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신경과는 중추 및 말초 신경계 질환을 다루는 과로 치매(기억력장애), 뇌졸중을 비롯하여 파킨슨병 등 이상운동질환, 두통, 어지럼증, 간질(뇌전증) 및 수면장애, 말초신경질환, 감염성 질환 등 신경계와 관련된 다양한 신체의 질병을 진단하고 더 나은 치료를 위해 연구하는 분야이다. 특히 뇌신경계 질환 특히 치매, 뇌혈관 질환, 파킨슨병 등은 노인에서 흔히 있는 질환으로, 만약 치료를 적기에 제대로 하지 않으면 사망 및 장애 등 후유증이 크게 오며, 주위 사람들에게 큰 고통을 주게 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노인 인구가 급속히 증가하여, 65세 이상의 노인인구가 2010년에 전체 인구의 14%에 육박하였고, 2030년에는 전체 인구의 23.1%가 65세가 넘으리라고 예상된다. 이와 같이 급속히 고령화 사회로 변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치매 및 뇌졸중,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들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양상이고,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뇌신경계 질환은 다른 장기에 비해 의학적으로 규명이 충분하지 않아 많은 연구가 더욱 필요한 영역이다.
2. 전정신경염
2.1. 정의
전정신경염은 사람의 귀 깊은 곳에 위치한 평형기관인 전정계에 염증이 발생하여 심한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전정기관은 몸의 자세와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전정신경에 염증이 생기면 균형을 잡기가 어려워져 심한 어지럼증과 메스꺼움을 느끼게 된다. 이처럼 전정신경염은 전정신경에 발생한 염증으로 인해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한다."
2.2. 원인
전정신경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전정신경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겨서 염증이 발생한다는 이론도 있다"" 또한 스트레스와 과로로 인해 전정신경염이 나타날 수 있으며, 동반되는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나 징후는 없고 주로 30~40대에 잘 발생한다""전정신경염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발생하지만, 혈관 이상이나 스트레스, 과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중년층에서 많이 나타나며,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나 징후는 동반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전정신경염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요 요인으로 바이러스 감염, 혈관 이상, 스트레스 등이 알려져 있다""
2.3. 병태생리
전정신경에는 여러 가지 병적 변화가 나타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전정신경염은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전정신경염은 전정신경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원인은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전정신경을 공급하는 소동맥의 폐색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정상적인 균형 기능은 전정계, 시각계, 고유수용계 사이의 조화 속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전정신경염의 경우 한쪽 전정신경에 염증이 발생하면서 전정계의 균형이 깨지게 된다. 건강한 전정신경과 병든 전정신경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심한 어지러움과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정상적으로는 양쪽 전정신경이 균형을 이루고 있어 몸의 자세와 움직임을 정확히 감지하고 중추신경계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한쪽 전정신경에 병변이 생기면 전정계의 균형이 깨져 몸의 움직임을 정확히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