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상급종합병원 입원환자의 낙상 후 상해 실태 및 상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서론
1.1.1. 연구 필요성
낙상은 병원에서 환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흔한 위해사건으로 의료서비스의 질적인 문제를 야기한다. 입원 환자의 2~30%가 적어도 한번은 낙상을 하고, 30~51% 범위로 상해가 발생한다고 한다. 낙상은 환자의 안전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에 간호의 질을 평가하는 국제적 질 지표로 사용된다. 영국의 국가 환자안전기구(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NPSA)는 의료기관의 낙상 사고가 환자의 정신적 괴로움과 자신감의 상실, 통증과 고통을 야기하는 신체적 상해 및 독립성 상실을 초래하고, 때로는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낙상 환자는 비 낙상 환자에 비해 재원일수가 길어지며, 이로 인해 높은 병원비를 부담하게 된다. 의료 서비스의 패러다임은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변화하고 있고, 낙상 또한 과거에는 불의의 사고라는 인식이 지배적이었지만, 현재 낙상은 충분히 예측과 예방이 가능한 건강문제라는 방향으로 사람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전환에서 간호사는 낙상을 예방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의료진들도 병동에서 다각도의 예방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한다. 따라서 낙상을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는 중재방법의 개발을 위해 낙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할 뿐 아니라, 낙상 후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낙상 후 손상 상태를 파악하고 낙상 후 손상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1.1.2. 연구목적
본 연구는 1년간 보고된 낙상보고서를 토대로 의무기록을 심층 분석하여 낙상 후 상해 유무와 상해 유형 및 낙상 후 치료 현황을 분석하고 낙상 후 상해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1.2. 연구방법
1.2.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입원 환자의 낙상 후 상해 관련 실태를 파악하고, 낙상 후 상해 유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2.2. 연구대상
본 연구대상자는 2015년 1월 1일 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경기도 소재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 중 낙상이 발생하여 전자의무기록시스템의 환자안전보고체계(Snubhian Alertsystem For Errors, SAFE)를 통하여 병원의 질 관리(QA) 부서로 보고가 이루어져 낙상 환자 안전 보고서가 작성된 환자 총 428명으로 하였다.
1.2.3. 연구도구
'1.2.3. 연구도구'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을 위해 전자의무기록을 통하여 낙상이 발생한 입원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낙상 관련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낙상한 입원 환자의 낙상 후 상해 유형과 낙상 후 제공된 치료 현황은 환자안전보고체계(SAFE)를 활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낙상 환자의 성별, 연령, 진료과, 보호자 유무, 의식상태, 낙상 장소, 낙상 시간, 낙상위험 요인, 낙상 후 상해, 낙상 후 치료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낙상 환자의 일반적 특성과 낙상 관련 특성, 낙상 후 상해 양상 및 치료 현황을 파악할 수 있었다.
1.2.4. 자료수집방법
연구자 2인이 201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낙상 환자안전보고서를 통해 보고된 낙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 사용하였다. 연구 조사자 간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