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국어 수업을 위한 준비
1.1. 교수-학습 접근 방향
21세기의 키워드인 정보화, 개방화, 세계화에 맞춰서 현대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우리의 청소년들은 주로 앉아서 배우기만 하는 경우가 많다. 집에서 쉴 때도 TV를 보거나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것이 보통이다. 눈과 귀로는 무수히 많은 정보를 받지만, 거의 표현은 하지 않고 있다. 아니, 표현할 기회가 별로 없다. 그러므로 국어 시간에 더 급한 것은 지식 전달 못지않게, 자신의 표현이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교사는 학생들의 눈높이에 맞춰 수업에 임함으로써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한층 높이고, 신나면서도 살아있는 국어수업 분위기를 조성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발표력과 창의성까지 늘릴 수 있는 생각으로 수업의 방향을 잡게 되었다. 이 국어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자기 의사에 대한 효과적인 표현 능력을 키우게 되고, 모든 일에 원만하게 대처하는 지혜로운 인간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1.2. 펀(Fun) 교육과 "자기표현"하기
펀(Fun) 교육과 "자기표현"하기는 국어 수업을 위한 중요한 준비 과정이다""
'펀(Fun) 교육'은 수업에 재미와 즐거움을 더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높이는 방법이다"" 요즘은 '웃음'과 관련된 용어가 많이 나오는데, '펀(Fun) 경영'이라는 개념처럼 교사가 수업에 즐거움과 관련된 마인드를 갖고 재미있게 수업을 운영하면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수업의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웃음 치료'와 같이 웃음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했을 때, '펀(Fun) 교육'은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자기표현"하기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발표력을 기를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학생들에게 자신의 "끼"를 찾아 발표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특성을 파악하고 자신감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학생들은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고 서로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끼"를 중심으로 모둠을 구성한 협동학습은 학생들의 흥미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종합적으로 펀(Fun) 교육과 "자기표현"하기는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창의성과 자신감을 기를 수 있는 국어 수업을 위한 핵심적인 준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1.3. 수업 시작과 끝의 즐거운 노래와 구호
본 교사는 '웃음'과 관련된 용어가 많이 나오는 요즘의 추세를 반영하여, 펀(Fun) 교육을 실현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안을 마련하였다.
먼저 수업 시작과 끝을 재미있는 노래와 구호로 장식하여 학생들과 눈높이를 맞추고 수업 분위기를 띄웠다. 학생들에게 공모과제로 내서 노가바(노래가사 바꿔부르기)를 만들도록 하였는데, 내용에 본 교사의 별칭이자 메일 ID인 '뚱샘(뚱보 선생님)'이란 단어를 넣도록 하여 학생들과의 거리감을 좁혔다. 제목을 "뚱샘 Song"이라고 하였으며, 초등학교 1학년에서 배우는 '비행기' 동요에 맞춰서 부르는 노래이다.
뚱샘 Song
작사 : OOO
신나는 국어시간 / 틀려도 즐겁고 / 부담없는 국어수업 / 기다렸어요, 뚱샘!!
수업 마침 구호
수업이 끝났네요, 뚱샘!!
다음 시간 또 만나요, 뚱샘!!
이 노래와 구호를 사용해 보니, 집중도가 잘 되고 교실의 분위기가 상향되는 것을 느꼈다. 학생들이 부르기도 쉽고, '즐거운 국어 수업'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준 것 같았고, 끝날 때의 구호는 수업에서 해방되는 즐거움을 구호로 소리치게 함으로써 감정 발산을 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수업의 시작과 끝을 재미있는 노래와 구호로 장식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내고, 국어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자 하였다.
2. IKEA와 서비스경영
2.1. 서비스경영의 의미
2.1.1. 서비스 경영의 개념
서비스 경영에서 지칭하는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서비스(Service)의 개념과는 다소간 차이가 있다. 경제학에서의 서비스는 재화와 대응하는 개념으로, 재화와 서비스 모두 경제 주체들이 판매 또는 구매하여 거래를 진행하는 대상이 된다. 이때 재화는 특정한 형체를 가진 유형의 제품이지만, 서비스는 특정한 형체가 없는 무형의 제품이다.
그러나 서비스 경영에서의 서비스는 단지 교통, 의료, 여행, 운수 등과 같은 무형의 서비스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오히려 재화와 서비스를 막론하고 어느 형태의 제품이든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는 기업(Corporate)의 입장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개념이다. 이때의 서비스는 영어 단어의 또다른 의미인 "접대하다(Serve)"나 "대접하다(Treat)"에 보다 걸맞은 의미를 갖는다. 즉 서비스 경영이란 고객을 제대로 접대하고 대접하여 고객의 만족을 이끌어내는 경영적 행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경영은 제품이 판매되는 물리적인 점포 공간과 같은 곳에서 제공될 수도 있고, 가상의 온라인 채널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현실과 가상의 채널을 불문하고 소비자와 기업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 접점이라면 언제 어디서든 서비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