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의사소통과정 기록
1.1. 환자와의 의사소통 기법 및 평가
환자와의 의사소통 기법 및 평가는 치료적 관계 형성과 효과적인 돌봄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치료적 의사소통 기법에는 명료화, 재진술, 공감적 반응, 개방형 질문, 단순화, 침묵, 그리고 자기 노출 등이 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다.
특히 정신과 환자의 경우 병적인 증상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환자의 감정과 행동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공감적으로 반응하여 라포를 형성해야 한다. 예를 들어 환청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환청의 내용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대처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망상이나 환각과 같은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도 판단하지 않고 이해하려는 자세로 대화를 나누어야 한다.
이처럼 정신과 환자와의 의사소통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환자의 심리적 안녕을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간호사는 환자와의 신뢰감을 높이고 개방적인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해 자신을 치료적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환자의 감정과 행동을 이해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1.2.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은 치료적 관계 형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호사는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상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간호사는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법을 활용하여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을 시도한다. 먼저 대상자의 비언어적 표현을 관찰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감정과 요구사항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대상자의 눈맞춤, 표정, 몸짓 등을 통해 전달되는 비언어적 신호에 주목하며, 이를 토대로 대상자의 현재 상태와 느낌을 추측한다.
또한 대상자의 언어적 표현을 경청하고 반영하여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를 증진시킨다. 개방형 질문을 통해 대상자에게 이야기할 기회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말을 요약 및 재진술하여 이해도를 높인다. 이와 같은 적극적 경청은 대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주는 존재로 간호사를 인식하게 만들어 라포 형성에 도움이 된다.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간호사는 자신을 치료적 도구로 활용하여 대상자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지를 제공한다. 간호사는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적절히 공개하여 대상자와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대상자의 감정을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견지한다. 이를 통해 대상자가 안전하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대상자의 치료 참여를 독려할 수 있다.
한편 대상자와의 상호작용 시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간호사는 대상자와의 라포 형성에 몰두하다 보면 때때로 대상자의 비합리적인 요구나 행동에 동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