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개복하 자궁근종절제술간호과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연구기간 및 방법
2. 문헌고찰
2.1. 자궁의 구조와 기능
2.2. 자궁근종의 정의
2.3. 자궁근종의 유형
2.4. 자궁근종의 이차변성
2.5. 자궁근종의 원인
2.6. 자궁근종의 증상
2.7. 자궁근종의 진단
2.8. 자궁근종의 치료
2.9. 자궁근종 환자 간호
3. 본론
3.1. 간호사정
3.1.1. 일반적 사항
3.1.2. 간호력
3.1.3. 질병과 관련된 사회 심리적 정보
3.1.4. 신체검진
3.1.5. 낙상 및 욕창 사정
3.1.6. 검사내역
3.1.7. 약물력
3.1.8. 수술간호
3.2. 간호과정
3.2.1. 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우선순위
3.2.2. 간호과정
3.2.3. 퇴원교육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궁근종은 가임기 여성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양성종양으로 약 20~35%의 가임기 여성에서 발견된다"" 자궁근종의 국내 환자수는 2018년 40만 명으로 10년 전과 비교하여 30대가 5.3% 증가, 50대 이상은 모든 연령대 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처럼 자궁근종의 국내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궁근종 환자를 케이스 스터디 대상자로 선정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해보고 자궁근종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며 대상자의 질병 완화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1.2. 연구기간 및 방법
20OO년 OO월 OO일부터 20OO년 OO월 OO일까지 OOO님을 대상으로 대상자 관찰, EMR, 전문서적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이다.
2. 문헌고찰
2.1. 자궁의 구조와 기능
자궁(uterus)은 근육성 기관으로 방광과 질 상부 및 직장 사이에 위치하며 수정란의 발육과 월경을 발생시킨다. 자궁은 상부의 자궁체부(corpus)와 하부의 자궁경부(cervix of uterus)로 나누며 상하분의 구분점인 잘록하게 들어간 짧은 원통부분을 자궁협부(isthmus of uterus)라 한다. 자궁체부는 배부와 복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부는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자궁체부의 내강을 자궁강이라고 하며 자궁내막이 자궁강을 감싸고 있다. 자궁경부는 자궁체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원추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자궁경부의 외구(external os)는 질강과 연결되어 있으며, 자궁경부의 내강은 자궁강과 연결되어 있다. 자궁은 복강 내에 위치하며, 전방으로는 방광과 후방으로는 직장과 밀접한 해부학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 자궁은 자궁황색인대와 광인대에 의해 유지되며, 자궁은 임신과 월경주기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이 변화한다..
2.2. 자궁근종의 정의
자궁근종(myoma uteri, Leiomyoma of uterus)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에 생기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다.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장막하근종,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으로 나뉜다. 자궁근종은 여성의 30~50%에서 발생하는 매우 흔한 질환이며, 35세 이상의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난다. 국내 자궁근종 환자수는 2018년 40만 명으로 10년 전과 비교하여 30대가 5.3% 증가, 50대 이상은 모든 연령대 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호발 연령은 40~50대이다."
2.3. 자궁근종의 유형
자궁근종은 자궁벽의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 가능하다. 대부분 체부의 근층에서 발견되지만 드물게 자궁인대, 자궁하부 또는 자궁경부에서도 발생한다. 근종은 발생부위에 따라 점막하근종(submucosal myoma), 근층내근종(intramural myoma), 장막하근종(subserosal myoma)으로 분류된다.
첫째, 점막하근종은 자궁내막 바로 아래에서 생겨 자궁강 내로 폴립처럼 돌출된 근종이다. 이 근종은 감염과 화농, 적색변성 등이 쉽게 나타나는 등 예후가 좋지 않다.
둘째, 근층내근종은 자궁 근층 내 깊숙이 위치하는 근종이다. 자궁의 크기 자체가 커짐으로써 자궁내막의 면적이 증가하고, 따라서 월경량이 증가하게 된다.
셋째, 장막하근종은 자궁을 덮고 있는 복막 바로 아래에서 발생한다. 근종이 늘어져서 줄기(pedicle)를 형성하기도 하며, 광인대 사이에 존재할 경우 인대내근종(intraligamentary myoma)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자궁근종의 유형은 발생 부위에 따라 점막하근종, 근층내근종, 장막하근종으로 구분된다."
2.4. 자궁근종의 이차변성
자궁근종의 이차변성은 자궁근의 증대에 비해 혈관의 발달이 미치지 못하여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하거나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이다""
자궁근종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이차변성은 초자성 변성(hyaline degeneration)이며, 이는 근종 자체의 혈액 공급 장애로 발생한다"" 이로 인해 근종 내부가 균일하고 소용돌이 형태가 사라지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근종이 낭포성으로 변성되어 투명액이나 젤라틴 물질을 포함하는 낭강을 형성하는 낭포성 변성(cystic degeneration)도 나타날 수 있다""
폐경기 이후의 자궁근종, 특히 장막하근종은 혈액순환장애로 인한 빈혈성 괴사가 발생한 후 칼슘 물질이 침착되어 석회화 변성(calcification)을 보이기도 한다""
이 외에도 자궁근종이 자궁 내로 돌출되어 자궁내막이 얇아지면서 감염이 발생하는 감염과 화농(infection and suppuration), 혈액공급 장애로 인한 괴사(necrosis), 진행된 초자성 변성에 의한 지방변성(fatty degeneration), 그리고 드물지만 악성으로의 변화인 육종성 변성(sarcomatous degeneration) 등이 나타날 수 있다""
2.5. 자궁근종의 원인
자궁근종의 원인은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연구를 통해 추정된 바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비정상적으로 증식한 세포에 의해 자궁근종이 형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둘째, 가족적 경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 환자의 경우 직계 가족 중에 자궁근종이 있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유전적 요인이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임신 중에는 근종의 크기가 증가하고 폐경 이후에는 크기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에스트로겐이 근종 발생 및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넷째, 초경이 빠를수록 자궁근종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출산력이 있는 경우 미산부에 비해 위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생식능력과 관련된 호르몬 수준의 변화가 자궁근종 발생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다섯째, 비만(과체중)도 자궁근종 발생의 위험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는 ...
참고 자료
박영주 외 공저, 제 4판 여성건강간호학 Ⅰ. 현문사, 2017
박영주 외 공저, 제 4판 여성건강간호학 Ⅱ. 현문사, 2017
<인터넷>
서울아산병원, “자궁의 평활근종”,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2, (참고한 날짜: 202X.0X.XX)
서울대병원, “자궁근종”,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283, (참고한 날짜: 202X.0X.XX)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자궁근종”,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6190, (참고한 날짜: 202X.0X.XX)
<교재>
안숙희 외 공저, 모성·여성건강간호학(하권), 현문사, 2020
<기사>
더팩트, 2024.07.18, "월경통 기간 길어지고 강도 심해지면 산부인과 진료 받아야", https://n.news.naver.com/article/629/0000305705?sid=102, (접속일: 202X.0X.XX)
여성건강간호학Ⅰ -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김혜원, 이은숙 외 공저 (현문사)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 성미혜, 정향미, 김영희, 양영옥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건강정보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홈페이지 (https://health.kdca.go.kr/)
약학정보원 홈페이지 (https://www.health.kr/main.asp)
가임기 여성의 자궁근종의 보존적 치료와 임신 예후 – 엄지수, 고현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 2022
자궁근종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연구 – 박정규, 윤석근, 김성욱, 이정헌, 김종현, 이승연, 정소망, 류철희, 김종덕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