레울에서 발원하여 분당구 석운동에서 흘러내려 오는 동막천과 분당구 구미동에서 합류한다. 합류한 하천은 시의 중심부를 지나 한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성남시 대부분의 토질은 사질 비율이 매우 높아 작물 재배에는 불리한 편이다. 이러한 특성과 수도권의 위성도시라는 사회적인 요소로 주곡 작물 재배보다는 시설 재배가 나타나고 과채류, 양채류, 엽채류 등의 채소와 화훼, 과수 농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1.3. 인구 특성
성남시 인구 특성은 다음과 같다.
성남시의 인구수는 약 93만 명으로 경기도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성남시는 3개의 행정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구의 인구수를 살펴보면 분당구가 약 48만 명으로 가장 많고, 수정구가 약 24만 명, 중원구가 약 12만 명 순이다.
성남시 전체 인구 대비 수정구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25%이다. 수정구는 성남시 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역이다.
수정구의 단위면적당 인구수는 약 5,191명으로, 성남시 3개 구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중원구와 분당구의 단위면적당 인구수는 각각 약 7,980명, 6,939명으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편이다.
성남시와 수정구의 인구피라미드 모형은 방추형을 보이고 있다. 이는 출생률이 낮은 선진국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유소년층 인구 비율이 낮고 청장년층의 비중이 큰 것을 의미한다. 이에 비해 성장세가 높은 화성시는 별형(도시형) 인구피라미드를 보이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성남시 전체와 수정구 모두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정구의 경우 단위면적당 인구수와 유소년층 비율이 다른 구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이는 성남시의 고령화와 인구 경쟁력 약화를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4. 노인인구 현황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의 노인인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2022년 수정구의 65세 이상 인구 수는 40,607명으로, 노인 인구 비율은 17.3%이다. 이는 성남시 전체(15.4%)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전국 평균(17.7%)과 비슷한 수준이다.
수정구의 노인부양지수는 23.7%로, 성남시 전체(21.1%)와 전국 평균(25.1%)보다는 낮은 편이다. 노령화지수는 180.3%로, 이는 성남시(135.3%)와 전국 평균(153%)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즉, 수정구의 노인 인구 비율은 높은 편이며, 특히 노령화지수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정구의 고령화가 상대적으로 더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수정구에서는 고령자의 고용과 소득보장, 건강증진과 의료 제공, 사회 활동의 장려, 고령친화적 사업의 육성 등 다양한 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1.5. 사회경제적 수준
성남시 수정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살펴보면, 월평균 가구소득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정구의 경우 "월평균 가구소득 8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자는 3.6%"에 불과한 반면, 분당구의 경우 "25.5%"로 월등히 높은 비율을 보인다. 이는 성남시 내에서도 지역별로 소득 수준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수정구는 "기초생활수급 가정"이 8,906세대(총 12,223명)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원구 6,786세대(9,340명), 분당구 6,184세대(8,764명)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저소득 가구가 밀집해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경제활동 참가율의 경우 성남시 전체가 59.1%로 전국(62.0%) 및 경기도(62.6%) 대비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월평균 임금(보수) 수준은 335만원으로 전국(259만원) 및 경기도(284만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성남시 내에서도 지역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데, 수정구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소득 가구가 많고 소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정구 주민들의 생활안정을 위한 적극적인 복지정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1.6. 경제활동인구의 직업분포
경제활동인구의 직업분포는 성남시의 산업구조와 주민들의 직업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2021년 상반기 기준으로 성남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