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시감상문
1.1. 작가 소개
시인 이육사는 1904년 4월 4일 경북 안동에서 출생하였다. 본명은 이원록이었으며, 그는 당시 일제강점기에 저항하기 위해 1925년 독립운동단체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1926년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3년형을 받고 투옥되었고, 그때 그의 죄수 번호가 264번이어서 호를 육사로 택했다고 전해진다. 1929년에 감옥에서 나와서 다시 중국으로 건너갔으며, 그곳에서 여러 독립운동단체에 가담하여 독립투쟁을 벌였다. 1933년 9월 귀국하여 이때부터 시작에 전념하였다. 그의 첫 작품은 1935년 <황혼>이었고, 시 발표는 1941년까지 계속하였으나 폐병을 앓아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독립운동을 위해 북경으로 갔다가 압송되어 북경의 감옥에서 옥사하였다.
1.2. 작품 분석
1.2.1. 주요 소재와 상징
'청포도'의 주요 소재와 상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포도는 이 시의 핵심 소재로, 풍요롭고 싱그러우며 고귀한 의미를 지닌다. 청포도는 단순한 과일이 아니라 시인의 고향 모습과 평화로운 삶에 대한 소망을 상징한다. 청포도는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 데 하늘이 꿈꾸며" 등의 표현을 통해 유구한 역사와 이상향을 암시하고 있다. 또한 청포도는 "고달픈 몸"의 손님을 "맞아 이 포도를 따 먹"는 행위를 통해 희생과 기쁨의 심상을 담아내고 있다. 즉 청포도는 평화로운 고향과 조국의 광복을 상징하는 핵심 소재인 것이다."
둘째, 하늘과 바다 등의 자연 소재들은 시인이 추구하는 이상과 평화로운 삶의 공간을 암시한다. "먼 데 하늘이 꿈꾸며",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와 같은 표현을 통해 자연은 시인의 소망과 동경을 품고 있는 공간으로 그려진다. 이는 시인이 현재 처한 시대적 상황을 넘어서 이상향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셋째, 청포를 입고 찾아오는 "손님"은 시인이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으로, 조국의 광복과 평화로운 삶의 회복을 의미한다. 손님에 대한 기다림과 정성스러운 준비는 시인의 소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두 손을 함뿍 적셔도 좋으련"이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손님을 맞이하는 행위 속에는 희생과 헌신의 의지가 담겨 있다."
종합하면, 청포도와 자연 소재, 그리고 손님 등은 시인이 염원하는 풍요롭고 평화로운 삶, 조국의 광복을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를 통해 시인의 내면적 갈등과 염원이 절절히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2.2. 색채와 심상
「청포도」에는 푸른색과 흰색의 색채 대비가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는 작품의 분위기와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합니다.
먼저, 청포도라는 소재 자체가 푸른색을 나타내며, 이는 시인이 추구하는 아름답고 고귀한 세계를 상징합니다. 청포도가 익어 가는 고향의 풍경 속에서 "먼 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라고 표현되어, 하늘이 청포도에 스며들어 있는 것처럼 표현됩니다. 이는 청포도가 단순한 과일이 아닌 시인의 염원과 이상이 투영된 소재임을 보여줍니다.
한편, 흰색은 청포를 입고 찾아오는 "손님"과 "하이얀 모시 수건"에서 나타납니다. 이는 청포도로 표현된 순수하고 고상한 세계에 대한 시인의 간절한 염원을 상징합니다. 특히 "하이얀 모시 수건"은 손님을 정성스럽게 맞이하려는 화자의 태도를 드러내며, 청포와 더불어 고결하고 깨끗한 심성을 표현합니다.
이처럼 「청포도」에서 푸른색과 흰색의 대비는 평화롭고 고귀한 세계에 대한 시인의 염원을 형상화합니다. 청포도라는 구체적인 대상을 통해 시인의 내면세계가 생동감 있게 펼쳐지며, 색채의 대비로 인해 작품이 지닌 아름다운 미적 특성이 두드러지게 드러납니다.
1.2.3. 시어와 시구의 의미
'청포도'의 시어와 시구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청포도'는 작품의 핵심 소재로, 청색의 이미지로 풍요롭고 평화로운 삶과 세계를 상징한다. 과거의 평화로웠던 삶, 화자가 꿈꾸는 소망과 동경 등이 '청포도'로 형상화된다. 따라서 '청포도'는 그리움과 더불어 미래에 대한 희망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주절이 주절이'와 '알알이'와 같은 의태어는 청포도에 대한 감각적 이미지를 부여하여 생동감을 높인다. 이를 통해 청포도가 지니고 있는 아름답고 고귀한 느낌이 강화되고 있다.
'하늘'은 소망, 동경, 이상을 상징하며, '손님'은 화자가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으로, 해방되는 조국의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