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농사를 지으면서 해당하는 작물만 잘 자라면 정말 좋겠지만 벌레와 잡초의 위협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나 역시 미래의 농부를 꿈꾸고 있고, 예전에 가족이 작은 텃밭을 운영할 때도 나는 몇 시간 동안을, 쭈그리고 앉아서 잡초를 손으로 일일이 뽑느라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렇지만 손으로 방제하는 것이 약품을 쓰는 것보다는 소작농들에게는 더 유용한 방법이라고 생각이 든다. 그때의 기억을 바탕으로 해서 어떠한 방법이 좋은 잡초방제법인지 한번 자세하게 조사해 보려고 한다.
2. 잡초의 개념 및 특성
2.1. 잡초의 정의
어떤 식물체의 한 종(種, species)이 집단적으로 인간의 활동, 건강 및 기쁨 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거나 방해작용을 할 경우 해당되는 식물체를 잡초로 간주한다. 이러한 잡초의 정의는 학자들의 관점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잡초는 어떤 식물 또는 식생이 인간의 목적 또는 필요조건 등을 방해되는 식물체이다. 더 나아가 잡초는 인간이 농경지에서 농업을 영위하는 경제행위에서 직간접으로 피해를 주어 생산을 감소시키면서 농경지의 경제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작물 이외의 식물로 정의된다. 결국, 잡초는 인간에게 유익하지 못한 식물인 것이다.
2.2. 잡초의 존재이유
1731년경에 작물을 줄로 심는 경종법의 개발은 잡초방제 측면에서 동물 또는 기계 등을 이용하여 방제할 수 있는 다양한 이점을 제공했지만, 한편으로 줄로 재배하여 작물 사이에 많은 공간이 남게 되면서 잡초가 번식할 수 있는 공간을 부여하게 되었다. 또한, 현대농업에서는 대부분 연중 단작으로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주어진 환경(토양조건)을 작물이 적절하게 이용하지 못하여 잡초의 침입 또는 발생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3. 잡초관리 및 방제법
3.1. 예방적 방제법
예방적 방제법은 잡초의 유입이나 전파를 막는 데 사용되는 모든 방법을 의미한다. 잡초는 대체로 종자나 지하경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번식되며 번식원(종자, 포자, 지하경)이 토양 속에 다량 존재하므로 번식원을 감소시키는 방법은 이듬해의 잡초 발생을 억제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잡초의 번식원은 먼 거리까지 쉽게 이동이 가능하므로 번식원을 차단하거나 방제하는 것이 예방적 방제법으로 효과적이다. 잡초 발생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첫째, 논두렁, 수로, 저수지 등을 깨끗이 하지 않으면 관개수 등을 통하여 번식원이 이동하여 다른 장소에서 잡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작물종자에 섞여 전파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잡초 전파를 막기 위해 종자법 또는 잡초법 등을 엄격히 적용하여 잡초종자가 들어 있지 않은 깨끗한 종자를 씨종자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잡초는 동물이나 농기구 등에 부착되어 전파되기도 하므로 잡초가 성숙단계에 있을 때 동물이나 농기구에 부착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잡초의 번식원은 퇴비 등에 의해서도 전파 가능하므로 종자가 맺히지 않거나 종자가 없는 상태의 풀로 퇴비를 만드는 것이 좋다.
3.2. 기계적 방제법
3.2.1. 손과 호미
손과 호미를 이용한 잡초 제거는 가장 기본적이고 간단한 방법이며, 인간이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방법이다. 나 역시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해왔는데,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지만 친환경적인 방법이라는 점에서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방법이다. 자라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일년생 잡초는 손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지만, 다년생 잡초는 지하부분이 많아서 손으로 뽑아내기가 쉽지 않다. 노임이 저렴한 후진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는 손으로 제초하는 방법이 농작물 잡초관리의 가장 중요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호미를 사용하여 손으로 제초하는 방법 역시 오랫동안 인류가 사용해 온 제초법으로, 현재에도 정원이나 소면적 잡초관리를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노임이 비싸지 않은 곳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는 작물 생산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노동력이 많이 들어가는 단점이 있다.
3.2.2. 경운 및 정지
경운·정지 또는 중경하면 토양이 교란됨으로써 잡초가 방제된다. 밭작물의 중경·배토는 휴간 잡초뿐만 아니라 포기와 포기 사이의 잡초도 잘 방제할 수 있다. 이리하여 논, 밭을 잘 경운·정지하면 일단 발생한 많은 잡초를 흙에 묻히게 할 수 있어서 잡초의 생육을 차단시킬 수 있고,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