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간호창업 분야와 전망
1.1. 간호창업 분야
1.1.1. 국내 간호창업 분야
우리나라의 간호창업 분야는 다양한 영역에서 확장되고 있다.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도입으로 인해 방문 간호사업을 포함한 재가요양기관 및 너싱홈, 데이케어센터와 같은 요양 시설기관의 간호사 창업이 법률적, 제도적으로 현실화되었다.
현재 국내에서 가능한 간호사의 창업 분야에는 조산원, 노인복지시설, 아동보육시설, 정신재활시설(사회복귀시설), 산후간호센터,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 대체간호센터, 간호조무사 학원, 병원직원교육기관, 건강교육 및 상담센터, 의료분쟁컨설팅, 특수치료사업, 노인의료사업, 건강관리서비스, IT분야, 보험심사 청구 교육 및 대행 기관, 의료관련 컨설팅 사업, 인력교육 및 파견기관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간호사들의 창업 분야는 법으로 규정된 너싱홈(노인복지법), 아동보육센터(영유아보육법),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법), 조산사가 개설할 수 있는 조산원(의료법)이다. 이러한 요양 및 돌봄 시설들의 경우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노인인구 증가와 만성질환 환자 증가로 인해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보건산업에 주목하면서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 IT 기술을 활용한 의료 서비스 분야 등 다양한 간호창업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이처럼 국내 간호창업 분야는 요양 및 돌봄 서비스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 보건의료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1.2. 국외 간호창업 분야
국외에서는 법률 간호사 컨설턴트, 간호사 건강 코치, 전문 의료 제공자, 웰빙 코치, 간호사 블로거, 건강 블로거, 프리랜서 작가 또는 편집자, 호스피스 간병, 재택 시니어 케어 서비스, 출산 교육 및 둘라, 피트니스 간호사, 의약품 판매, 원격의료 컨설팅, 의료비 청구 및 코딩 계약자, 경력 코치, 보육 사업, 영양사, 개인 간호사, 헬스케어 트레이닝 사업, 의료 앱 사업, 온라인 교육 사업, 남성 불임 사업, 건강기능식품 사업, 의료기기 사업, 건강한 식사 배달 서비스, 의료용 스크럽 사업, 탁아소 사업, 수유 컨설팅 사업, 컨시어지 간호사 서비스, 간호사 인력 에이전시, 마사지 치료 서비스, 마음챙김 코치, 건강 상담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업이 가능하다.
국내와 비교해 국외에서는 간호사들이 창업할 수 있는 분야가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간호사들의 창업이 주로 법적으로 규정된 시설 중심이었다면, 국외에서는 법률, 상담, 교육, 헬스케어, 제품 개발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는 국가별 보건의료 정책과 사회적 요구에 따른 차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국외에서는 전문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한 간호사의 독립적인 사업 모델이 활성화되고 있다. 법률 및 건강 분야 컨설팅, 웰빙 및 마음챙김 코칭, 의료 관련 콘텐츠 창작 등 전문 서비스 제공자로서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의료 기술과 IT의 융합을 통해 원격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등 혁신적인 사업 모델도 등장하고 있다.
이처럼 국외 간호창업 분야는 국내보다 더욱 다양하고 전문적이며, 기술과 융합된 창업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고령화 사회와 보건 의료 산업 전망
1.2.1. 노인복지시설 및 기관 수요 증가
우리나라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노인복지시설 및 기관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방문간호사업, 방문목욕, 단기보호, 주야간보호 등 재가요양기관과 너싱홈,...