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인간이 성장함에 따라 발달의 단계를 나누는 방법들은 많은 학자들마다 차이도 있고, 견해를 달리하여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발달에 따른 특징은 개인적인 발달 과정이나 개인인의 특징이 달라도 유사한 발달이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기도 하나 유사하게 발달을 주기로 묶어 특징을 나눠볼 수 있다. 또한 인간이 성장하는 시기에 따른 부모의 역할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각 시기에 따른 발달 특성을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로 나누고 그에 따라 필요한 부모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2. 아동발달특성
2.1. 영아기 발달특성
영아기는 태어나서부터 24개월 동안의 시기를 말하며, 이때는 영아의 신체적인 기능 중 생리적인 기능, 대사 기능이 보다 안정되고 활발해진다. 또한 중추신경이 발달해 근육의 수축, 이완이 활발해지므로 목적이 있는 대근육, 소근육의 운동능력 또한 발달한다. 뇌세포, 운동능력이 다양하게 발달해 탐색을 가능하게 하고, 지적, 사회적, 심리적 발달도 활발해진다.
먼저, 신체 운동 능력의 발달은 다음과 같다. 갤라휴(Gallahue)의 발달 단계에 따르면, 초보적 동작 발달기에 해당하는 1~2세 시기에 해당하며 신체발달에 큰 변화를 이끈다. 이 시기에는 앉고 서기 위해 목, 머리, 허리를 통제하는 안정감이 생기고, 장소에 대한 이동에 대한 기기, 걷기 등의 이동 행동이 가능하고, 사물의 목표에 따라 뻗기, 물체 잡고 놓기 등의 조작적 기능이 발달하게 된다. 12개월 이후에는 대부분 혼자 서며 자신의 몸을 자신의 의지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영아의 걷기는 걷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숙달하기 위해 스스로 연습을 한다. 이렇게 걷기에 익숙하게 되면 균형감을 요구하는 이동 능력을 발달시킨다. 소근윤 운동 능력은 다른 능력보다 더디지만 서서히 발달한다. 손끝 기능은 유아기를 거치는 동안에도 지속적으로 발달이 된다. 영아기 시기의 소근육 발달은 블록을 3~4개 쌓고, 책을 한꺼번에 2~3장을 넘기는 정도이다. 이러한 순서는 개인차가 있으나 같은 순서로 발달하게 된다. 이러한 신체 운동 능력 발달은 자조 행동으로 연결되어 옷을 입고, 용변을 보거나 음식을 먹는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어서, 영아의 인지발달은 지각 발달, 모방과 기억, 언어발달로 이루어진다. 지각 발달에서 시각은 3개월 경부터 초점을 맞추어 색을 구별할 수 있으며, 깊이를 지각한다. 이로 인해 주변의 물체의 위치, 높이를 이해하고 결과 두뇌 발달을 이룬다. 청각은 6~8개월 언어적 구조에 민감해 지도 1년이 되면 평상시 즐겨듣는 노래와 다른 노래의 차이를 알아차릴 수 있다. 이러한 감각체계의 통합 지각 발달로는 자신이 듣고 보는 소리와 다양한 영상을 연결하고 주변으로부터 자신과 다름을 비교하며 이를 통해 환경 내 발생할 일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준다.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에 따르면 감각운동기로 운동 도식을 이용해 빨기, 쥐기, 걷기 등을 하여 사고할 수 있다고 본다. 영아의 기본적 인지발달 능력은 자기 주변의 다른 사물과 사람이 분리됨을 알고 구별이 가능하다. 이러한 감각운동기를 거쳐, 현재에 볼 수 없고 듣지 못하는 대상이 계속해서 있다는 것을 알게 되는 대상 영속성의 개념을 획득하는 것이다.
언어발달은 소리 지각에서부터 시작한다. 쿠잉(Cooing)과 옹알이(babbling)를 통해서 외부 자극에 반응,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 정서적 소리를 내며, 10개월 정도면 몸짓을 하며 원하는 것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기도 한다. 이때는 말을 이해하여 표현능력보다 이해 능력이 더 앞서며 13개월 정도에는 100개의 단어를 이해할 수 있다. 이후의 언어발달은 명칭을 말하는 명사가 주로 사용되며 18개월 전후로는 언어 폭발기로 새로운 단어를 아는 속도가 급속하게 발달하고 어휘 수는 상당히 증가한다.
마지막으로, 영아기 정서?사회발달은 모든 발달 시기에 걸쳐 중요시된다. 영아기는 1차 정서인 기쁨, 분노, 불안과 두려움 등에 대해 느끼고 즉각적으로 반응을 나타낸다. 또한 12개월을 전후로 분리불안, 낯가림이 나타나며 낯선 사람에 대해 반응을 보이는 시기이기도 하다. 영아는 자신의 정서적 경험을 처리하기 위해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거나 부모와의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정서를 통제하는 능력이 높아져 정서?사회 발달을 이끌 수 있게 된다. 생후 1년 동안 아기 스스로 정서를 조절하기보다는 성인에게 의존한다. 18개월 이후의 영아는 자신의 행동을 시도하기 위해 타인의 표정과 생각을 읽는 참조 행동이 가능하여 타인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며 또래나 주변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다.
2.2. 유아기 발달특성
유아기의 발달 특성은 다음과 같다.
유아기는 3~5세 시기로 유치원 시기를 말한다. 의사소통능력과 운동능력이 급속히 발달하고 또래에 대한 관심이 높고, 이때의 또래관계는 동등한 위치에서의 상호작용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해주며, 성인은 사회적 기술을 지원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신체 운동 능력의 발달 측면에서 유아의 신체적 변화는 천천히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향상된다. 유아기에 와서 유아는 달리기, 뛰기, 자전거 타기 등의 이동 동작과 조작 동작을 할 수 있다. 3세가 되면 발뒤꿈치를 들고 걷고, 세발자전거를 탈 수 있으며, 4세의 유아는 계단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고 빠르게 달릴 수 있다. 5세는 한 발로 10번 이상 깡충깡충 뛸 수 있고, 바닥의 선을 보고 바로 걸을 수 있다. 눈과 손의 협응에서는 3세는 던지는 공받기, 옷 단추 풀고 신발 신기, 도화지에 원 그리기를 할 수 있다. 4세는 혼자 옷을 입고 벗기, 그려진 선을 따라 가위로 오리기를 할 수 있다. 5세는 네모와 세모를 따라 그리며 소근육을 조절할 수 있다.
인지발달 측면에서 유아기의 인지발달의 많은 기초는 피아제의 발달을 중심에 둔다. 전조작기의 단계로 이 때의 사고는 구체적 조작기와 달리 제한적이며, 유아는 실제와 환상에 대한 구별을 할 수 없다. 먼저, 중심화는 사고의 중심화로 한 가지 측면에 집중하여 그 외의 다른 측면을 무시하거나 논리적이지 못한 결론에 도달한다. 또한 비가역성의 특징이 있으며, 이는 보존 개념의 실험에서도 잘 나타난다. 양방향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 기존의 사물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다시 되돌릴 때 처음 상태와 가음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렇게 유아는 변화보다는 사물의 그 상태에 대한 것에 초점을 두고 이해하게 된다. 이러한 유아기의 특징들은 자아중심성에 기초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