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문화계발효과이론
1.1. 문화계발효과이론의 요약
문화계발효과이론은 매스미디어, 특히 텔레비전이 시청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텔레비전 시청자들이 오랜 기간에 걸쳐 텔레비전에서 본 것과 유사한 세계관을 계발하게 된다는 것을 제안한다. 텔레비전의 상징적 세계는 실제 현실과 매우 다르며, 이러한 차이점이 문화계발효과 연구자들의 주요 관심사이다.
텔레비전 시청자들은 텔레비전에서 보는 왜곡된 현실상을 계발하는 경향이 있음을 문화계발효과 연구들이 보여주었다. 문화계발효과이론의 분석은 문화지표 프로젝트의 세 부분 중 하나로, 제도적 과정 분석, 메시지 체계 분석, 그리고 문화계발효과 분석으로 이루어진다. 메시지 체계 분석은 성 역할, 소수집단 묘사, 특정 직업 묘사 등 미디어 내용의 이미지를 조사한다. 문화계발효과는 다양한 대중이 텔레비전 시청을 통해 유사한 메시지를 받게 되어 결국 비슷해지게 된다고 가정한다.
장기적인 텔레비전 프로그램 노출은 연구자들이 주류화라고 부르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주류화는 지배적인 태도, 가치, 관행이 문화 속에 존재하고,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이러한 가치를 보여주고 영속시킨다고 가정한다. 또 다른 개념인 공명은 실제 세계의 사건들이 텔레비전이 보여주는 왜곡된 현실 이미지를 지지할 때 발생한다.
1.2. 문화계발효과이론의 사례
부탄의 범죄 발생률이 텔레비전 도입 이후 상승한 것은 대표적인 문화계발효과이론의 사례이다. 부탄은 1999년까지 텔레비전을 볼 수 없는 유일한 나라였다. 그러나 선진문물 도입과 민주화를 위해 텔레비전이 수입되었고, 부탄인들은 텔레비전을 시청하게 되었다.
텔레비전이 수입된 이후 부탄에서 마약중독, 살인, 총기 난사와 같은 범죄율이 상승하게 되었는데, 이는 바로 텔레비전 시청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탄 텔레비전에 방송되고 있는 46개 채널 중 미국의 '스타 TV' 방송에서 선정적이고 폭력적인 장면이 방송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방송을 즐겨 본 부탄인들은 현실과 텔레비전 방송을 구별하지 못해 모방범죄가 발생한 것이다.
또 다른 사례로는 초등학생의 장래희망이 '유튜버'로 3위를 차지하고, 존경하는 인물에 유튜버가 포함된 것을 들 수 있다. 과거 10위권에 들었던 과학자는 13위로 밀렸고, '운동선수'가 1위였다. 또한 초등학생이 존경하는 인물 3위에 유튜버 도티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러한 인물들은 매스미디어를 접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인물이다.
이를 통해 매스미디어(텔레비전, 유튜브)가 사람들의 상, 관념을 구성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텔레비전에서 방송되는 각종 콘텐츠가 시청자에게 장기간 노출되면서 시청자의 가치관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2. 사회인지이론
2.1. 사회인지이론의 요약
반두라의 사회인지이론은 많은 다른 미디어 효과 이론들의 기초역할을 한다. 사회인지이론은 특정한 행위를 야기하는 인간의 인지를 분석하고 어떤 사람이 학습을 할 때 작동되는 정신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기본 틀을 제공한다. 사회인지이론은 좀더 포괄적인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의 파생물인데, 사회학습이론은 삼원상호인과 과정, 즉 인지적·행위적·환경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행위를 설명한다. 사회인지이론은 인간에게서 두드러지는 몇몇 독특한 인지적 특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특성들로 상징화 능력, 자기 조절 능력, 자기 숙고 능력, 그리고 대리 능력을 들 수 있다. 관찰학습과 모델링은 사회인지이론의 핵심요소이다. 다른 사람들의 행동과 그러한 행동의 결과를 관찰할 때, 사람들은 자신이 관찰한 것을 학습할 수도 있다. 모델링은 학습된 행위를 재연하는 것으로 네 개의 구성 과정, 즉 주목, 기억, 운동 재현, 그리고 동기화를 포함한다. 사람들이 기존의 행위 패턴이나 행동원칙과 상충되는 행위를 관찰하거나 상충되는 정보를 수신할 때, 내적인 갈등은 기존의 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동기화를 재검토하게 만든다. 사람들이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비난받을 만한 행동을 자제할 때, 억제효과가 발생한다. 탈억제효과는 이전에 학습된 특정 행위에 대한 내적 억제력을 없애준다. 시청자들은 스크린에서 본 많은 것에 영향을 받거나 각성된다. 일부 각성 경험들은 속성상 일시적이지 않다. 공포 반응, 대처 기법, 그리고 호불호는 미디어 등장인물에게서 학습되며 그 결과는 오래 지속될 수 있다. 사회인지이론은 인지, 관찰 학습, 그리고 모델링을 통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