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보훈병원소개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상세정보

소개글

"부산보훈병원소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의료사회복지 역사
1.1. 근대적 의료사회복지의 시작
1.2. 한국 의료사회복지의 확대와 발달
1.3. 정신의료사회복지의 분리
1.4. 의료사회복지의 현재

2. 반석종합사회복지관
2.1. 지역적 특성 및 복지대상자 현황
2.2. 반석종합사회복지관 소개
2.3. 주요 사업 소개
2.3.1. 만성정신장애인 사회적응 프로그램
2.3.2. ADHD아동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2.3.3. 학교부적응 학생 지원 프로그램
2.3.4. 청소년 또래상담교육 프로그램

3. 실습 개요
3.1. 실습 목표
3.2. 실습 일정 및 참여 프로그램
3.2.1. 노인대학 참관
3.2.2. 또래상담 캠프 준비 및 진행
3.2.3. 지역아동센터 레크리에이션 진행
3.2.4.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시연
3.2.5. 장애아동 취학지원 프로그램 참관
3.2.6. 티토링 예비사회복지사 공모전 참여
3.2.7. 인테이크 및 사례관리

4. 실습 소감 및 평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의료사회복지 역사
1.1. 근대적 의료사회복지의 시작

우리나라에서도 고대부터 빈민의 구제와 가난한 병자의 시료를 위하여 여러 가지 제도를 실시해 왔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에서의 의료사회복지 시작은 세브란스 병원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앨머너(Almoner)의 역할을 한 것에서 찾을 수 있다. 그 이후 1958년 7월 13일 한노병원에서 사회복지사인 디아콘(Diakon) 등의 지도하에서 결핵환자와 그 가족을 돕기 시작하였다. 특히 1945년 정신의학회가 조직되면서 심리학자와 사회복지사가 함께 청소년문제의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1959년 4월에는 국립중앙의료원에, 9월에는 원주기독병원이 개원과 동시에 의료사회복지가 시작되었다. 이후 가톨릭 대학부속 성모병원에서는 1966년 사회복지사를 병원의 정식직원으로 채용하게 되었다. 이는 병원당국과 간부직원들이 의료사회복지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1.2. 한국 의료사회복지의 확대와 발달

한국 의료사회복지의 확대와 발달에 대해 살펴보면, 한국에서 의료사회복지가 공인되고 확대된 결정적 계기는 1973년 9월 20일 대통령령 제6863호 개정 의료법의 공포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종합병원에는 환자의 갱생, 재활과 사회복귀를 상담 지도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업법이 규정하는 유자격자를 1인 이상 배치하도록 법적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병원에서의 의료사회복지는 확대 발전되기 시작했다.

1974년 이화여대의료원 부속병원, 서울기독병원, 안양정신병원, 고려대의대 부속병원 내에 사회복지과가 편성되었고, 1975년 성분도병원, 1976년 가톨릭의대 부속 산업재해병원과 서울 백제병원, 1977년 대구파티마병원, 국립보훈병원 등에서 사회복지실이 병원 내에 편성되기 시작했다. 또한 1977년 7월 1일 의료보험의 확대 적용과 함께 의료보험수가 청구기준에 '정신의학적 사회복지'가 포함되어 여러 종합병원에 의료사회복지사의 고용이 확대 신설되었다.

이후 1978년 부산 한병원, 1979년 메리놀 병원, 1980년 아동병원, 1981년 한림대 부속 신림종합복지관 그리고, 1983년 서울 적십자병원, 연세의대 영동병원, 목포 성골롬반병원, 마산 고려병원 등에서도 의료사회복지 업무가 시작되었다.

한국에서 의료사회복지가 발전하게 된 다른 계기는 1983년 병원신임제도의 일환으로 시작된 병원 표준화심사제도라 할 수 있다. 이 제도로 인해 병원의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인식과 평가를 새롭게 하게 되었고, 1995년 서비스 평가제도의 단초가 되었다.

이처럼 한국의 의료사회복지는 1973년 이후 법제화와 제도화를 거치면서 빠르게 확대되고 발달하였다. 이는 의료 분야에서 사회복지 실천의 필요성이 점차 인정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의료사회복지사들의 전문적 역할과 영역이 점차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다.


1.3. 정신의료사회복지의 분리

우리나라에서 정신보건영역에 사회복지사가 처음으로 개입하게 된 것은 한국전쟁 이후 1958년 성모병원의 자살예방센터와 정신건강센터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서울시립아동상담소가 개설되면서 정신의학자, 정신의료 사회복지사, 심리학자, 법률학자 등의 팀워크가 시도되었다. 그 이후 1962년에는 국립정신병원에서 정신의료사회복지사를 처음으로 병원의 직원으로 고용하였다. 1963년에는 성모병원이 정신과 전담 사회복지사를 채용하였고, 1965년에는 세브란스병원에 사회복지과가 설치되어 일반의료업무와 정신과 업무를 담당하였다.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발달은 1973년 개정된 의료법 시행령에서 종합병원에 사회복지사를 두도록 규정한데서 부터였다. 1977년 의료보험의 확대실시로 정신의학적 사회복지 부문에서 의료수가를 청구할 수 있게 되면서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한 많은 종합병원들이 주로 정신과를 우선으로 사회복지사를 고용하게 되었다.

1980년대 이후에는 미국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접근법이 소개되고,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지역사회정신보건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었다. 따라서 병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정신의료사회복지의 영역이 지역사회로 확대되어 예방과 재활을 담당할 정신보건전문 사회복지사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였다. 1986년에는 미국의 심리사회적 재활모델의 하나인 클럽하우스 모델을 수용한 '태화 샘솟는 집'이 개원되었다. 1990년 초반에는 사회복지사가 주축이 된 지역사회 정신건강사업이 잇달아 시도되었다.

1994년 보건복지부가 주도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시범사업 등에 사회복지사가 팀의 일원으로 참여하면서 지역사회정신보건 영역에서 사회복지사의 참여가 활발해졌다. 그리고 의료보험이 낮 병원에도 적용됨으로써 낮 병원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정신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도 확대되었다.

1993년에는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로부터 분리되어 한국 정신의료 사회복지학회가 창립되었다.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의 제정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정신보건간호사나 정신보건심리사와 함께 정신보건전문요원으로 인정하여 법적 자격을 부여받게 되었다. 현재 한국 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에서는 1996년부터 보건복지부로부터 위임받아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양성을 위한 수련과정을 두고 있다. 1997년부터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참고 자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