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롯데마트 기업소개
1.1. 롯데마트 기업 연혁
롯데마트는 1998년 4월 강변점을 시작으로 현재 국내 대형마트 BIG3로 성장하였고 국내 유통업체로서는 최초로 아시아 지역에서의 다국적 점포망을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998년 4월 강변점을 개점하였고, 1998년 8월 잠실점을 개점하며 최초의 할인점과 아울렛의 복합매장을 선보였다. 이후 2006년 12월 50호점인 장암점을 개점하며 점포확장을 이어갔다. 2007년 12월에는 마크로(MAKRO) 중국 8개점을 인수하며 중국시장에 진출하였고, 2008년 6월 베트남 호치민 1호점 착공, 2008년 11월에는 마크로 8개점을 추가로 인수하였다. 2008년 12월에는 중국 3개점을 리뉴얼 오픈하였으며, 2009년 10월에는 인도네시아 마크로 19개점을 인수하였다. 2010년 1월에는 베트남 남사이공점을 개점하였고, 2012년 9월에는 중국 TIMES를 인수하며 국내외 점포수 1위로 도약하였다. 2014년 12월에는 중국 롱왕치아오점을 개점하며 중국 100호점을 돌파하였다.
1.2. 유통산업 특성 분석
유통산업에는 도매업과 소매업이 있으며, 물적 유통산업에는 창고업·운송업 등과 이에 관련되는 산업군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업부문, 특히 소매업은 규모의 이익이 작용하지 않아 가장 뒤떨어진 산업부문으로 여겨져왔다. 소매업계에도 일찍부터 백화점이라는 거대자본이 성립하고 있었으나, 거기서도 대규모 이익은 작용하지 않고 다른 많은 소매업과 같이 소비자가 직접 점포에 나와서 구매할 것을 전제로 하며, 진열되어 있는 상품은 모두 도매상이 반입한 것이고, 가격도 도매상이 정한 것이다. 따라서 백화점은 개개 상품의 정확한 매입원가를 파악할 수 없어 자기의 위험부담으로 직접 대량매입하는 이점을 추구할 수가 없었다.
소매업계가 규모의 원리를 터득할 수 있었던 것은 슈퍼마켓 체인 스토어라는 형식을 채용한 때이다. 슈퍼마켓은 매물빈도가 높은 식료품을 중심으로 상품을 구성하고, 셀프서비스의 채용 등으로 매장에서의 판매관리를 생력화하며, 대량으로 매입한 상품의 박리다매로써 최종적으로 높은 이익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매입과 판매의 양면에서 규모 있는 이익을 추구하고, 한편으로는 소매점이 갖는 판매지역의 제한을 체인 점포의 전개로써 해결함으로써, 비로소 소매업에서도 슈퍼마켓이라는 형태로 제조업과 같은 규모의 이익이 가능하게 되어, 근대적 산업으로서의 유통산업이 되는 원리를 갖게 되었다.
다른 한편 물적 유통에 관해서도 대량의 상품을 신속하게 운반할 필요성이 증대하였기 때문에 이에 관련된 각종 기능·설비의 개혁이 진행되어 유통혁명이라는 말이 쓰이게 되었다. 예를 들면, 화물수송에 있어서 컨테이너화와 하역의 기계화 등으로 생산자로부터 최종소비자까지 신선한 식료품의 선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저온으로 수송하는 콜드체인도 그 하나라고 할 수 있다.
2. 롯데마트 SWOT 분석
2.1. 강점(Strength)
롯데마트의 강점(Strength)은 다음과 같다.
롯데마트는 모기업인 롯데의 막강한 자금력을 이용한 시장침투와 함께 지금까지 유통업계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조금씩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재무구조가 가장 튼튼한 롯데 그룹의 배경을 기반으로 강력한 마케팅 활동과 신속한 기동력으로 점점 매장의 수를 늘려가고 있다. 이는 롯데마트가 국내 대형마트 업계에서 확실한 입지를 다져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롯데마트는 그룹 내 유명 소비재 계열사들과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 원가안정과 경비절감, 안정적인 유통망을 갖출 수 있는 강점을 지니고 있다. 이를 통해 경쟁업체들에 비해 더욱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롯데마트는 모기업의 강력한 자금력과 유통노하우, 계열사와의 시너지로 인해 경쟁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계속해서 시장점유율을 높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2. 약점(Weakness)
대형마트 업계후발주자라 이마트에 비래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이를 극복하려 하지만 다른 경쟁업체들(홈플러스,이마트등)에 비해 큰 차별화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