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사-대상자 관계와 의사소통
1.1. 간호사-대상자 관계의 4단계와 각 단계별 간호사의 과업
간호사-대상자 관계의 4단계와 각 단계별 간호사의 과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 전 단계(Preinteraction Phase)이다. 이 단계에서 간호사는 자기 분석을 해야 하며, 대상자에 대한 자료수집을 해야 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상호작용을 계획하며, 치료적 관계의 일반적인 목표를 검토하고 무엇을 줄 수 있는지를 생각한다.
둘째, 오리엔테이션 단계(Orientation Phase)이다. 이 단계에서 간호사는 대상자를 처음 만나게 되므로 자신을 소개해야 하며, 대상자와 신뢰감과 협력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또한 도움이 필요한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간호사와 대상자는 신뢰가 형성되었는지, 대상자가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는지, 부적절한 스트레스 영역이 확인되었는지, 대상자의 강점과 약점이 사정되었는지, 간호사와 대상자 관계의 목적이 설정되었는지 등을 평가해야 한다.
셋째, 활동단계(Working Phase)이다. 이 단계에서 간호사는 실제적인 행동변화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대상자의 스트레스 요인을 탐색하고, 독립심을 키워주며, 건설적 적응기전이 향상되도록 도와야 한다.
넷째, 종결단계(Termination Phase)이다. 이 단계에서 간호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종결을 결정해야 한다. 첫째, 대상자의 현재 문제가 해결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사회적 기능이 증진되고 고립감이 감소되었다. 셋째, 대상자의 자아기능이 강화되고 정체감을 갖게 되었다. 넷째, 대상자가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방어기전을 사용한다. 다섯째, 계획했던 치료 목표를 성취하였다. 여섯째, 저항이나 역전이 등의 어려움이 해결되었다.
1.2.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재진술, 명료화, 반영
재진술(Restating)은 대상자가 표현한 주요 내용을 간호사가 다시 말하는 것이다. 재진술을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말을 잘 이해했음을 표현하고, 대상자의 말을 한번 더 정리해 줌으로써 대상자에게 자신의 말이 잘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재진술은 대상자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하고 의사소통을 촉진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명료화(Clarification)는 모호하고 불확실한 내용을 더 명확하게 하는 기법이다. 간호사는 대상자가 말한 내용 중 이해가 어렵거나 모호한 부분을 확인하고 명료화시킴으로써 의사소통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간호사는 대상자의 생각과 감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반영(Reflecting)은 대상자의 생각과 감정을 간호사가 말로 표현하여 되돌려주는 기법이다. 반영에는 내용의 반영, 느낌의 반영, 경험의 반영 등이 있다. 간호사가 대상자의 말을 반영하여 표현해줌으로써 대상자는 자신의 감정과 생각이 제대로 전달되었음을 느끼고, 이를 통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된다. 반영은 대상자와의 신뢰관계 형성과 공감대 형성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은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들은 간호사-대상자 관계에서 상호이해와 신뢰를 높이고 대상자의 자기인식과 표현을 돕는데 도움이 된다.
1.3. 비치료적 의사소통 기법: 지나친 동의, 도전, 방어
지나친 동의하기(Excessive Agreeing)는 대상자의 특정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