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경화증
1.1. 정의
간경화증이란 만성적인 염증으로 인해 정상적인 간 조직이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 작은 덩어리가 만들어지는 현상) 등의 섬유화 조직으로 바뀌어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한다. 간경변증은 간 기능의 점진적 저하로 인해 발생하며, 간의 구조와 기능이 손상되어 간장애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간경화증은 만성 간 질환의 말기 단계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간경화가 발생하면 거의 완치가 되지 않고 계속 진행되는 질병이기 때문이다.
1.2. 발병원인 및 병태생리
알코올성 간경화는 과도한 음주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간질환이다. 주된 발병원인은 지속적인 과음으로 인한 간 조직의 만성적인 손상이다. 간 조직이 지속적으로 염증 상태에 놓이면 정상적인 간 세포가 재생 결절과 섬유화 조직으로 변형되어 갈수록 간의 기능이 저하되는 병태생리적 과정을 거치게 된다.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간 세포의 지질 대사 장애를 유발하고, 간세포의 흰포말 변성, 간경화로 이어지는 요인이 된다. 알코올로 인한 간 세포의 손상은 간 기능 저하, 간 섬유화, 간문맥 압력 상승 등으로 이어져 복수, 식도정맥류, 간성 혼수 등의 합병증이 나타나게 된다.
알코올은 간 세포의 지방 축적을 유발하고, 알코올대사로 인한 아세트알데히드 축적은 간 세포의 괴사와 재생 과정을 반복하면서 간 섬유화를 유발한다. 이러한 병태생리적 과정을 통해 점진적으로 간경화가 진행된다. 또한 알코올은 장내 세균총을 변화시켜 장내독소의 유입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한 면역반응의 활성화는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간 섬유화를 더욱 촉진한다.
고령, 여성, 유전적 요인 등은 알코올성 간경화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여성의 경우 같은 양의 알코올 섭취에도 남성보다 간 손상이 더 크게 나타나는데, 이는 간 대사 능력의 차이와 관련이 있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알코올 대사 효소 활성의 개인차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알코올성 간경화는 만성적인 알코올 섭취로 인한 간 손상과 이에 따른 병태생리학적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질환이라 할 수 있다.
1.3. 증상 및 증후
간경화증의 증상 및 증후는 다음과 같다.
간경변증의 주요 증상으로는 피부에 붉은 반점이 거미 모양으로 나타나는 거미혈관종, 호르몬 대사의 이상으로 피부가 붉어지고 남성에서는 가슴이 커지며 성기능이 저하되는 것 등이 있다. 또한 비장이 커져 왼쪽 옆구리에서 만져질 수 있으며, 복수가 차고 양쪽 다리가 붓는 부종이 생길 수 있다. 피부 바깥쪽으로 확장된 혈관이 튀어나올 수도 있다.
간기능의 저하로 인해 황달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간성혼수(hepatic coma)로 인해 인격이 변하거나 의식을 잃을 수도 있다. 식도정맥류 출혈 등이 발생하면 피를 토하거나 흑변, 혈변이 보일 수 있다.
간경변증의 주된 증상은 복수, 식도정맥류, 간성혼수 등이며, 이로 인한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간 기능이 악화됨에 따라 합병증이 발생하고 점차 증상이 심해지게 된다.
1.4. 진단검사 및 결과
간경화증의 진단검사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경변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혈액 검사를 통해 AST, ALT, r-GT 등의 간 기능 검사를 사용한다. AST와 ALT 등의 효소는 원래 간세포 내에 존재하고 있지만, 이것이 간세포의 염증으로 인해 파괴되면 혈액으로 흘러나온다. 이에 따라 혈액 검사를 하면 그 수치가 증가한다. 특히 알코올성 간질환에서는 AST 수치가 ALT 수치보다 더 증가하는 것이 특징이다.
초음파 검사를 통해 간의 모양과 크기를 확인하여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초음파 검사상 간이 전체적으로 밝게 보이는 지방성 변화가 나타나며, 좀 더 진행된 상태에서는 간경변증의 소견과 복수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혈액 검사와 초음파 검사로도 정확하게 진단되지 않으면 간 조직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간 조직 검사를 통해 염증 세포의 침윤, 간세포의 풍선 변성, Mallory체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이처럼 간경변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원인이 되는 인자(만성 B형 간염, 만성 C형 간염, 과도한 음주 등)가 있는 사람에게서 문맥 고혈압의 징후가 있는지 확인하고, 신체검진이나 복부 초음파 검사, 내시경 검사 등 다양한 진단 방법을 활용한다.
또한 간경변증이 발생한 경우 간암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으므로, 정기적으로 복부 초음파 및 간암 혈액 표지자(알파 태아단백) 검사를 시행하여 간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1.5. 합병증
간경화증의 합병증은 매우 다양하고 심각할 수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는 복수, 식도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신부전 등이 있다.
복수는 간경변증의 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