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천연항균물질의 감수성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최초 생성일 2024.10.03
7,5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천연항균물질의 감수성"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식중독 개요
1.2. 식중독균 개요
1.3. 항생제 사용 현황 및 문제점

2. 식품 내 식중독균 분리 실험
2.1. 실험 목적
2.2. 실험 재료 및 방법
2.3. 실험 결과
2.3.1. 치킨 볶음밥의 황색포도상구균 분리 결과
2.3.2. 다른 시료의 황색포도상구균 분리 결과 비교

3. 식중독균의 항생제 항균 활성 실험
3.1. 실험 목적
3.2. 실험 재료 및 방법
3.3. 실험 결과
3.3.1. 황색포도상구균의 항생제 내성 및 감수성
3.3.2.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 및 감수성

4. 결과 고찰
4.1. 식품 내 식중독균 분리 결과에 대한 고찰
4.2. 식중독균의 항생제 내성에 대한 고찰
4.3. 천연 항균물질 활용의 필요성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식중독 개요

식중독이란 식품의 섭취와 관련되어 발생한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말한다. 최근 5년간('14~'18년)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여름철(6~8월) 식중독 발생은 연간 평균 113건(전체 563건)이며, 전체 식중독 환자의 평균 40%가 이 기간에 발생했다. 이와 같이 식중독에 대한 위험성은 여전히 우리 일상에 잔존하고 있다.

식중독균 중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식품 내에서 장독소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형 식중독균이다. 이 장독소는 열에 매우 안정적이어서 100℃에서 30분간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으며, 건조, 냉장, 냉동, 상온 등 대부분의 유통조건에서도 안정하다. 따라서 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해 식품이 오염되었을 때는 식중독 위험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 또한 황색포도상구균은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건강한 사람의 피부 등에도 상재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과 인체에 오염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런 오염은 황색포도상구균이 증식함으로써 장독소를 생성하여 발생하게 된다.


1.2. 식중독균 개요

식중독균은 식품에 오염되어 사람에게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을 말한다. 대표적인 식중독균으로는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병원성 대장균(Escherichia 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spp.),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등이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그람양성 구균으로 식품에서 외독소를 생성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식중독균이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사람의 피부와 비강에 정상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오염된 식품에서 증식하면 장독소를 생산하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이 장독소는 열에 강해 조리 과정에서도 쉽게 파괴되지 않는다."

병원성 대장균은 그람음성 장내세균으로, 일반적으로 장관 내에 상재하는 대장균 중에서 독소를 생성하거나 장관 상피세포에 부착하여 설사를 일으키는 균주를 말한다. 대표적인 병원성 대장균에는 장출혈성 대장균(EHEC), 장독소성 대장균(ETEC), 장침습성 대장균(EIEC), 장병원성 대장균(EPEC) 등이 있다."

살모넬라균은 그람음성 간균으로, 장티푸스균(Salmonella Typhi), 파라티푸스균(Salmonella Paratyphi) 등이 대표적이다. 살모넬라균은 주로 달걀, 육류, 유제품 등의 동물성 식품에 오염되어 장염, 패혈증 등을 유발한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그람양성, 혐기성, 포자형성 간균으로, 토양과 동물의 장관에 널리 분포한다. 이 균은 주로 부적절하게 조리된 고기류에서 증식하여 단백질 분해 독소를 생성, 식중독을 일으킨다."

바실러스 세레우스는 그람양성, 호기성, 포자형성 간균으로, 토양과 곡류, 채소 등 다양한 환경에 널리 분포한다. 이 균은 토양의 세균 중 하나이지만 식품 중 증식 시 장독소와 구토 독소를 생산하여 식중독을 유발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식중독균이 식품에 오염되어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식품 위생과 안전성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1.3. 항생제 사용 현황 및 문제점

항생제는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진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하지만 항생제의 분별한 복용 및 오용, 남용 등으로 인하여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내성균이 등장해 또 다른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내성균은 식품의 생산과 제조 공정 등의 여러 단계에서 식품 유통망을 타 짧은 시간 안에 전국적으로 전파될 위험성이 있으며, 사람에게 전이되어 상재군화 되거나 다른 공급원이 될 수 있다.
식중독균 중에는 현재 실험 결과와 다르게 다양한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들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식품 중에서도 항생제에 대한 남용 및 오용으로 인해 부작용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천연항균 물질(천연 보존료)이 대체 보존료로 부상하고 있지만 관능적인 부분과 실용화가 미흡한 실정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식품 내 식중독균 분리 실험
2.1. 실험 목적

실험 목적은 인근 매장에서 구입한 식품 내에 존재하는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분리해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제 식품에서 식중독균의 오염 및 증식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분리된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을 대상으로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 및 감수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품 내 식중독균의 실태와 항생제 내성 현황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식중독 예방 및 관리 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2.2. 실험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및 방법이다.

