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쯔쯔가무시 보건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쯔쯔가무시병
1.1. 정의
1.2. 원인 및 감염경로
1.3. 잠복기
1.4. 임상증상
1.4.1. 발진
1.4.2. 가피(eschar)
1.4.3. 발열
1.4.4. 기타 증상
1.5. 진단 및 검사
1.5.1. 혈청학적 검사
1.5.2. 균 분리
1.5.3. 유전자 검사
1.5.4. 조직 검사
1.5.5. 감별진단
1.6. 일반적 예방 방법
1.7. 치료 및 약물
1.7.1. 치료 기간
1.7.2. 약제 종류
1.7.3. 치료-비약물 치료
1.7.4. 합병증
1.8. 보건교육 계획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쯔쯔가무시병
1.1. 정의
쯔쯔가무시병은 진드기티푸스, 덤불티푸스, 초원열, 잡목열 등으로도 불리는 발열성 질환이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을 물면 그 미생물이 혈액과 림프(액)을 통해 전신에 퍼져 발열과 혈관염을 유발한다. 리케차(Rickettsiae)는 세포 내에 기생해야만 살아갈 수 있는 미생물로 세균보다 약간 작고, 막대 모양 또는 알 모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리케차 감염증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쯔쯔가무시병도 그 중 하나이다."
1.2. 원인 및 감염경로
쯔쯔가무시병의 원인 및 감염경로는 다음과 같다.
쯔쯔가무시병의 원인은 리케차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라는 세균이다. 이 세균은 그람음성 간균으로 세포 내에 기생하며 살아가는 미생물이다. 쯔쯔가무시병은 이 세균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려 발생한다."
쯔쯔가무시병의 주요 감염경로는 진드기에 물리는 것이다. 쯔쯔가무시병의 매개체인 털진드기는 알부터 유충, 약충, 성충의 네 단계를 거치는 변태과정을 거친다. 이 중 유충 단계에서 사람을 물어 쯔쯔가무시균을 전파한다. 유충이 부화한 후 사람이 숲 속이나 풀숲 등에서 활동하다가 진드기에 물리면, 진드기 유충 속에 있던 O. tsutsugamushi가 사람의 체액과 림프를 통해 전신으로 퍼져 감염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잡목 등에 살고 있는 털진드기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어 가을철 야외 활동이 많은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쯔쯔가무시병이 다수 발생하고 있다. 감염된 유충은 토지, 숲, 들판 등 야외 환경에 서식하다가 사람을 만나면 피부에 달라붙어 흡혈하면서 병원체를 전파하게 된다."
1.3. 잠복기
쯔쯔가무시병의 잠복기는 일반적으로 1~3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에 물린 뒤 대부분의 경우 1~3주 후에 갑자기 오한, 발열, 두통이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쯔쯔가무시병의 잠복기가 1~3주로 비교적 길게 보고됨에 따라, 감염 후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상당한 시간적 경과가 있다. 이로 인해 처음에는 감기 몸살 증세로 오인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가을철 야외 활동 후 1~3주 내에 발열, 두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쯔쯔가무시병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1.4. 임상증상
1.4.1. 발진
발진은 쯔쯔가무시병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발병 3-7일에 간지럽지 않은 홍반성 구진성 발진이 몸통에서 시작하여 상하지로 퍼지게 된다. 발진은 직경 3~5 mm의 홍반성 반점으로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서로 합쳐지는 경향은 없다. 발진은 눌러보면 붉은 색이 쉽게 없어지므로 자반 같은 출혈성 병변과 구별된다. 발진은 손바닥과 발바닥을 제외한 상, 하지와 체간에 주로 발생하고, 1-2주 정도 지나면 소실된다.
발진은 쯔쯔가무시병 진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임상 증상이다. 하지만 발진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어 유행 계절, 역학적 특성과 함께 다른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해야 한다. 또한 발진은 말라리아나 장티푸스, 렙토스피라병, 신증후 출혈열, 뎅기열 등 다른 질환과도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어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1.4.2. 가피(eschar)
가피(eschar)는 쯔쯔가무시병 진단에 가장 중요한 임상 소견이다. 털 진드기에 물린 자리는 초기 구진에서 수포, 궤양을 거쳐 검은색 가피로 덮이고 가피 주변은 붉은색 홍반으로 둘러싸인다. 증상이 나타날 때쯤이면 전형적인 가피가 형성된다.
가피는 우리나라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약 50-93%에서 관...
참고 자료
질병관리청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261
쯔쯔가무시병 [scrub typhus]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국가건강정보포털)
쯔쯔가무시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019-2022 증평군 제7기 지역보건의료계획 (증평군청)
동양일보 (2019.10.19.) ‘쯔쯔가무시증 등 진드기에 물려 한해 40명 이상 목숨 잃어’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3159
고명선, 김경란, 채혜선, 김효철, 박수인, 이민지, 김인수 (2018). 쯔쯔가무시증 인식정도와 농작업복 착용실태에 관한연구.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433-438
김백남, 곽이경, 문치숙, 김의석, 박상원, 이창섭 (2006). 쯔쯔가무시병에서 가피의 위치와 복장과의 관계 . 감염과 화학요법 제 38권 6호, 389-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