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뇌졸중 간호과정 작성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뇌졸중(Stroke)
1.1. 뇌졸중의 정의와 유형
1.2. 뇌졸중의 위험요인
1.3. 뇌졸중의 증상
1.3.1. 반측성 부전마비
1.3.2. 감각장애
1.3.3. 언어장애
1.3.4. 기타 증상
1.4. 뇌졸중의 진단
1.4.1. 혈액검사
1.4.2. 영상검사
1.5. 뇌졸중의 치료
1.5.1. 급성기 치료
1.5.2. 약물치료
1.6. 뇌졸중 환자 간호
1.6.1. 신체사정 및 병력조사
1.6.2.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1.6.3. 뇌졸중의 합병증 예방
1.7. 뇌졸중 예방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뇌졸중(Stroke)
1.1. 뇌졸중의 정의와 유형
뇌졸중(stroke)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짐(뇌출혈)으로써 그 부분의 뇌가 손상되어 나타나는 신경학적 증상을 말한다. 뇌졸중은 뇌혈관 질환과 같은 말이며,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중풍'이라는 말로도 불린다.
뇌졸중의 종류는 크게 허혈성 뇌졸중과 출혈성 뇌졸중으로 구분된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며, 이는 다시 혈전성 뇌졸중과 색전성 뇌졸중으로 나뉜다. 혈전성 뇌졸중은 뇌혈관 자체에서 발생한 혈전으로 인해 발생하며, 색전성 뇌졸중은 심장이나 다른 장기에서 생긴 혈전이 뇌혈관으로 이동하여 막힌 경우에 발생한다. 반면에 출혈성 뇌졸중은 뇌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며, 이는 뇌내출혈과 지주막하출혈로 구분된다. 뇌내출혈은 뇌실질 내부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이고, 지주막하출혈은 뇌와 두개골 사이의 지주막하 공간에 출혈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전체 뇌졸중 환자 중 약 80%가 허혈성 뇌졸중이며, 나머지 20%는 출혈성 뇌졸중이다.""
1.2. 뇌졸중의 위험요인
뇌졸중의 위험요인은 다양하며,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고혈압은 가장 중요한 뇌졸중의 위험요인이다. 고혈압은 뇌혈관을 손상시켜 동맥경화를 유발하고 혈전 생성을 촉진하여 뇌졸중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 혈압이 높을수록 뇌졸중 발병 위험이 증가하며, 혈압 관리가 중요하다.
당뇨병 또한 뇌졸중의 주요 위험요인이다. 당뇨병은 혈관내피 기능을 손상시키고 죽상경화증을 악화시켜 뇌졸중 발병 위험을 2-3배 증가시킨다. 특히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위험이 더 높아진다.
심방세동은 심인성 색전증의 주요 원인으로, 뇌졸중 발병 위험을 3-5배 증가시킨다. 부정맥으로 인해 혈전이 생성되어 뇌로 이동하면 뇌경색을 유발할 수 있다.
고지혈증은 동맥경화를 유발하여 뇌졸중 위험을 증가시킨다. 특히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수록 위험이 커진다.
흡연은 뇌졸중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혈전 생성과 동맥경화를 촉진한다. 금연은 뇌졸중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비만, 신체활동 저하, 스트레스와 우울증 등도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생활습관 및 정신적 요인들은 서로 연관되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뇌졸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도 위험이 증가하는데, 유전적 요인과 함께 생활습관 및 환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나이가 증가할수록, 남성일수록, 인종에 따라 뇌졸중 발생률에 차이가 있는 등 다양한 인구학적 요인들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뇌졸중 예방을 위해서는 고혈압, 당뇨병, 심방세동, 고지혈증 등의 주요 위험요인들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금연,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식습관 등 생활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1.3. 뇌졸중의 증상
1.3.1. 반측성 부전마비
뇌졸중 환자는 흔히 반측성 부전마비(hemiparesis)나 편마비(hemiplegia)를 보인다. 뇌졸중으로 인한 반측성 부전마비는 한쪽 몸의 근력 저하를 특징으로 한다. 대뇌 반구의 손상 부위에 따라 반대쪽 상·하지의 근력 저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대뇌 운동중추인 중심전회(precentral gyrus)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왼쪽 대뇌반구의 손상은 오른쪽 상·하지의 근력 저하를 유발하고, 오른쪽 대뇌반구의 손상은 왼쪽 상·하지의 근력 저하를 초래한다. 뇌간이나 척수의 병변에서도 동측반신마비가 발생할 수 있다.