우리는 식품 내에 존재하는 식중독균을 분리하기 위해 대상 시료를 학교 인근에 있는 매장에서 치킨 볶음밥을 구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확보 시료는 하루 전에 증균하여 준비해두었으며 식중독균 중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을 분리하기 위해 선택배지인 BPA배지(Baird Parker...


참고 자료

항생제 내성 Enterococcus faecalis 에 대한 감태( Ecklonia cava ) 추출물의 항균 시너지 효과 김승용·김영목·김은정1·이명숙2*
사료내 녹차 생균제, 택사 생균제 및 해조류 발효물의 첨가가 모돈의 생산성 및 면역성에 미치는 영향 김기수*․김귀만․지 훈․박성욱․양철주
다시마 유래 항미세조류 물질 추출 및 알긴산 올리고 유도체의 막전위에 대한 영향
이건섭1, 장만1, 신경순1, 김동균2, 오정균3, 이택견
해조류 에탄올 공정 부산물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 특성 및 면역 활성에 미치는 영향
김기수†․이숙경․최영선․하창호․김원호
넙치의 선천성 면역과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삼1・장지웅1・송진우1・임세진1・정준범1 이상민2・김강웅3・손맹현3・이경준1,4✽
해양 유래 한약재의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 효능 연구
박숙자1,2, 박찬익3, 김상찬1,2*
Madigan 외3명, 「Brock의 미생물학 12판」, PEARSON, p.795
항미생물제의 역가 측정 및 항미생물제가 생장에 미치는 영향
http://100.naver.com/ 2012년 5월 28일 참고, 항생제의 정의 및 용어
http://www.wikipedia.org/ 2012년 5월 28일 참고, 항생제의 종류 및 용어
Antibiotic Resistance and Bacterial Biofilm Formation by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Lee Ju-young, Wang Hae-jin, Shin Dong-bin, Cho Yong-sun, vol.41, no.1, pp. 96-104 (9 pages), (2013)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Pathogenic Factor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in Korea, Yong-sun Cho, Joo-young Lee, Myung-Ki Lee, Dong-Bin Shin, Dong-Ho Kim, and Ki-Moon Park,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43, No. 5, pp. 648~654 (2011)
Antibiotic Resistance in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in Pusan, Kang Jae-sun, Moon Kyung Ho, Yakhak hoeji v.34 no.2, pp.122 – 125 (1990)
Antibiotic Resistance and Bacterial Biofilm Formation by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Lee Ju-young and 3 other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2013), 41(1), 96–104, pISSN 1598-642X eISSN 2234-7305 (2012)
Chmielewski, R. A. N. and J. F. Frank. 2003. Biofilm formation and control in food processing facilities. Compr. Rev. Food Sci. Food Saf. 2: 22-32.
Johannes, K. M., A. H. Matthiab, R. Hologer, and M. Dietrich. 2002. Evaluation of different detection methods of biofilm formation in Staphylococcus aureus. Med. Microbiol. Immunol. 191: 101-106.
Kumar, C. G. and S. K. Anand. 1998. Significance of microbial biofilms in food industry. Int. J. Food Microbiol. 42: 9-27.
Preval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on Hands in Various Age Groups Jae Keun Chung, Min Jee Kim, Hye Young Kee, Mi Hwa Choi, Jin Jong Seo, Sun Hee Kim, Jong Tae Park, Myung Goun Kim, and Eunsun Kim, J. Fd Hyg. Safety Vol. 23, No. 1, pp. 40~50 (2008)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Hazards of Hygiene by the Customers’ Hands in Univ, Bae Hyun-ju, Park Hae-jung, vol.35, no.7, pp. 940-944 (5 pages) ersity Foodservice Operation (2006)
Inhibitory Effect of Organic Acids and Natural Occurring Antimicrobial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Various Origins, Bo-Ram Kim, Jin-Hee Yoo, Kyu-Seok Jung, Sung gi Heu, and Sun-Young Lee, pISSN 1229-1153 J. Fd Hyg. Safety Vol. 27, No. 4, pp. 449~455 (201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