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유아특수교육학_장애이해교육 방향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2.1. 장애이해교육의 정의
2.2. 장애이해교육의 종류
3. 유아를 위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3.1. 대한민국 1교시
3.2. 장카이브
3.3.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4. 유아들에게 필요한 장애이해교육의 방향
4.1. 장애인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한 이해 증진
4.2. 장애 관련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4.3. 실제 생활 속에서의 장애 이해 및 경험 활동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장애이해교육은 유아기부터 시작하여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수용할 줄 아는 사회의 기본을 마련하는 데 기여한다. 유아들에게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제공하는 것은 편견 없는 세상을 만드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본 과제에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유아교육에서 장애이해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2.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2.1. 장애이해교육의 정의
장애이해교육은 "일반 유아에게 장애에 대한 잘못된 개념이나 이해를 바로 잡아주고 편견을 없앨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유아에게 장애유아와 장애에 관한 명확한 정보를 통하여 바람직한 인식의 변화를 형성해 타인과 자신이 다른 점을 이해하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동등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고, 장애유아에 관하여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방법을 지도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이 바로 장애이해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2.2. 장애이해교육의 종류
장애이해교육의 종류에는 이해중심의 활동과 체험중심의 활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해중심의 활동은 장애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장애인의 능력이나 장애 극복 사례 등을 소개하여 장애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장애인 관련 영상물 시청, 보조기구 체험, 장애인 강사 초청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장애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편견을 해소할 수 있다.
체험중심의 활동은 유아들이 직접 장애 체험을 하거나 장애인과의 협력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장애에 대한 이해와 수용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눈가리개나 보조기구를 사용해 보기, 장애 유아와 함께 협동 게임하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유아들은 장애인의 어려움을 직접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애이해교육은 장애에 대한 정보 제공과 체험을 통해 유아들의 긍정적인 태도 형성과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유아를 위한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
3.1. 대한민국 1교시
'대한민국 1교시'는 학교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장애인먼저실천본부가 제작한 영상콘텐츠로, 유아들이 장애 유형과 특...
참고 자료
이소현. 특수아동교육. 서울: 학지사, 2024.
권미은. (2014). 장애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활동이 일반유아의 장애수용태도와 예비유아특수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통합교육연구, 9(1), 25-48.
소장섭, “장애인먼저실천운동본부, 유아를 위한 장애 이해 교육 콘텐츠 ‘모두의 놀이터’ 배포”,2022.03.16., 베이비뉴스
김민주(2016)『협동적 신체활동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영미(2020)『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패러다임, 가설 및 모형에 관한 연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민주. (2016). 협동적 신체활동을 활용한 장애이해교육프로그램이 통합학급 일반유아의 장애인식과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창원: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4183911
김성애. (2014). 우리나라 장애이해교육의 의미고찰. 유아특수교육연구, 14(2), 53-73. http://www.riss.kr/link?id=A100038889
원종례, 이명희, 박현옥. (2014).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장애 이해 교육 실행경험과 지원 요구: 통합유아교육기관에 적합한 장애 이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4(3), 413-440. http://www.riss.kr/link?id=A101730928
이현희. (2014). 통합학급현장에서 장애 이해를 위한 기독교교육프로그램 개발: 일반유아(만4-5세), 부모, 교사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서울: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3840025
한성희. (2006). 장애유아 통합유치원 장애이해프로그램의 운영 실태 및 교사 지원 요구 조사 (석사학위논문). 공주: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http://www.riss.kr/link?id=T10989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