마비 정도는 완전마비(plegia)에서부터 근력 저하(paresis)까지 다양하다. 대개 하지의 마비가 상지에 비해 더 심하게 나타난다. 환자는 마비된 사지를 사용하려 하지만 힘이 들어가지 않아 어려움을 겪게 된다. 상지의 경우 팔, 손의 움직임이 제한되고 하지의 경우 보행 장애가 주요 증상이다.
이러한 반측성 부전마비는 일상생활 수행에 어려움을 초래하므로, 조기 재활치료를 통해 기능 회복을 도모해야 한다. 과제 지향적 훈련, 전기 자극, 거울 치료 등의 중재를 통해 마비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뇌졸중으로 인한 반측성 부전마비는 대뇌 운동중추의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상·하지 근력 저하를 특징으로 한다.""
1.3.2. 감각장애
뇌졸중으로 인한 감각장애는 뇌의 어느 부위가 손상되었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뇌졸중 환자들은 갑작스러운 감각 장애를 경험하게 되는데, 주로 반대쪽 신체에서 감각 이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감각 장애에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첫째, 반측성 감각 저하(hemianaesthesia)로, 뇌졸중이 발생한 반대쪽 신체에서 촉각, 온도감, 통증감 등의 감각이 저하되는 것이다. 둘째, 감각 과민성(hypersensitivity)으로, 뇌졸중이 발생한 반대쪽 신체에서 매우 불쾌하게 저리거나 아픈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감각 이상은 대뇌 감각 중추의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뇌간이나 시상에 병변이 있는 경우 심한 감각 이...
참고 자료
최순희 외 : 간호과정, 서울 : 현문사, 2019
김금순 외 : 성인간호학 1, 서울 : 수문사 2019
김금순 외 : 성인간호학 2, 서울 : 수문사 2019
양순희 외 : 기본간호학 1, 서울 : 현문사 2019
의약품 사전,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대한뇌졸중학회: 뇌졸중
황옥남. (2020).재활간호의 이론과 실제(제3판). 현문사.
김연희, 한태륜, 정한영, & 전민호. (2009). 뇌졸중 재활치료를 위한 한국형 표준 진료 지침.Brain & N EuroRehabilitation,2(1), 1–38.
권순억. (2001). 뇌졸중의 임상양상.Medical POSTGRADUATES,2(29).
김광수. (2012). 고령자에서 발생한 허혈뇌졸중의 위험인자와 임상결과.The Korean Neurocritical Care Society,5, 25–29.
김지수. (2010). 급성기 뇌졸중에서의 신경안과적 이상.The Korean Neurocritical Care Society,3, s96–s107
김용대, & 김성준. (2014). 다발성 뇌경색 후에 나타난 내사시를 동반한 후천안운동행위상실증 1예. 대한안과학회지,55(9), 1396–1400.
응급 및 재해간호-수문사(김옥숙 외 공저)
서울아산병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518
삼성서울병원
http://www.samsunghospital.com/home/healthInfo/content/contenView.do?CONT_SRC_ID=09a4727a8000f2bd&CONT_SRC=CMS&CONT_ID=1039&CONT_CLS_CD=001020001001
서울성모병원 평생건강증진센터
https://www.cmcseoul.or.kr/healthcare/bbs/view.do?idx=125&curPage=2&keyword=&searchFields=&typ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