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내 편의점 산업 현황 분석
1.1. 편의점 시장 특성
편의점 시장 특성은 다음과 같다.
편의점은 말 그대로 고객에게 편의를 파는 소매점의 한 형태이다. 소비자들이 필요한 상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식료품과 일용 잡화를 중심으로 판매하는 것을 기존 목표로 한다. 특히 연중무휴, 심야영업 등으로 언제든지 원하는 상품을 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과거에는 편의점이 주로 간단한 식품과 음료, 담배 등을 취급하는 전문점이었으나, 점차 그 상품 구색이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편의점에서 공공요금 납부, 택배 서비스, ATM 이용, 휴대폰 충전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편의점은 생활필수품 판매와 편리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편의점은 전국적인 네트워크와 24시간 연중무휴 영업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접근성이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매장 면적에도 불구하고 높은 매출을 달성할 수 있게 되었다.
편의점 산업은 1980년대 후반 국내에 처음 소개된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해왔다. 특히 2000년대 후반 이후 편의점 수가 급격히 늘어나며 편의점 시장이 크게 확대되었다. 이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함께 편의점이 생활 밀착형 유통채널로 자리잡아갔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편의점 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다. 대형 편의점 브랜드들 간 과도한 출점 경쟁으로 인해 편의점 포화상태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점포 수 증가율이 둔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편의점 업체들은 상품 구색 확대, 편의 서비스 강화, 브랜드 차별화 등 다양한 전략을 펼치며 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다.
1.2. 잠재적 경쟁자
편의점 시장에서의 잠재적 경쟁자는 주로 다른 유통 업태와의 경쟁이다. 기존에 존재하던 슈퍼마켓이나 백화점, 그리고 대형할인점들이 잠재적 경쟁자로 볼 수 있다. 이들 유통업체들은 편의점 시장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1993년 처음 등장한 대형할인점의 경우, 10년도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전국에 230개 점포를 늘리며 급성장을 이루었다. 이들 대형할인점은 공산품은 물론 신선식품까지 반나절 만에 처리할 수 있는 거대한 물류시스템을 바탕으로 빠르게 확장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백화점들은 고급 고객을 겨냥한 고급화 전략으로 차별화를 꾀하며 점포당 매출이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또한 슈퍼마켓들도 할인점의 아성에 도전하며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빵집, 즉석 조리코너, 커피숍, 꽃집 등을 입점시키고 어린이 놀이방, 주차장 등의 편의시설까지 갖추면서 고객들을 끌고 있다.
이처럼 편의점 시장은 백화점, 대형할인점, 슈퍼마켓 등 기존 유통 업태들과의 경쟁이 점점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편의점 업계는 타 업태와의 차별화를 꾀하면서도 기존 고객들의 니즈에 부응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신 유통업태의 출현도 편의점 업계의 잠재적 경쟁자로 볼 수 있다. 2000년대 이후 카테고리 킬러, 멤버십 홀세일 클럽, 무점포 소매업, 인터넷 쇼핑몰 등 다양한 새로운 유통업태들이 등장하며 편의점과의 경쟁을 펼치고 있다. 이들 신생 업태는 특정 품목군을 깊이 있게 다루거나, 저렴한 가격 등의 차별화된 특징을 가지고 있어 편의점과의 경쟁에서 위협적인 존재가 되고 있다.
따라서 편의점 업계는 이러한 잠재적 경쟁자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자신만의 고유한 핵심 경쟁력을 발굴하고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1.3. 기존 경쟁자
현재 편의점 시장은 기존 백화점, 할인점, 슈퍼마켓 등과의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편의점의 기존 경쟁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할인점은 1993년 첫 선을 보인 이후 10년 만에 점포 수가 230개로 급성장하며 편의점의 주요 경쟁 상대가 되고 있다. 할인점은 공산품뿐만 아니라 신선식품까지 반나절 만에 처리할 수 있는 거대한 물류시스템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둘째, 백화점도 고급 고객을 겨냥한 고급화 전략으로 편의점과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 덕분에 백화점의 점포당 매출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셋째, 슈퍼마켓도 할인점의 위력에 밀려났던 시기를 지나 최근 변신을 거듭하며 할인점의 아성에 도전하고 있다. 슈퍼마켓은 요즘 할인점처럼 빵집, 즉석 조리코너, 커피숍, 꽃집, 아이스크림점 등을 입점시키고 어린이 놀이방, 주차장 등의 편의시설을 갖추며 고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유통업태들이 편의점과 경쟁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편의점은 이들과의 경쟁에서 차별화를 이루어내지 못하면 생존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1.4. 수요자와의 교섭력
수요자와의 교섭력은 낮은 편이다. 현재 편의점 시장뿐만 아니라 유통시장 전체에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수요자에게 미칠 수 있는 힘은 적다. 또한 주요 고객층이 20~30대에 편중되어 있어 수요자와의 큰 교섭력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수요자와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고객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경영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